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70

        621.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산 ‘하파’외 4품종과 일본산 ‘Kaneko외 9품종을 2000년 8월 2일에 일반농가포장에 파종하였다. 국내산과 일본산 비교 재배하여 이 지역에 가장 적합하고 우수한 품질의 당근 품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초장, 엽수 및 엽중은 국내산인 경우 고정종인 ‘중앙’이 각각 60.7 cm, 9.3매, 72.9 g로 가장 우수하였고 교배종에서는 ‘부러운’이 각각 60.3 cm, 8.9매, 65.42으로 가장 우수하였다. 국내산중 근경, 근장 및 근중은 교배종, 고정종 모두에서 ‘비바리’가 52mm, 15.7cm, 275 g으로 우수하였으며 일본산인 경우 교배종은 ‘Sei’이 56 mm, 14.6 cm, 319 g으로 양호하였고 고정종은 ‘Tokai’가 가장 우수하였다. 상품수량은 국·내산에서 ‘하파’(5,472 kg/10a), 일본산은 ‘Kaneko’(5,736 kg/10a)가 가장 높았고 그 외의 품종들은 국내외산 모두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열근의 발생율은 ‘부러운’이 15%정도로 높았고 고정종인 ‘중앙’이 10% 정도였다. 기근 발생율은 ‘Hidomi’가 9%로 가장 높았고 ‘Sei’과 ‘Tokai’순으로 각각 2%, 6%로 나타내었다. 이로 미루어 볼 때 당근의 주요 상품성을 결정하는 기근과 열근의 발생율은 국내산보다 일본산이 높아 앞으로 재배법을 좀 더 개발하면 국내산 품종이 더 제주지역의 재배에 유리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4,000원
        622.
        2002.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500원
        623.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ethyl glycoside oleic acid polyester was successfully prepared from methyl glycosides and methyl oleate by emulsion interesterification in the presence of methyl fructoside oleic acid polyester as an emulsifier. Emulsion interesterification process was optimized to obtain 98% yield of methyl glycoside polyester within 3~5hr at temperatures as relatively low as 90~150℃ and 20~200mmHg pressure with a five-fold molar ratio of oleic acid methyl ester to methyl glycoside in the presence of 2(w/w)% potassium carbonate and 2O(v/v)% methyl fructoside polyester based on oleic acid methyl ester.
        4,000원
        627.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상북도 춘양지방 금강소나무림(이하 춘양목소나무림)의 식생구조 및 생육밀도를 밝히기 위하여 36개 조사구(단위면적: 100m2)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36개 조사구는 교목층의 흉고직경의 크기에 따라 군집을 분류한 결과. 군집 I (대경목), 군집 II (대경목), 군집 III(중경목), 군집 IV(소경목)의 4개 소나무군집으로 분리되었고, 교목층은 소나무, 아교목층은 쇠물푸레와 신갈나무, 관목층은 철쭉꽃과 진달래가 우점하였다. 4개 군집의 종다양도는 0.4320~0.9487(단위면적: 400m2)로 낮은 상태이었으며 군집간 유사성이 높았다. 생육밀도 분석결과 흉고단면적은 평균흉고직경 이 작은 군집일수록 낮았으며, 평균흉고직경, 개체수, 최단거 리 간의 회귀분석결과 생육거리(m) = 0.0934×흉고직경(cm)+0.6117, 개체수=242.47×흉고직경(cm)-1.1009, 생육거리=9.643×개체수-0.7016이었다. 아울러 본 군집들은 수령 30~50년생, 낙엽층 두께 0.5~2.5cm, 관목피도율 20% 정도로 송이생육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800원
        629.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남해안 완도지역에 자생하는 해조류 중 갈조류 9종, 홍조류 5종, 녹조류 2종의 지질함량을 조사하고 지방산조성을 GLC로 분석하였다. 총지질 함량을 볼 때 갈조류 9종은 0.58~3.00%, 홍조류 5종은 0.47 ~ 2.16%, 녹조류 2종은 0.55 ~ 2.00%로 매우 낮았다. 지방산 성분중 생리적으로 의의가 큰 n-3계열 지방산은 linoleic (18:3), stearidonic (18:4), eicosapentaenoic (20:5) 및 docosahexaenoic (22:6), n-6계열 지방산은 linoleic (18:2), linolenic (18:3), eicosadienoic (20:2), eicosatrienoic (20:3) 및 arachidonic cid (20:4) 등이 각각 정량되었다. 총 n-3 및 n-6 지방산 조성을 보면 갈조류는 1.46 ~ 25.67% 및 0 ~ 48.51%, 홍조류는 1.17 ~ 21.91% 및 0.28 ~ 29.35%, 녹조류는 3.67 ~ 10.61% 및 4.1 ~ 8.66%였다. 해조류는 갈조류, 홍조류 및 녹조류의 종류에 따라 n-3계열 불포화지방산과 n-6계열 지방산 함량 조성이 매우 상이하였으며, 특히 영양학적인 측면에서 볼 때 지층이, 톳유엽 및 실풀 외에도 광생이 모자반, 뜸부기, 톱니모자반, 꼬불꼬시래기 등은 n-3 polyenes의 조성비율이 높은 기능성 식품으로 활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고찰되었다.
