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영암 인근인 영산강 하류 부근의 3개소에서 채취된 시추퇴적물의 수직적인 퇴적환경과 지구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알아 보기 위하여 이들 시료를 대상으로 퇴적물의 입도 분포와 금속원소의 함량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시추퇴적물의 심도에 따른 입도는 잔자갈에서 니질에 이르고 상향세립화의 특성을 가진다. 퇴적물의 분급도는 poorly sorted에서 very poorly sorted로 불량하게 나타났으며, 왜도는 대체로 양의 왜도가 우세하였다. 퇴적물의 입도별 분포상에서 연구지역의 퇴적층은 사행천을 이루는 하성층으로 생각된다. 지구화학적 원소들의 거동은 일부 시추퇴적층 입도의 상향세립화에 대한 의존도가 영향을 주기는 하였으나 탄산염 함량변화 등을 포함하는 환경적 변화에 의한 조절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퇴적물에 함유된 금속원소들의 농축을 알아보기 위한 부화지수의 분석결과는 유의할 정도의 부화가 관찰되지 않아 특정 금속원소에 의한 농집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1997년 12월 이후 남한 중부지역에서 방생한 지진 중 13개 지진에 대하여, 지역에 따라 5개 그룹으로 구분하여 P 파 극성을 이용하여 구한 복합단층면해와 P, S파 극성 및 진폭비(SV/P, SH/P, SV/SH)를 이용하여 구한 결과를 비교 해석하였다. 지진원에서의 단층운동은 NNE-SSW와 WNW-ESE 방향의 단층면을 나타내며 주향이동 혹은 역단층성 주향이동운동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단층운동에 작용한 주압축응력방향은 ENE-WSW 방향, 혹은 NE-SW 방향을 나타내며, 이는 남한지역에 발생하는 주요 지진에 대하여 구해진 주압축 응력장 방향과 거의 일치한다.
This study was peformed to investigate the use of preprocessed foods, satisfaction on using them, and the plausibility to extend its use in 134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s in Incheon by questionnaire from December 11th to 28th in 1999. The percentages of school foodservices to purchase and use preprocessed foods were 99.06% in seed, 97.64% in fishes and poultry, 87.74% in meats, 57.55% in eggs, 55.32% in fresh vegetables, 51.42% in dried vegetables and 34.90% in beans. Dietitians were satisfied with having used preprocessed foods, and the reduction in cooking time was listed as the biggest advantage which could be obtained by using preprocessed foods. However, dietitians showed relatively negative attitudes for the plausibility to expand use of preprocessed fo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the conscious of eating habit of housewif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50 housewives who were the age group of 20-60's in Sang-Ju. The survey was taken place from May to June in 2000.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ting habit's consciousness according to housewife's age group: 1. As the age goes up, the housewife had less consideration herself when they purchased food and decided cooking method. 2. As the age goes down, the order in having meal was depended on conditions. But as the age goes up, they considered the order as important thing like followings; eating together, eating separately according to the sex, male first, senior first, housewives lastly. 3. The survey showed that there was distinction depending on sex in meal as age goes up. And The subject was conscious that the delicious and valuable meal served to male, senior and child before. 4. Regardless of senior, the consciousness for the skipping meal was high as the age goes down. 5. As the age goes up, female and seniors showed that leftover was not so good. 6. The consciousness that housewives were responsible for preparing the meal was high as the age goes up, but they had further difficulty in preparing meal as the age goes down. 7. In considering that male and senior should be participated in the kitchen work, they had high consciousness as the age goes down. 8. About role of cooking, the consciousness was hish in case of male as the age goes down, in case of female and housewife were high as the age goes up. 9. As the age goes up, The consciousness was high that Female must buy the food. 10. As the age goes up, they had high consciousness in considering that the meaning of meal was related to survival, that noodle and bread were not meal. And the consciousness about that eating out was not good for health was high as the age goes u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several aspects of health and food related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in Wonju area. Questionnaires were delivered personally to 430 students. The 37.9% of subjects were self-boarded and 27.4% lived in their home in Wonju area. They spend 230,000 won in average per month. Male students spent money more than female students and self-boarding students spent money more than other residental type students. The 90% of subjects thought they were healthy and the 25% of subjects exercised regularly. The subjects self-recognized their body as fat were more concerning about their weight control and had more weight control experience. SeIf-boarding students tended to skip their meals and had unbalanced diet. Students who lived in dormitory tended to skip meal less.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at balanced diet, snack intake, and left meal than male students. Self recognized their body as medium showed lower scores at overeating and eating irregularly. The amount of consumption of carbonated beverage was the highest among several instant foods. The frequencies of intake of those instant foods were different by gender, residental types, and eating behavior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health food usage of the adults by food lifestyles pattern in contemporary Seoul. This study views health food consumption as a cultural practice in which people produce (and reproduce) diverse social relationships and cultural meanings. It also identifies food lifestyles and health food usage pattern of Korean adult in Seoul. This topics were discussed based on field research data collected by nutritional survey with questionnair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pattern of health food and food lifestyles, 503 men and 437 women aged 18 to 65 years were divided into 5 groups of food lifestyles : Health Eaters, In-a-Dither, Traditional Eaters, Conscientious and People on the Go. As a substantial percentage of the subjects were used some kinds of nutrients supplement. The higher the age and family income were, the higher the percentage of health food usage was.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xes in usuage of health food. Health food usage was higher in the food lifestyle pattern of Health Eater than other food lifestyles.
