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51

        382.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384.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라산국립공원에서 이용객에 의한 등산로와 등산로주변의 환경훼손실태조사를 1990년에 실시하였다. 등산로폭과 주변의 나지노출폭은 이용강도와 정(+)의 상관관계를, 주변식생의 수고와 경사도와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노면의 깊이는 노폭 및 나지노출폭과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용객에 의한 등산로주변의 면적훼손은 아고산지역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었으며, 주 훼손지역의 총 면적은 121,000m2로, 그중 생태계보전사업이 시급한 면적은(훼손등급 4급이상) 약 72,000m2로 추정되었다. 등산로와 주변의 훼손유형은 10가지로 밝혀졌으며, 총 침식량은 약 62,000m2로 추정되었다.
        5,100원
        385.
        199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previously unreported sedimentary complex has recently been discovered in the northern part of Choˇnsu Bay. It overlies both unconformably the Precambrian low-grade metamorphosed sedimentary sequence(Taean Formation) and the Jurassic biotite granite. The sedimentary complex is proposed to be designated as Choˇnsuman Formation. The Formation is composed of conglomerate, tuff, basalt, tuffbreccia, and shale. It is distributed in the northwest and northeast coasts of Choˇnsu Bay and in the Chukdo. Age of the Formation seems to be of late Mesozoic. The Choˇnsu sedimatary basin is considered to be originated by block faulting presumably during the Cretaceous, as suggested by the development of N-S trending structural lineation in the study area and its vicinity. The Chonsuman Formation seems to be formed by sedimantation in close association with block faulting and volcanic activities nearby. Sedimentation is thought to be developed from west to east in the basin.
        4,500원
        386.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82~88년 사이 한국건착망 어업의 망선 48척의 어황일보에 의한 조업해구, 어종별 어획량의 자료를 이용하여 5개 해역별로 어획량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들 해역중 제주도 연안해역(CC)은 양망회수와 어획량은 많으나 양망당어획량이 타해역보다 적으므로, 조업중 어구의 형상에 대해 계측한 자료를 이용하여 저층류에 의한 망형변화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건착망의 평균 CPUE는 31.6톤인데 음 10~4월은 평균보다 높고, 음 5~9월은 낮았다. 2. 건착망 어장 5개 해역중 CC해역은 양망회수비 42.4%로서 가장 높고 CPUE는 25.7톤으로 낮았으며, 각 해역별 CPUE는 1%의 유의수준에서 차가 인정되었다. 3. 고등어 CPUE의 계절변동지수는 음 11~1월에 평균 136.3%였고, 음 5~10월에 평균 63.7%였다. 4. 저층류에 의한 역조시 선망권의 직경은 가장 짧았고, 이때 납줄에 의한 포위면적은 더욱 좁아지며 어군의 포위효율은 낮아졌다. 5. 저층류에 의한 납줄의 형상은, 순조의 경우 유향으로 장원형이 되었고, 역조의 경우 유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장원형이 되면서 포위면적이 급히 축소되었으며, 망의 변형은 역조의 경우 가장 심하였다.
        4,000원
        387.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리산국립공원의 등산로 및 야영장의 훼손과 등산로 주연부의 식생구조 변화에 대한 이용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1991년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등산로폭, 나지노출폭 및 최대 깊이는 이용강도에 따른 차이가 인정되었고 총 32km의 132개 조사지정에서, 관찰된 훼손형태는 다양하였으며 훼손된 지점의 등산로상태 중 해발고, 등산로폭 및 최대깊이는 건전한 지점의 상태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능선부 등산로에서는 훼손이 심화되고 있었으며 인위적인 복구공법이 필요한 환경피해도 4등급 이상인 면적이 약 34,000m2에 달하고, 야영장에서도 이용압력과 훼손현상은 증가되고 있었다. 등산로 주연부의 상층수관에 있어서 우점수종은 해발이 높아짐에 따라 화엄사등산로에서는 개서어나무→졸참나무, 서어나무→신갈나무, 서어나무로, 피아골등산로에서 졸참나무→신갈나무로 바뀌고 있었으며 조록싸리, 노린재나무, 바위말발도리, 병꽃나무가 화엄사등산로에서, 조록싸리, 노린재나무, 국수나무, 철쭉이 피아골등산로에서 높은 상대우점치를 나타내었다.
        4,500원
        390.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야산국립공원 등산로 및 야영장의 훼손과 주변 자연환경에 대한 이용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1989년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등산로폭, 나지노출폭 및 최대 깊이는 이용강도에 따른 차이가 인정되었고, 전체 51개 조사지 점에서 관찰된 훼손형태는 매우 다양하였으며, 훼손된 지점의 등간로 상태중 최대깊이와 등산로물매는 건전한 지점의 상태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등산로주변 토양 및 식생인자의 변화경향을 이용영향의 형태에 따라 구분하여 파악할 수 있었고 등산로주변부에 미치는 이용영향은 약 15m에 이르는 것으로 생각된다. 야영장의 훼손은 심각하여 피해도 5등급의 비율이 약 36%이었고 3등급이상인 지역도 약 69%에 달하였다. 야영장에서의 이용활동이 수목의 직경생장을 크게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구성의 이질화를 극심하게 진행시키고 있었다. 야영장의 이용강도의 차이나 이용영향의 범위를 파악하는데 적합한 토양 및 식생인자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용간섭의 영향범위는 약 50m이었다. 야영행위에 대한 내성수종은 물푸레나무, 개옻나무, 노린재나무, 국수나무 등이었다.
