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영월 화병 지역의 문곡층 상부에서 4속 5종의 필석 화석을 Dendrograptus sp., Callograptus curvithecalis Mu 1955, Adelograptus tenellus Linnarsson, 1871, Adelograptus sp. 그리고 Psigraptus jacksoni Rickards and Stait, 1984로 분류하여 기재하였다. 이들의 대부분은 한국에서 두 번째 보고되는 것이며 특히, Psigraptus는 캐나다 유콘(Yukon), 오스트레일리아의 빅토리아(Vctoria)와 태스메니아(Tasmania), 중국의 질린과(Jilin) 허베이(Hebei)에 이어 세계에서 6번째 보고이다. 문곡층 상부에서 산출된 화석에 의해 Adelograptus대, Callograptus-Dendrograptus대 및 Psigraptus대로 세 개의 필석 생물대가 인지된다. 이들 필석 생물대는 오스트레일리아 란스필드 지역에 분포하는 란스 필드층(Lancefield Formation)의 La 1.5대와 캐나다 유콘 지역의 로드리버층 (Road River Formation)의 Psigraptus대 및 북중국 질린 지역의 엘리층(Yehli Formation)의 Psigraptus대와 대비된다. 화병 지역에 분포한 문곡층 상부에서 산출되는 필석 화석은 이 층의 상부가 후기 트레마독(Tremadoc)의 초기임을 지시한다.
In recent years community-based corrections can be expected to play a much greater role in the criminal justice. Community-based corrections seeks to keep criminals in the community by building ties to family, employment, and other normal sources of stability and success. At the heart of community penalty systems today are the myriad conditions attached to sentencing courts' probation orders, and to special purpose orders for community service, curfew and like. Of course, a sentencing court imposing conditions of probation or another community penalty may not believe or intend them to be subjectively or objectively punitive. The court may not be imposing a penalty in that sense at all. In the viewpoint such as those backgrounds, it is very important somewhat for 'community justice', 'public safety' and 'restorative justice' etc.. They have political value as well as substantive merit, which increasingly leads managers of community-based corrections agencies - and other criminal justice agencies and community structures - to try to operationalize and harmonize the ideas in their practice. Therefore I am concerned ab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Element of a Sense of Community' and 'Community-Based Corrections'. A sense of community can be defined as "a feeling that members have of belonging, a feeling that members matter to one another and to the group, and a shared faith that members' needs will be met through their commitment to be together. McMillan and Chavis argued four elements of a sense of community, those are Membership, Influence, Integration and fulfillment of needs, and Shared emotional connection. This study is aimed to seek the meaningful connection between the theory of McMillan & Chavis and community-based corrections in Korea. I assume that the four factors having the greatest impact on community-based corrections in our country
사료용으로 적합한 우량품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콩의 18개 장려품종을 5월 11일에 30x 20cm 거리로 파종하여 생육수량성 및 조성분 등을 조사한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개화까지의 일수는 석량콩, 큰올콩 및 화엄콩이 58일로 짧은 편이었고, 단파흑두는 93일로 가장 늦었다. 그외 다른 품종이 개화까지 일수는 65∼69일이었다. 경장은 푸른콩, 남해콩이 각각 129.3, 124.6cm로 가장 길었고 큰올콩, 화엄콩 및 석량콩은 63.9∼66.9cm로
Job characteristics have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job characteristics are the core job dimens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ptitude and personality also act on job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chinese characters by province and 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odel for chinese by province and city. Consequently, we suggest to be applied the model to korean finns strategically, which push into China, by view of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adaptation in China.
본 연구는 아연폐광지역의 토양에 토양개량제를 처리한 후 구절초와 층꽃나무의 생장반응을 연구함으로서 생태계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아연폐광지의 토양은 유기물 함량ㅇ이 낮았고, 토양 중 중금속 이온은 Zn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Pb, Cu, Cd순이었다. 아연폐광지역 토양에 슬러지 처리 시 유기물 함량이 가장 높았고, 중금속 이온 함량은 토양개량제 초리구간의 차이가 적었다. 생육반응을 보면 구정초와 층꽃나무 모두 슬러지 처리구의 효과가 나타났다. 구절초와 층꽃나무의 가용성 단백질, 엽록소 함량, 엽록소 형광 반응은 슬러지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광함성량과 증산량도 슬러지 처리구에서 높았다. 중금속 축적량은 구절초는 슬러지 처리구에서 낮았던 반면 층꽃나무는 슬러지 처리구에서 높았다.
경북 영양지역 재래종인 수비초와 칠성초, 청도지역 재래종인 풍각초에 역병 저항성을 도입하여 육성한 계통, 이중 하나에 바이러스 저항성을 도입하기 위하여 육성한 계통, 풍각 재래종에서 선발한 역병 저항성 계통의 역병에 대한 저항성을 유묘접종으로 다시 평가하였다. 육성계통들은 모두 역병에 고도의 저항성을 나타내었으며, 풍각재래(KC268)에서 선발한 계통들은 중도의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선발개체들을 옥외 묘상에 심고 그 위에 방충망을 씌워 종자를 증식 채종하였다. 이틀의 육종적 활용방안에 대하여 논하였다.
E-business is rapidly prevailing in our society by increasing of the use of the internet. Therefore the education system of e-business should contain requirements of customers, i.e. various industries. College curriculum should be related to tasks of e-business. This paper deals with e-business tasks that make college curriculum. It surveys the situation of college education and topics in the field of e-business. This research analyzes the needs and opinions of the local area companies. The acknowledgement and realization of e-business implements are surveyed and the education contents for college are researched.
해수면 온도에 대한 구름복사 강제력의 지역 의존도가 조사되었다. 이 조사는 경년 변동과 계절 시간규모에 대해서 각각 조사되었다. 적도 동태평양에서 경년 변동의 경우 해수면 온도가 1˚C 증가할 때 순 구름복사 강제력은 약 3Wm-2가 증가하였으며, 계절변동이 포함된 경우 약 3.5Wm-2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열대 해양전체에서 경년 변동의 경우 해수면 온도가 1˚C 증가할 때 순 구름복사 강제력은 1.5Wm-2 감소하였으나, 계절변동이 포함된 경우 약 2.9Wm-2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해수면 온도에 대한 구름복사 강제력의 의존도는 적도 동태평양에서 열대 해양으로 넓어질수록 경년 변동에 의해 영향에서 계절변동에 의한 영향이 더 지배적으로 작용한다. 계절 변동이 포함된 경우 해역에 관계없이 해수면온도가 1˚C 증가할 때, 순 구름복사 강제력은 약 2∼3Wm-2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해수면 온도의 경년 변동이 뚜렷한 적도 동태평양에서는 경년 변동에 의한 구름복사 강제력이 대기를 가열하는 반면, 열대 해양 전체에서는 계절변동에 의한 구름복사 강제력이 대기를 가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