1980년대 말 시점과 1990년대 말 시점을 비교구간으로 설정하여 서울 한남동지역에 대한 대기중 수은의 농도분포변화양상을 비교해 보았다. 긴 시간 동안 발생원과 소멸원이 지닌 관계의 변화와 같은 영향에 의해, 양 기간대의 농도분포는 절대적 및 상대적 관점에서 모두 뚜렷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80년대말 시점의 농도가 14.4±9.56 ngm-3인데 반해, 90년대 말 시점에는 이보다 1/3 가까이 감소한 5.34±3.92ngm-3를 유지하였다. 두 기간대에 관측된 농도 및 주변환경변수를 여러 가지 주기별로 수은의 농도분포양상을 비교해 보았다. 24시간 주기 또는 계절별로도 양기간대의 농도분포는 뚜렷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과거 시점에는 낮 시간대에 고농도가 발생하는 현상이 빈번한데 반해, 현 시점에서는 이러한 양상을 확인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계절적으로 겨울철에 고농도가 집중되는 현상은 과거나 현재나 유사하지만, 과거의 경우 겨울철 고농도가 여타 계절에 비해 확연했던데 반해, 최근의 분석결과는 계절간 차이가 상당 수준 줄어 들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이들 자료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양 기간대에 현저하게 차이가 나는 농도분포는 주로 각 기간대별로 수은의 농도를 조절하는 주생성원의 성격이 현저하게 다른 데 따른 가능성이 강할 것으로 사료된다.
1999년 9월부터 2000년 7월까지 서울시 한남동과 경기도 과천시 두 지역을 중심으로 대기 중 수은의 농도를 시간대별로 관측하였다. 두 지역의 여러 가지 여건 차이에도 불구하고, 양 지역의 농도는 각각 5.34(N=2576), 5.25ngm-3(N=1992)를 기록하였다. 본 자료를 이용하여 양 지역의 농도 분포 특성을 비교하였다. 24시간 주기로 볼 때, 한남동 지역은 야간대에 그리고 과천 지역은 주간대에 높은 강도를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적으로는 한남동 지역에서 겨울 그리고 과천 지역에서는 여름에 최고농도를 기록하였다. 양 지역에서 수은의 농도를 조절하는 요인을 여러 가지 통계적 기법으로 고찰하였다. 본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연구 지역의 대기중의 수은 분포는 지역적 발생원의 차이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 지방 기상청을 대상으로 하는 지역 규모 단시간 수치예보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기상청 본청에서 하루 2회 제공되는 30 km해상도의 수치예보 자료로는 지방 기상청의 예보관들이 우리 나라와 같이 복잡한 지형에서 발생하는 그 지역의 국지 악기상을 파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지역 규모의 고해상도 수치예보를 위해 LAPS와 MM5를 자료분석과 예보 모델로 이용하였다. LAPS는 양질의 수치예보 초기자료를 생산해 내기 위해 종관 관측 자료뿐만 아니라 위성 및 레이더 등의 비 종관 관측자료도 자료동화에 이용한다. MM5 모델은 16노드의 펜티엄 PC로 구성된 클러스터에서 수행되었으며 이 시스템은 분산병렬 클러스터 컴퓨터로 가격대비 성능이 매우 우수한 미니 슈퍼컴퓨터이다. 자료동화 모델, 수치예보 모델 그리고 PC-클러스터를 종합한 지역 규모 단시간 수치예보 시스템을 한라 단시간 예측 시스템이라 명명하였으며 이 시스템은 현재 제주 지방 기상청에서 독자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기상청 본청에서 제공되는 수치예보 정보로는 탐지할 수 없었던 1999년 7월 9일 제주 지역의 집중호우 사례에 대하여 본 시스템을 검증한 결과 모델이 예측한 강수량이 실제 강수량을 잘 재현하였다. 한라 단시간 예측 시스템은 2000년 4월부터 하루 4회 제주 지방기상청에서 독자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소백산육괴의 서남부에 위치한 승주-순천 지역에는 화강편마암, 반상변정질편마암, 우백질편마암이 우세하게 분포한다. 이들 정편마암은 연구지역에서 순차적인 관입관계를 보여준다. 이 연구는 이 세 정편마암들의 원암인 화강암질암의 지구화학적특징과 지구조적인 환경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리카-알칼리 IUGS 분류도에 의하면 반상변정질 편마암은 섬록암에서 화강섬록암 영역에 속하고, 화강편마암과 우백질편마암은 화강섬록암과 화강암 영역에 걸쳐 점시된다. 주성분원소의 여러 특성은 본 편마암류의 원암은 비알칼리암이며, 동시충돌형 구조장에서 형성된 S형의 마그마임을 지시한다. 고장력원소를 이용한 구조장 판별도에서는 본 편마암류의 근원암이 칼크알칼리암계열의 화강암류이며, 동시충돌형 구조장에서 형성되었음을 지시한다.
2000년 춘계에 한국 농촌지역인 충남 서산에서 대기부유분진(SPM)과 곰팡이포자의 관계에 대해 조사하였다. 부유분진의 농도는 1차 황사기간(3월 23-24일)에 199.8μg m-3, 2차 황사기간(4월 7-9일)에 249.4μg m-3, 비황사기간(5월 12-6일)에 98.9μg m-3으로 각각 나타났다. 2회의 황사기간들간에 부유분진 농도는 차이를 보였지만 5μm 정도의 입경 크기를
In order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nitrogen on agronomic characters, forage yield and quality, a Kenaf was cultured on the volcanic ash soil at the Experimental Farm of Cheju national University under the seven levels of nitrogen rates(0, 50, 100, 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