In this research traditional Buddhist dietary life style was studied as an alternative for both saving water and decreasing water pollution from household. A traditional dietary life style for the Buddhist monks, called Balwoo Gongyang, and its modernized one for citizens, called Dish Gongyang were examined with water use amount, wastewater quality and pollutant loading rate, and were compared with the kitchen wastewater from household. And several types of natural detergent were also examined to compare their effect on the wastewater quality and pollutant loading rate.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using the wastewater from Balwoo and Dish Gongyang in J building located in Seoul. Wastewater generation from Balwoo Gongyang that was about 1.0 ℓ/capita/day was very low compare to that from dish washing in normal household(32.6 ℓ/capita/day). In case of Dish Gongyang, water generation was 1.8 times higher than that from Balwoo Gongyang, but it was just 1/19.2 of normal household.
When the wastewater quality of Balwoo Gongyang was compared with the kitchen wastewater of normal household, SS was 1/16(15 mg/ℓ), COD was 1/7(22.1 mg/ℓ), BOD was 1/9(24.1 mg/ℓ) and T-N was 1/16(1.7 mg/ℓ). Pollutant loading rate from Balwoo Gongyang was very low, COD 18.0 mg/capita/day, SS 12.3 mg/capita/day and it was 1/290, 1/639 of that from dish washing wastewater from normal household, respectively. Pollutant loading rate from Dish Gongyang was also low 1/13(SS)∼1/144(TN) compared to dish washing wastewater from normal household.
As a natural detergent, used water from washing rice showed very low pollutant loading rate. It was concluded that Dish Gongyang that was a modernized and simplified dietary life style of Balwoo Gongyang, was very eco-friendly. Especially when it was combined with natural detergents using by-product from cooking process, its effect on the water pollution was very low.
꾸지뽕 열매의 부가가치를 증대하기 위해 꾸지뽕 발효식 초를 제조하고 그의 발효조건을 확립하였다. 전통발효식품 으로부터 초산내성, 초산 고생산능, ethanol 내성 및 아황산 내성이 우수한 49종의 초산 균주를 분리하였고,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의 해독 결과, Acetobacter indonesiensis, A. cerevisiae, A. orientalis, A. tropicalis, A. fabarum, A. pasteurianus 및 A. syzygii으로 동정되었다. 이들 중 GRAS 균주인 A. pasteurianus SCMA5와 SCMA6를 발효 균주로 최종 선정하였다. 최적 발효는 꾸지뽕 열매 함량이 40%(v/v)인 즙액과 5%(v/v) ethanol을 첨가하여 25℃에서 72시간 발효가 가장 적절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SCMA06 균주를 적용한 발효액의 선호도가 SCMA05 균주를 적용한 발효액보다 높았다. SCMA06 균주를 사용한 발효식초에서 항산화 능력을 측정하는 DPPH 라디컬 소거활성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53.02±0.78%이상 높게 나타났고, 항당뇨 능력을 측정하는 AGI활성은 발효 72시간에 91.40±2.43% 저해능을 보여 시판중인 acarbose보다 활성이 높았다. 