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관산 지역에서 채집된 표본을 동정한 결과, 관속식물 전체 종수는 117과 366속 519종 76변종 4품종으로 총 599종류로 나타났다. 본 지역은 봉의꼬리, 족제비고사리, 비자나무, 개비자나무, 참식나무, 붉가시나무, 송악, 팔손이, 동백나무, 사스레피나무, 차나무, 석창포, 이대 및 조릿대 등의 상록성 수종과 소사나무, 푸조나무, 상산이나 실고사리 등 낙엽성 난대성 식물이 혼재하고 있다. 구실사리, 히어리, 노각나무, 족도리풀, 노랑 제비꽃, 끈끈이주걱 등이 분포하는 것도 특기할 만하다. 환경부에서 지정한 평가단위별 특정식물은 5 등급이 1 분류군, 4등급은 1 분류군, 3 등급은 5 분류군, 2등급이 1 분류군 그리고 1등급이 37분류군으로 총 45 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본 시험은 제주지역에서 양마의 적응성과 생산량 및 사료가치를 구명하기 위해서 양마 Evergrlades 41, China Chong-pi 3 및 수수수단 교잡종 Pioneer 947를 이용하여 2000년 5월부터 11월까지 제주의 4개 지역( 제주시, 서귀포시, 성산 수산 및 한림 금악)에서 수행되었다. 건물수량은 수수수단 교잡종 (pioneer 947), 양마 (Everglades 41) 및 (China Chong-pi 3)을 비교시 각각 7,313,
초 록
본 시험에서는 ´77년에서 2001년까지 대관령지역 비래진딧물의 발생을 조사한 성적을 바탕으로 진딧물의 비래변동을 분석하였고, 2000-2001년간의 비래진딧물의 PLRV 보독률을 구명하여 ´89-´91의 보독률과 대조하였다. 각 연도별 자료는 5년 단위로 묶어서 평균 비래량을 계산하였고, 2000년까지 비래량을 비교하였다. 최초 ´76-´80 시기의 비래량은 평균 575.2마리였으나, ´91-´95에는 2959.4마리, ´96-2000 시기에는 2281.6마리로 비래량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91-´95시기에 많은 비래량을 보인 것은 ´94, ´95년에 가뭄이 연속되어서 진딧물의 발생에 좋은 조건을 제공한 것으로 추측된다. 비래진딧물의 비래최성기는 6월 상-중순 사이로 아직까지 연도별로 유의성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고 있지만,비래최성기의 우점종은 연도별로 약간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198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그 이전에는 복숭아혹진딧물이 우점 비래하였으나, 그 이후부터는 목화진딧물의 비래가 가장 많았다. ´89-´91년에 수행한 PLRV 보독률 조사에서는 비래진딧물의 6.7-10.0%가 PLRV를 가지고 있는 보독진딧물로 밝혀진 바 있다. 그렇지만 2000년, 2001년 조사에서는 각각 10.1%, 11.0%로 조금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과거 10년 전보다 진딧물의 비래량이 2배 이상 증가하고 있고 비래 진딧물의 종류도 다양해졌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보독률의 변동은 거의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울산시 정족산 산정상 부근에 위치하고 있는 무제치늪의 수문학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유역 환경과 몇 가지 기초 수문조사를 실시하여 늪의 강우유출 특성과 지하수위 변동 특성을 파악하였다. 늪 지역의 평균 유출률은 0.58로 일반 산지유역과 비슷하였다. 단기유출 수문곡선에서 유량상승부가 완만하게 증가하여 첨두유량이 출현할 때까지 많은 시간이 걸리며, 그 이후에도 유량의 감소형태가 일반 산지유역에 비해 천천히 감소하였다. 늪지역의 유출 성분 구성은 기저유출량이 풍부하고, 무강우 기간에도 유출량이 크게 감소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출하였다. 지하수위는 강우 직후에 피크에 도달하고 그 후 강우가 멈추면 다음 강우기간까지 지하수위의 감소가 아주 완만하게 일어나고 있었다. 강우강도가 클수록 지하수위의 감수곡선 기울기가 완만하였으며 지속시간이 길수록 피크부분이 오래 지속되었다. 장기 지하수위의 변화 경향은 강우와 유출 수위의 변화 경향과 거의 일치하였다. 향후의 늪지역의 물환경은 항상 일정한 지하수위를 유지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자연생태계의 보전을 위한 지역구분을 위하여 백두대간(피재-도래기재) 구간을 조사한 식생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식생의 보전가치를 식생지수라는 것으로 수치화하는 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식생지수는 생물다양성, 임분의 보전가치, 환경의 청정성, 임분의 역사성 입지의 생산성 등을 바탕으로 수치화하였다. 식생지수는 백두대간 관리범위 설정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식생지수 I의 경우 총 113개의 조사지 중에서 59개 지역 52.2%가 핵심지역에 속하고, 34개 지역 30.1%, 20개 지역 17.7%가 각각 완충지역과 전이지역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지수II의 경우 49개 지역 43.4%가 핵심지역에 속하고, 38개 지역 33.6%, 26개 지역 23.0%가 각각 완충지역과 전이지역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concern for health,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tional attitude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mother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among them, and to estimate their effects on the growth of their children. The questionnaire was answered by 780 mothers in the Busan area. The concerns over health and nutritional attitude were above average in all items. The perception and accuracy with respect to nutrition knowledge were 90.3% and 77.0%, respectively, and the mean score of the nutrition knowledge was 17.5 on a basis of twenty-five. This indicates that the subjects had a comparatively deep concern for health and good knowledge of nutrition, and professed a relatively desirable attitude. These results indicate a desirable dietary attitude for children as well as parent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nutrition knowledge and a concern for health, and between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tional attitude were very low. This suggests that the subjects' knowledge of nutrition does not develop into practic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high (r=.610) between the concern for health and the nutritional attitude. In conclusion,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mothers should be developed to add good practice to knowledge, thus increasing the concern for health, correcting their faulty knowledge of nutrition, teaching the good nutrition, and taking a practical attitude toward the use of their present nutritional