        4,000원
        630.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carried out this subject to observe photoisomerization using 1,2-dioleoyl-sn- glycero-3-phosphocholine(DOPC) mixed with fatty acid containing azobenzene group which has reversible to cis-trans by light irradiation. Spreading solutions for the LB films were prepared in chloroform(5.0×10-5mol/L).We investigated the photoisomerization and property of the organic ultra thin film of fatty acid containing azobenzene was prepared on the hydrophilic ITO(idium tin oxide) glass plate by LB method. As a result, the absorption spectra of 8A5H and DOPC of mixture LB films was induced to photoisomerization by alternating irradiation of ultraviolet and visible light, because the condensation of pure azobenzene monolayers was loosened by the introduction of phospholipid into the monolayers, and the molecular high aggregation in pure azobenzene monolayers is also weakened by the introduction of phospholipid. We found that it was reversibly induced to cis-trans photoisomerization in several solvents and mixture LB films.
        4,000원
        631.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wo PU flame-retardant coatings, 2,3-DBPO/N-l00 (DBPON) and 2,3-DBPO/IL (DBPOI), were prepared by curing 2,3-dibromo modified polyester (2,3-DBPO) with isocyanate curing agent Desmodur N-l00 (or Desmodur IL) at room temperature. The physical properties and flame-retardancy of the two coatings were tested and compared. As a result, the pot-life, yellowness index, lightness index difference, 60˚ specular gloss, cross-hatch adhesion, viscosity, and accelerated weathering resistance of DBPON were better than those of DBPOI; the fineness of grind of the two coatings were the same; and the drying time, hardness, and abrasion resistance of DBPOI were better than those of DBPON. The flame retardancy of the flame-retardant coatings increased with the content of the flame retarding component, 2,3-dibromopropanoic acid (2,3-DBP); and the LOI values of the two coatings were in a range of 27~29% when the content of 2,3-DBP was 30wt%.
        4,000원
        632.
        200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s of the Rhynchosia nulubilis extracts on serum lipid concentrations were evaluated in rats. Forty-two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100±10g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and fed high fat and high cholesterol diets for four weeks. Experimental groups were administered with following diets; basal fat diet(control) and basal and high fat diets with 1% cholesterol and Rhynchosia nulubilis extract(40mg/kg, 400mg/kg and 4000mg/kg). The concentrations of serum triglyceride in rats fed the Rhynchosis mulubilis extract, high fat, 1% cholesterol, and RN-HFC(-40, -400, -4000mg/kg)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in other groups. The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in the RN-HFC (-40, -400, -4000mg/kg)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in fat diet groups. The concentrations of HDL-cholesterol in serum of the RN-HFC(-40, -400, 4000mg/kg)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The levels of LDL-cholesterol in serum of the RN-HFC(-40, -400, -4000mg/kg) groups were tended to be low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Rhynchosia nulubilis extract may reduce elevated levels of serum lipid concentrations in rats fed high fat diets.
        4,000원
        633.
        200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흰쥐의 식이섭취량에서 각각 지방 및 고콜레스테롤식이에 대나무 잎 추출물을 병합 급여하지 않는 군에 비하여 대나무잎 추출물 농도를 달리하여 병합 급여한군이 증가하였고, 체중증가량은 각각 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대나무잎 추출물을 급여하지 않는 군에 비하여 대나무잎 추출물 농도를 달리하여 병합 급여한군이 감소하였다. 식이효율은 지방식이군에 비하여 대조군이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없었다. 또한 각각의 지방식이에 대나무잎 추출물을 급여하지 않는 군에 비하여 대나무 잎 추출물 농도를 달리하여 병합 급여한 군간에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중성지질 농도에서 대조군은 241.17 mg/dL 인데 비하여 지방식이군은 249.00 mg/dL으로 증가하였다. 대나무잎 추출물을 급여하지 않는 각 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은 254.00~255.50 mg/dL인데 비하여 대나무잎 추출물을 농도를 달리하여 병합 급여한 군은 225.60~240.60 mg/dL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3% 농도군이 가장 낮았다. 총콜레스테롤 함량에서 대조군은 96.17 mg/dL에 비하여 지방식이군은 124.50 mg/dL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대나무 잎 추출물을 급여하지 않는 각각의 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은 134.07~199.33 mg/dL인데 비하여 대나무잎 추출물 농도를 달리하여 병함 급여한 군은 101.13~131.80 mg/dL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HDL-콜레스테롤 농도에서 대조군은 17.50 mg/dL인데 비하여 지방식이군은 18.50 mg/dL으로 증가하였으며, 각 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에 대나무 잎 추출물을 병합 급여하지 않는 군은 16.00~19.00 mg/dL이나 대나무 잎 추출물 농도를 달리하여 병합 급여한 군은22.00~24.80 mg/dL으로 증가하였다. LDL-cholesterol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지방 식이군의 함량이 증가하였고, 각각의 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대나무잎 추출물 농도를 달리하여 병합 급여한 군은 92.00~111.00 mg/dL 인데 비하여 대나무잎 추출물을 급여하지 않는 군은 111.17~122.40 mg/dL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동맥경화지수는 대나무잎 추출물을 급여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4,000원
        636.
        200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꿀벌의 월통에 얄맞은 실내 온도인 를 유지하면서 환기를 계속할 수 있는 저온양봉사에서 꿀벌의 실내월동 방법을 확립코자 수행되었다. 환기 팬의 작동 시간으로 실내 온도가 로 조절되고 환기가 행하여지는 저온양봉사에서 서양종 봉군을 공시하여 1997년부터 1999년까지 실내월동 시험을 수행한 성적은 다음과 같다. 실내월동 봉군의 폐사율은 1997~1998년 월동기간 중에 6.3~7.1% 그리고 1998~1999년 월동기간 중에 5~10%였다. 실내월동 시 월동 기간 중 봉군의 무게 감량 비율은 강군이 10.6~10.7% 그리고 약군이 10.2~11.7%였다. 월동 후 봉세 증가율은 강군의 경우는 136.1~142.3%였고, 약군의 경우는 128.0~136.5%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