이번 연구는 꾸지뽕 열매를 활용한 발효식초 제조를 위한 산업화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호성 및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부가가치 간장을 개발하고자 황기 첨가량에 따른 숙성기간별 간장의 이화학실험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황기첨가 간장(AK)의 식염변화에서 실험군 모두 기간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숙성기간이 지남에 따라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pH 변화는 실험군 모두 숙성기간에 따른 변화는 뚜렷하지 않았으며,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pH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당도는 숙성기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였다. 갈색도 변화는 AK 5%는 숙성기간 4~5개월까지 갈변현상이 일어난 반면 AK 10%의 경우 2개월 이후 갈변현상이 진행되지 않고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모든 실험구가 서서히 증가하였으나 그중 AK 5%가 2개월 이후 10.12%로 크게 증가하였다. 아미노태 질소변화 역시 모든 실험구에서 서서히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 중 AK 5%가 3개월 때 크게 증가한 뒤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결과 AK 5%가 총 폴리페놀 함량이 6개월 때 25.01 mg/mL,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5개월 때 200.15 mg/mL로 다른 실험구에 비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에서 AK 5%가 향, 짠맛, 구수한맛, 단맛, 쓴맛 및 전체기호도 모두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 보아 AK 5% 즉, 황기 5% 첨가 간장이 일반 전통 간장에 비해 항산화 활성 및 기호도가 좋음을 알 수 있었으며, 기능성 간장으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분리한 발효능이 우수한 미생물과 기능성이 밝혀진 농특산 향토자원을 활용한 새로운 기능성 장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꾸지뽕 열매를 A. oryzae koji, Lactobacillus 6종 및 Bacillus 2종에 대하여 발효시킨 결과, B. licheniformis SCDB 1234 균주가 kaempferol 함량을 9.54μg/g에서 217.04μg/g을 약 22배 증강시켜 최종 발효균주로 선발되었다. 꾸지뽕 열매를 선발균주를 활용하여 발효한 발효물 20배 희석액의 DPPH 항산화 활성은 대조구인 BHA, BHT의 92~99 ppm 농도와 유사한 활성을 보였고, tyrosinase 저해 활성도 arbutin이나 kojic acid의 95 ppm과 90 ppm과 같은 높은 저해 활성을 보였다. 꾸지뽕 열매 발효물을 첨가한 된장을 개발하여 유기산, 유리당 및 유리 아미노산을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꾸지뽕 열매 발효물을 첨가하지 않은 장류와 유의적인 차이점을 보이진 않았다. 꾸지뽕 열매 발효물과 개발한 된장의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발효물의 경우에는 발효전보다 발효후에 더 높은 80% 이상의 높은 저해능을 보여주었다. 개발한 된장은 숙성전 된장이 숙성후 된장에 비해 더 높은 저해능을 보여주었다. 항당뇨 효과로 AGI활성을 분석한 결과, 꾸지뽕 열매는 발효전보다 발효후에 활성이 높게 측정되었고, 꾸지뽕 열매 발효액 10%를 첨가한 숙성전 된장의 AGI활성은 84.89±0.08%, 숙성후 된장은 91.25±0.04%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꾸지뽕 열매의 발효물의 생리활성 및 항산화 활성은 발효를 통하여 상승함을 보여주었고, 새로운 건강기능성 식품 개발에 활용가능성이 높은 잠재적 소재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유아들이 한국 전통음식에 대해 알아보고, 오감을 이용하여 음식 재료를 탐색해 보고, 한국 전통음식을 직접 만들어 다른 사람과 음식을 나누는 활동에 참여하면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경험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C군 O어린이집 꿈꾸는반 만5세 유아 10명을 대상으로 2013년 7월 9일부터 2013년 9월 9일까지 8주에 걸쳐 주 2회씩 총 16회 한국 전통음식 만들기 활동을 실시하였고, 녹화자료의 전사와 교사저널, 사진, 유아 기록물 등의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들은 연구 초기 한국 전통음식에 대해 생소함을 느꼈지만 점차 한국 전통음식에 관심가지기 시작했다. 둘째, 한국 전통음식 만들기에 참여하면서 다양한 음식재료를 오감을 이용해 탐색하고, 전통 도구를 이용하여 음식을 만드는 경험을 통해 즐거움을 느꼈다. 셋째, 한국 전통음식에 자부심을 갖게 되고, 유아가 만든 음식을 나누는 과정 속 에서도 유아 혼자에서 유아 주변 사람으로, 더 나아가 많은 사람으로 확대되었고, 나눔의 즐거움을 경험하였다. 넷째, 유아들은 한국 전통음식에 담긴 조상들의 지혜를 알게 되고, 조상들의 생활양식에도 관심 갖게 되면서 점차 전통 문양, 전통 의복 등 한국 전통문화로의 관심을 확대해 나갔다.