        4,600원
        391.
        198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imary production at 10 stations around the coast line of Cheju Island has been investigated from the viewpoint of standing crops(cells/e), chlorophyll-a concentration and CO₂ fixation of phytoplankton during the period from June, 1987 to March, 1989.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ranged from 2,025 to133,734 cells/ethrough the year, increasing from June and showing a peak in August. The distribution of standing crops was the highest in the eastern area and the lowest in the northern area. Chlorophyll-a concentration ranged from 0.45 to 2.59 ㎎/㎥ during the study period, which was much lower than that in the other Korean coastal waters. To estimate the CO₂ fixation of phytoplankton, daily primary production (㎎C/㎥/day) has been determined using C-14 method. It ranged 1.31-7.15, 34.54117.04, 22.283.64, 8.53-11.95㎎㎎/㎥/㎥/day in winter, summer, fall, and spring, respectively, and showed the highest in the western area. The carbon assimilation number(㎎C/㎎ chl-a/hr)was also higher in summer than in other season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rimary production of phytoplankton around the coast line of Cheju Island was high in the eastern and western regions during the summer season.
        4,000원
        392.
        198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제주도와 대마도 주변해역을 중심으로 고등어와 정어리를 주어획대상으로 선단조업을 하고 있는 건착망어업의 어선의 성능, 어패의 크기, 어획성능, 조업해역별 단위노력당 어획량등을 조업어선의 톤급별로 분석,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망선의 총톤수(x)와 건착망의 면적(y)간에는 y=538.8x+99657.3의 관계가 있었다. 2. CPUE의 계절변동지수는 11~4월은 기분보다 높고, 5~10월은 낮은 현상을 나타내었다. 3. 각 해역에 있어서 톤급별 어획성능지수는 톤급별, 해역별 CPUE는 1%의 유음수준에서 차가 인정되었다. 4. 톤급별 망어패의 효율은 A와 D급선 보다 B와 C급선이 높은 현상을 나타내었다
        4,000원
        393.
        198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know sea water characteristics around coast line of Cheju Island, physical and chemical environmental factor analyses have been performed with data observed from June 1987 to April 188. Water temperature was over 10℃ even in winter with highest value of 14.7℃ in the southern part over the whole study area. Concentrations of DO, COD and SS were as low as those in the standard sea-water-quality classes [I] and [II]. Nutrient concentration was higher in the present study region than on the coastal areas by previous works, suggesting influx of materials from land. The ratio of N/P ranged from 21.6 to 67.4 (mean : 38.8). Concentration of Chlorophgll-a was high in eastern and southern part throughout the year, except a special high value of 3.89㎎/㎥ at Gosan, western part of the study area, in August.
        4,000원
        394.
        198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87년 6월-1988년 4월까지 격월로 제주도 해안선주변 10개 정점에서 부유성 갑각류의 현존량과 생산량을 야간채집, 조사하였다. 계절별 평균개체수는 12월에 가장 낮고, 6월에 가장 높았는데, 이들 개체의 대부분(90% 이상)은 90μm 망목의 네트로 채집된 것으로 이뤄졌다. 계절별 평균 현존량의 범위는 6.6-55.0mgm^(-1)(평균 16mgm^(-3))이고, 여름에 높았다. 일일평균 생산량 역시 여름(369μgCm^(-3)d(-1))에 높고 겨울(112μgCm^(-1)d^(-1))에 낮았다. P/B의 비(평균 0.25)는, 수온이 높고 소형 동물플랑크톤의 개체수가 많은 계절에 높은 값을 나타냈다.
        4,000원
        395.
        198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치악산국립공원의 구룡사지구를 대상으로 등산로 및 야영장의 훼손실태와 그 주변토양 및 식생환경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등산로의 상태를 표현하는 등산로 폭 및 나지노출폭은 이용밀도에 따른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최대깊이는 등산로물매와 직선회귀관계(R2=0.35)가 성립되었다. 전구간에 걸쳐 출현빈도가 높은 등산로 훼손형태는 암석노출 (48%). 종침식(29%), 및 뿌리노출(27%) 등의 순이었으며 등산로물매가 훼손발생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등산로 주변토양 및 식생인자의 변화경향은 일정하지 않았으나 이용객의 간섭형태에 따라 변화경향을 구분할 수 있었다. 야영장에서의 수목훼손형태 및 출현빈도는 이용객의 영향범위의 판단에 유의한 기준이었으며 소나무림야영장이 혼효림야영장보다 훼손범위가 넓었고, 훼손형태별 출현빈도는 거리 및 수관층위에 따라 달랐다. 토양함수량, 토양산도, 토양경도. 하층수관의 피복도, 100m2당 출현수종수, 개체수, 상층 및 중층의 흉고단면적 등의 인자는 야영장에서 임내방향으로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유의한 회귀관계를 보였으며, 야영장에서의 이용간섭의 영향범위는 70~80m이상이었다. 야영행위에 대한 내성수종으로는 고추나무, 산뽕나무, 국수나무, 광대싸리 등이 파악되었다.