knowledg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the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such as traditional holiday foods, rice cakes and beverages. The subjects were 598 elementary school students(male 310, female 288) in fifth or sixth grades. The most favorite traditional holiday food was rice cake soup(57.4%) and 92.4% of subjects wanted to keep the traditional holiday foods because of the traditional custom. The traditional beverages mainly drinking at home were sikhye(35.6%), misugalou(30.2%), green tea(18.5%), etc. Children's most favorite beverage was misugalou(90.5%) and they had no taste for ginseng tea(39.6%). Children did not know well about booggumi(64.1%), dootubdduk(63.3%), whajun(39.6%), etc. and liked gguldduk(94.2%) better than the others. They liked the rice cake because of its good taste(69.0%) and disliked it because of chocking(30.9%), not eating frequently(29.5%), hard and tough(18.2%), and so on. And they wanted to make the rice cake softer and sweeter like the cake and mostly ate it on the traditional holid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alyzed the general factors that influence school dietitians` satisfaction from their regular duties, the current status of food distribution to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itians and their governing authorities. Dietitians of primary school had higher score on direct management and working career. High school dietitian had higher scores on consignment management, freedom in amount of food distribution and number of meals a day. The highest score was on the relationship with other coworkers and the lowest score was on the poor working environment and salary. In general, dietitians in all schools are not satisfied the working environment and salary. Depending upon the duty time,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nature of their duties.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ature of duties and the professionalism based on the average income. Even though they got paid less, they felt satisfaction because of the less working times. The amount of labor for those in primary schools was more than the one for dietitians in high schools. It is likely that they got more satisfied when other related people feel satisfied with their own things and duties based on the nature of the duties, discretion of duties, professionalism, relationship with other coworkers and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process. It is to develop the nature of the duties for all the dietitians in order to launch the new and right ideas in meal plans for students. It is also to promote and uphold the professionalism and efficient management programs in association with the stable human resources. Assuming we will come up with a wide and broad nationwide survey, and further research shall be more reliable and objective than any others.
본 조사는 계란 유통실태 및 위생상태를 파악하여 품질향상과 위생관리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2001년 3-4월에 인천광역시 5개 백화점 식품매장에서 총 57종의 계란을 구입하여 조사하였다. 계란의포장은 10개 이하의 소량 단위포장 비율이 높았고, 전 품목을 실온에서 보관하였다. 유통기한은 40종(70.2%)이 28일 이상으로 표기하였다. 유통되는 특수란은 31종(54.4%)이었다. 유통기한과 산란일자는 모든 품목에서 표시되었으며 주로 상표나 난좌에 표기되었다. 내용량에 대한 표시는 38종(66.6%)만이 실시하였다. 난각에 분변이나 털이 있는 경우 27건(9.5%), 난각이 기형이거나 깨진 경우 11건(3.9%), 난 내용물에 혈반이나 육반등의 이물이 있는 경우는 42건(14.7%), 상한 계란은 5건(1.8%)이 유통되었다. Haugh Unit(HU) 검사결과 평균은 56.1이었으며, HU 31 미만의 품질저하 계란은 18개(6.3%)이었고, 총 57종 중 12종(21.1%)에서 1개 이상의 품질저하 계란이 조사되었다. 난각의 일반세균 오염수준은 <10∼8.2×10^3 cfu/ml으로 고르게 분포하였고, 대장균은 8건(4.7%)이 검출되었다. 총 285개의 계란(난황)에서 Salmonella enteritidis는 검출되지 않았고, 계란에 잔류하는 항생물질은 1종에서 테트라사이클린 계열이 검출되었다. 그 동안 위생관리의 사각지대에 있었던 계란에 대한 품질관리와 유통개선을 위한 법적, 제도적 근거가 마련되면, 계란의 표시 및 품질기준 등 사양관리에서부터 유통단계에 이르는 전반적인 안전성 관리방안이 검토되고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mphasizes a comprehensive strategy to reduce crime risk factors in individual, family, school, peer group, and community levels. This effort includes prevention, early intervetion, and treatment services for juvenile offenders. This study offers a coordinated, community-based multi-agency network system both to provide several simultaneous services for youths and to reduce disorganized neighborhood environments. This stuy suggests a role of each agency such as family, school, welfare center, police, probation officials, church, business, and residents in a community-based comprehensive multi-agency collaborat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engagement of neighborhood residents as a main role in comprehensive multi-agency activities.