본 연구는 유아가 재구성한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강원도 홍천군에 소재한 N초등학교병설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46명으로 실험집단 23명, 통제집단 23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유아가 재구성한 전통놀이 활동은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 중 유아의 협동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는 유아가 재구성한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협동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유아가 재구성한 전통놀이 활동은 유아의 타인 이해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이는 유아가 재구성한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타인 이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유아가 재구성한 전통놀이 활동은 유아의 자율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이는 유아가 재구성한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자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유아가 재구성한 전통놀이 활동은 유아의 또래 간 상호작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는 유아가 재구성한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또래 간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유아가 재구성한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유치원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고, 전통문화에 대한 지식과 기술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국 공・사립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유치원교사 385명과 충청남・북도에 소재한 4개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 재학생 376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최기영, 서윤희, 박혜진(2011)이 개발한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 검사 도구를 일부 수정한 것이며, 연구문제에 따라 t-검증과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치원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나타나 전체와 하위범주 모두에서 유치원교사의 인식이 예비유아교사의 인식보다 높았다. 인식의 차이가 큰 하위범주는 전통놀이문화와 전통생활문화의 순이었으며, 인식의 차이가 가장 작은 하위범주는 전통역사문화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교사와 예비유아교사 모두 전통문화에 대한 지식과 기술 간의 상관을 보였으며, 유치원교사가 보인 전통문화에 대한 지식과 기술 간 상관계수가 예비유아교사의 상관계수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집한 장류 시료에서 분리한 균주들을 CMC를 함유하는 배지에 접종하여 섬유소 분해 활성이 우수한 4-1 균주를 선발하였다. 4-1 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B. subtilis로 동정되었다. B. subtilis 4-1의 효소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은 탄소원으로 1.0% soluble starch와 질소원으로 0.1% yeast extract를 첨가하여 45℃에서 24시간 배양하였을 때로 나타났다. 최적 배양 pH를 조사한 결과, pH 5.0~9.0에서 cellulase 효소활성이 높았다. B. subtilis 4-1의 조효소 특성은 효소반응의 최적 pH가 pH 9.0, 반응온도는 60℃에서 효소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20~90℃ 온도에서 60분간 열처리시 효소 활성이 80%이상 유지되었다. 따라서 B. subtilis 4-1에 의해 생산되는 cellulase는 내알칼리성 효소로 추정되며, 높은 열에도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B. subtilis 4-1이 생산하는 cellulase는 CMC에 가장 높은 효소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vicel과 pNPG에서도 활성을 보여 복합효소로 생각된다.
전통문화예술을 활용한 콘텐츠의 개발은 최근 몇 년간 여러 분야에서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이는 또한, ‘융합’이라는 용어를 통해 더욱더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활동들은 전통문화예술의 재해석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의 개발과 성공 사례를 남겼다. 전통문화의 계승, 발전 그리고 이것의 세계화는 중요한 과제라 생각한다. 전통문화를 재해석하고 그 명맥을 이어가는 것은 단지 예술장인들만의 몫이 아닌 우리 모두가 함께 노력해야하는 것이다. 전통문화를 재해석하여 현대 디자인과의 결합은 그 중 하나라고 생각되어진다.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문화예술을 기반으로 한 디자인 콘텐츠 중 옻칠기법을 활용한 디자인 제품을 중심으로 그 사례에 대한 조사 및 연구를 기본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현대 디자인의 진단과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
전통 재래식 간장에 표고버섯 및 천마를 첨가하여 일정기간 숙성시킨 후 분리하여 이화학적 성질 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NaCl의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실험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다른 재래식 방법으로 제조한 간장에 비해 전체적으로 염도가 낮았다. pH의 변화는 숙성이 될 수록 감소 하였으며 총당과 환원당의 함량 또한 대조구에 비해 실험군이 높은 값을 보였는데 표고버섯이나 천마로부터 유래된 당의 영향으로 인해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Protease 활성은 실험구가 6~8배 이상 높은 값을 보였고 항산화 활성에서는 천마간장이 총 폴레페놀 함량 90.23 mg/mL,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404.44 mg/mL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전자공여능 측정에서 버섯 간장이 72.71%를 나타냈다.
Traditional ancient tomb is blocked from outside air by the original role of the structure. However, recently at the structure has been excavated and robbed, it is in a state of being opened. It is not easy to prevent durability reduction of structure member according to the opened state. To this end, This study perforns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evaluation according to durability reduction of traditional ancient tomb.
Both Chinese culture and South Korean culture have a very long history. The two cultures share many things in common. Chinese characters and Confucianism had great influence on ancient Korean Peninsula in terms of national thought and social mental state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its classical literature. When Korean was established at the very beginning, Confucianism had become the dominant thought. What is more, the introduction of Hsin-li Hsueh also had greater impact on Korean classical works. The Confucian thoughts of Loyalty, Righteousness, Chastity, and Piety were deeply rooted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e regulation of Hsin-li Hsueh had resulted in the appearance of the thought of “no sweet without sweat” and the theme of “punishing evil-doers and praising good-doers” as well as the frequent usage of Chinese allusion in Pansori novels. With the introduction of ancient Chinese literary works into Korea, literators in Korean Peninsula not only enjoyed all these works in terms of reading and referring, but also flexibly put all the overseas cultural genes into their literary production. Biography of Xing Fu was the typical one. The thesis is going to analyze the imago of swallow and cucurbit and ancient Chinese classical literary works in Pansori novels from the standpoint of cultural transmission and variation so as to interpret the deep root of Chinese element in Biography of Xing Fu, which will definitely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is
novel.