        4,900원
        396.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보은군 회남면 조곡리에는 옥천계 누층군내에 감람암의 노두가 발견되며 이 암석의 밀도는 2.9∼3.1 g/㎤로서 주변암석 보다 0.3g/㎤ 이상 크기 때문에 중력 탐사에 의한 감람암의 지하연장 규모를 추정할 만 하다. 본 지역과 주변지역에서 정밀측정을 실시한 결과 중력 이상치는 서측에서 18mgal, 동측에서는 8mgal 정도로 지역적 경향을 보이며 이로부터 분리한 국지적 중력이상은 감람암 노두지역 부근에서 4,3mgal 정도이다. 이를 분석 연구하여 감람암체가 약 3㎞ 이내의 뿌리를 갖고 있으며 지하로 들어갈수록 서측으로 경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감람암체는 현 위치에서 맨틀로부터 상승 분출했다기 보다 이미 분출된 후에 지각변동을 받아 이동된 듯하다.
        4,300원
        397.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북한산국립공원의 등산로훼손 및 등산로주변식생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북한산지구를 대상으로 1987년 8월에 실측조사를 실시하였다. 등산로훼손은 이용강도가 높은 우이동계곡과 정능계곡간 등산로 7.18km 구간을 조사했다. 식생 변화는 등산로 경계부에서 임내로 벨트-트란 섹트를 설치하여 매목조사를 하였고, 주변부식생은 등산로경계부를 따라 벨트를 설치해서 출현종을 조사하였다. 등산로 훼손량과 이용강도는 직접적 상관관계가 없었다. 훼손등급 II등급구간은 23.9%, III등급구간은 8.0%로 나타났으며, 자연등산로 II, III등급구간(19.7%)이 시설등산로 II, III등급구간(12.3%)보다 많게 나타났다. 북한산지역 주요등산로 15.3km중 보수정비가 필요한 등산로 II등급구간은 3.6km, III등급구간은 1.27km로 추정되었다. 등산객의 직접적 간섭이 없었던 등산로 주변 식생변화는 6-8m 구간까지 나타났으며, 등산로의 간섭이 있었던 등산로주변식생변화는 토양경도변화와 일치하지 않고 않았고 국지적으로 다르게 나타났다. 능선부 등산로 주연부식생으로서 Remkiaer 빈도계급 E계급수종은 신갈나무, 참싸리, 진달래, D계급수종은 병꽃나무, 조록싸리, 철쭉, 팥배나무이었으며, 중복등산로에서는 신갈나무가 E계급으로, 진달래, 참싸기, 국수나무가 D계급수종으로 출현했다. 계곡부에서는 진달래, 조록싸리, 국수나무가 D계급수종으로 출현했으며 자동차도로 옆 계곡부에서는 참싸리, 조록싸리, 국수나무가 D계급수종으로 나타났다.
        4,200원
        398.
        198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model experiment of purse seine by the circulating water tank was carried out on the changes of net shape and the tension of purseline under operation in two layer current. In the circular tank, the two layer current was made by cutting off the current of upper layer and producing the bottom current by the equipment shown in Fig. 1. The model experiment of purse sein was made on a reduced scale 1 :400, and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Tauti's model law. When the bottom current of O. 5 knot flows to lower part of three-eighths of net, following results are derived. The depth of sinkerline reached only about 80% of that of no current set. The horizontal shift of sinker line caused by the bottom current is maximized in tight set. The enclosed area by the floatIine immediately after the completion of set net is 61. 5% in tight set, 50. 0 % in loose set and 54. 1 % in lateral set of those in the case of no current. In the first half period of pursing, the tension of the purseline is enhenced by the bottom current and the pattern of increasing is irregular in the tension curves.
        4,000원
        400.
        198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for the mackerel purse seine of one boat purse seiner using in the sea area of Cheju Island, a model net is made of the scale of 1/400 of its full scale, and model test on the shape of net and the tension of purse line is carried out in the stagnant water channel of the circulating water tank. Designing and testing for the model net are based on the Tauti's law.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sinking rate of net is maximized the value of 6.40 m/min from 5 to 10 minutes after shooting net, and the mean value is 6.13 m/min. 2. The enclosed area formed with the float line after pursing operation is 76-84% of the area which is formed immediately after the shooting operation. At that time, purse seine is pulled inward the circle of surrounding net about 26.5% of the diameter. 3. In operating, when longitudinal section area of the central part of the net is maximized, the split area of both the wing-ends is 31-32% of the former. 4. When the time for the completing of pursing is 20 minutes, the maximum tension of the purse line is about 10.2 ton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