황강리 지역 형석 광화대내 석회암 및 화강암지역 지하수의 수문지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석회암 지역 지하수는 Ca2+-HCO3 -유형이며, 화강암 지역 지하수는 (Ca2++Na+)-HCO3 -유형이다. 연구지역 내 광산폐수에 의한 음용지하수의 오염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으나, 백악기 화강암내 음용지하수에는 불소함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곳이 많다. 화강암 지역 지하수는 F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Na, HCO3, Li, pH 등이 증가 하는 지구화학적 특성을 보인다. 지하수내 불소의 기원은 형석 혹은 함불소 규산염광물의 용해에 기인하며, 이들 광물은 산성 화강암류와 성인적 관련이 깊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남도 완도군 고금도 지역 지하수의 수리지구화학과 수소-산소동위원소를 파악하여 해수침투경로와 오염여부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지역 지하수의 물리적인 특성은 중성과 전이환경에 속하며, 해수와 지표수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적인 특성에서도 해수의 침투, 육상의 오 · 폐수 및 농약이나 폐기물에 의해 오염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지하수 중 여섯 지역에서 Cl은 먹는 샘물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이퍼도에서 GG-4와 14지역은 해수의 침투로 오염되었으며, 수질유형을 구분하여 보면 GG-3, 7 및 13지역은 Na와 HCO3가 지배적이고, GG-14지역은 해수와 같이 Na와 Cl이 지배적으로 나타났다. 수리지구화학적인 모델링 분석결과 해수의 방해석과 백운석 포화지수는 과포화상태이며, GG-3, 14 및 18지역에서 포화영역에 접근하고 있다. 수소-산소동위원소비에서 본 역 지하수의 기원은 순환수이며, GG-1, 5 및 14지역의 높은 산소동위원소는 지표수의 유입과 해수 침투에 의한 것이다. 본 연구결과 GG-14지역의 지하수는 해수의 침투에 의해 오염되어 있으며, GG-3, 7 및 13지역을 제외한 지하수들은 해수의 침투 및 인위적인 오염원에 의해 오염이 진행되고 있다.
울릉도의 식물상은 총 109과 355속 526종 2아종 89변종 10품종 총 627종류(Taxa)로 파악되었다. 현재까지 보고된 울릉도 식물상은 총 122과 465속 762종 5아종 178변종 21품종 9교잡종 총 975종류로 정리되었다. 울릉도에 분포하는 식물의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한반도, 울릉도 및 일본열도 간 식물상을 비교한 결과, 울릉도의 식물은 한반도와 더 유사한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울릉도에 자생하는 특산식물을 포함하여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의 서식처는 보다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관광객의 증가로 귀화식물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므로 외래종에 대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울릉도의 특정 생태계나 특산식물을 포함한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의 서식처를 보전하기 위하여 생태계 보전지역 이상의 수준에서 보전지역으로 지정하여, 점차 파괴되어 가는 울릉도의 자연생태계를 보호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everal aspects of eating out behaviors especially in relation to Chinese food.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s were completed by 556 food-related major college students in Kangwon-do a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frequencies of eating ou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type of residence, and the amount of spending money per month of the subjects. 2. Korean foods had a tendency to be selected as a first choice of eating out with both family and friends. The subjects preferred Korean foods, Western foods, Chinese foods and Japanese foods in order with their family but flour based foods, western foods and chinese foods in order with their friends. Japanese foods were not selected at all when they ate out with friends. 3. The 80.7% of male subjects and the 58% of female subjects liked Chinese foods. High calorie food was the feeling about Chinese foods for the male subjects and greasy food was for the female subjects. Taste was the most considered factor for choosing Chinese foods. 4. The 80% of subjects answered that Chinese food culture affected that of Korea. The 77% of subjects thought Chinese noodles were settled down to Korea. 5. Using MSG to Chinese foods was recognized as health-concerning factor for 67% of male subjects and 72% of female subjects.