지역전통과 자원을 활용한 창의적 체험활동 ‘마늘아 놀자’프로그램을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생들은 물론이고 담임 교사와 학생들의 부모들은 모두 프로그램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특히 모든 참가 학생들이 이런 종류의 프로그램에 다시 참가하기를 희망하였다. 식물에 대한 태도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프로그램 실시 후에 뚜렷이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지역애착심은 프로그램 실시 전에는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지만 프로그램 실시 후에는 실험군의 값이 뚜렷하게 높았다. 정서지능은 프로그램 전·후 모두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traditional fermented foods and to develop a new starter for fermented milk.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using 16S rDNA sequencing and named Lactobacillus plantarum A, Leuconostoc lactis B and L. acidophilus C. The activity of these strains to inhibit the growth of food-borne human pathogens (Escherichia coli NCTC 12923, Salmonella Typhimurium NCTC 12023, Listeria monocytogenes NCTC 11994) was measured using the paper disc method. All these strains showed strong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Li. monocytogenes NCTC 11994. The experiment groups were the fermented milks with these strains, and the control group was the fermented milk with the commercial starter (ABT 5). The change of pH, acidity and viable cell counts were measured during their aging time. All the experiment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aging tim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sensory test showed that the experiment groups can be used as useful starters for fermented milk. This result suggests that L. plantarum A, Leu. lactis B and L. acidophilus C have the potential to be developed as new starters for fermented milk.
The tomb structure has the different shapes under the influence of vertical load and earth pressure. So,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analysis of structural member is important. But, it is not easy to analyze the structural system of tomb structure because of the various construction conditions. To this end, this study evaluates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considering the location and soil thickness for design variables.
The structural damage patterns of the Korean Traditional Wood Structures classified as the Jushim-po and Da-po Type are investigated. The investigations are based on the reports of repairing or actual measurements for the Jushim-po and Da-po structures. Lastly, the vulnerable parts according ot structural systems are analyzed statistically.
Woods are used as a main material for the domestic Traditional Buildings and most Traditional Wood Structures should be conserved as Traditional Assets. To be conserved, structural performance should be evaluated. So traits of the materials are to be studied. Therefore characteristics of structural deterioration of Traditional Wood Structures are to be analysed on this study.
This study aims at reviewing satisfaction on facility modernization project of traditional market by case study on integration & move method of 2 markets (Seongbuk 5 day market & Geumgye daily market). Following this study, it asked 182 merchants & customers at Naju Moksagoeul Market about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on integration & move and the facility modernization project of traditional markets. According to results of the survey, not only merchants but also customers are satisfied with the modernization project. But in detail, valuations between 5 days market and daily market, and between merchants and customers are different. For example, merchants regard as negative, but customers as positive about move of the markets from city to outside. About half of respondents answer that number of market visits and sales volume after move of the markets are higher than before. More than 80% of respondents answer that culture & tourism market programs are helpful to the market revitalization.
We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wing brown rice vinegar through a traditional static fermentation process. Accordingly, we decided to compar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rewing vinegar at different temperatures and filtration methods. In four to five weeks’ time, the acetic acid fermentation exhibited the highest titratable acidity and then it eventually decreased. The titratable acidity was affected by the filtration method. It was revealed that the titratable acidity was higher in the forced filtration than the traditional filtration method. Various organic acids were detected in order to initialize the fermentation stage and as the fermentation progressed, only the acetic acid could be detected. The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was higher at a temperature of 30℃ than at 20℃. Moreover, the free amino acid content was dependent on the acetate content during the acetic fermentation process. The main bioactive substance of the γ-aminobutyric acid content was more than twice at a fermentation temperature of 30℃ compared to the fermentation temperature of 20℃. Furthermore, the total amino acid and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at a temperature of 30℃ was excellent. The quality of the brown rice vinegar via forced filtration method at a temperature of 30℃ was the most excelle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fermentation temperature and the use of nuruks (fermenting agent) affected the quality of the brown rice vinegar, and an appropriate method to consider its purpose is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