본 연구는 우리의 전통혼례음식을 발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 수집의 일환으로서 부산, 경남지역 주부들의 혼례음식에 대한 관행 및 견해를 조사한 것이다. 응답한 525부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는 부산지역 주부들이 77.9%, 경남지역 주부들이 22.1%이었으며, 30대가 34.5%, 40대가 31.8%를 차지하였고, 전업주부가 43.5%, 직장인이 34.7%, 고졸이 49.3%, 수입정도는 100만원대가 44.2%, 핵가족의 구성이 66.9%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2. 이바지음식, 폐백음식, 예단음식의 필요성은 이바지음식의 필요성이 가장 점수가 높았고(3.36±0.93), 연령이 높을수록 높은 점수를 보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학력이 낮을수록 폐백음식(p〈0.01), 예단음식(p〈0.01)의 필요성에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또한 수입정도가 높을수록(p〈0.01), 핵가족 및 기타의 가족구성(p〈0.05)이 이바지음식의 필요성에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3. 봉치떡, 신부큰상, 시부모큰상, 함, 혼서지 등의 필요성은 시부모큰상이 3.19±0.97로 가장 높은 점수이며, 연령이 높을수록 봉치떡, 함, 혼서지에 유의적(p〈0.001)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고, 신부큰상, 시부모큰상에도 유의적인 차이(p(0.01)를 나타냈다. 학력이 낮을수록 봉치떡(p〈0.01), 함(p〈0.05), 혼서지(p〈0.05)의 필요성에 대체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4. 혼례음식의 종류 중 가장 선호하는 것은 떡(58.4%), 생선류(27.3%), 과일류(17.0%), 한과류(16.1%), 산적류(14.1%)의 순으로 나타났다. 5. 현행 혼례음식에 대한 견해는 좀더 간소화하여야 한다가 64.4%, 생략되어야 한다가 17.8%로 나타났으며 연령별(p〈0.001), 직업별(p〈0.01), 가족구성별(p〈0.05)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6. 현행 혼례음식의 상차림의 실천에 대한 견해는 간소화 한다 57.5%, 양가가 의논해서 23.4%로 나타났으며 직업별(p〈0.05)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7. 자녀를 결혼시킬 때 혼례음식을 장만하는 방법에 대한 견해는 손수 장만하겠다는 비율이 30.1%, 주문하겠다 28.7%로 나타났으며 연령별(p〈0.01) 직업별(p〈0.05)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8. 주부들 자신이 혼주가 되었을 때 음식차림의 정도에 대한 견해는 양가 상의 하에 간소화하겠다가 51.0%, 보통이면 만족하겠다 19.8%, 기본적인 것만 해도 좋다 1%로 나타났다. 이는 연령별(p〈0.05), 직업별(p〈0.05), 학력별(p〈0.05), 가족구성별(p〈0.05)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9. 혼례음식의 전수와 보존에 대한 견해는 조금씩 사라질 것이다가 52.1%, 유지될 것이다 21.8%로 나타나 연령별(p〈0.001), 직업별(p〈0.01)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연령이 높을수록 전통을 유지하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0. 혼례음식과 예식절차와의 관계에 대한 견해는 시대에 따라 변해야 된다 57.5%, 너무 겉치레이다 17.9%로 나타났다. 연령별(p〈0.001), 학력별(p〈0.05)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1997년 이후 일부 계층의 부의 과시처럼 혼례음식을 준비하는 경향이 이루어져 극도로 사치화 하는 혼례음식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내었지만 1999년 1월 6일자로 "가정의례의 정착 및 지원 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므로 인해 전면 허용됨에 따라 우리의 혼례음식 또한 그와 더불어 더욱 고급화, 허례허식화 된 것에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신식혼례에 혼례음식은 전통을 고수18)한다는 명목하에 일부 부유층에서는 다시 혼례의 사치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최근 세계화는 곧 우리의 전통문화를 알리는 것이라는 목소리에 주부들이 전통음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이는 학습으로 연결되어 많은 주부들이 혼례음식을 배우고 있기 때문에 혼례음식의 인지도가 높아진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아직도 현시대에 맞는 적합한 모델이 제시되지 않은 상태이고 혼례음식 또한 혼례풍습과 함께 이어져 나갈 것은 확연한 사실이므로 이에 우리는 현시대에 맞는 적합한 모델을 찾아야 할 것이다. 즉 혼례음식이 가지는 기복의 의미를 되살리고 혼례음식을 준비하는 우리의 주부들의 사회, 경제적 부담을 줄이면서 전통계승을 살릴 수 있는 모델의 제시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