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39

        5061.
        2003.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용후핵연료와 같은 고준위 방사성물질을 취급하는 핫셀 내에서 원격취급장치인 MSM의 작업영역을 벗어난 지역에 위치한 공정장치부품 유지보수공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상 핫셀공정인 사용후핵연료 차세대관리공정에 대한 가상목업을 구축하였으며, 구축된 가상목업을 이용하여 MSM 작업영역 및 작업자 시각영역을 분석하고, 그래픽 가상목업의 충돌감지 기능을 이용한 서보 조종기의 경로계획을 수립하였다. 또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서보조종기에 의한 사각지역 내 부품 유지보수 공정을 설정하였으며, 설정된 공정은 그래픽 전산모사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제안된 유지보수 공정은 실제 핫셀공정 수행시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며, 그래픽 가상목업은 다양한 핫셀 공정에 대한 분석 및 작업자 훈련 시스템으로 활용하여, 작업 효율성 및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5064.
        200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a civil affair occurrence of bad smell and meteorological conditions around Seongseo district for recent 2 yea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ivil affair occurrence days of bad smell were concentrated from May to August. (2) Daily mean temperatures were mostly 20~28℃ and daily mean relative humidities were 60~80%. (3) Wind speeds were mostly less than 2m/s(75%), and wind directions were southerly winds(50%). It was hardly occurred for relatively well-ventilated conditions in cases of wind speeds 2m/s over. And the Lagrangian particle dispersion model were used to figure out the transport route in a civil affair occurrence days of bad smell. It was found that the south-western winds transported the bad smelling materials from Jungni-dong(the place of source) to the housing complex located along a piedmont district.
        5065.
        200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ourly data of PM10 concentration collected from nine automatic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in Busan from 1999 to 2002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spatio-temporal variation and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PM10 episodes in Busan metropolitan area. Mean concentrations ranged from 47㎍/m3 to 77㎍/m3. For most stations, mean seasonal hourly concentrations are lowest in summer and highest in spring. PM10 episode above daily mean standard(150㎍/m3) exhibited a maximum frequency at Gamjeondong and a minimum at Dongsamdong, and a maximum in March and a minimum in July and August. The diurnal variation of PM10 episode days is strongly influenced by traffic loads and meteorological conditions.
        5066.
        200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가뭄은 주요 자연 재해 중의 하나이다. 가뭄 파악을 위하여 주로 강우량과 같은 기상자료를 주요 입력 자료로 활용하여 분석하고 있으나 이러한 기상 자료는 한정된 기상 관측소로부터 얻어진 점자료에 해당된다. 따라서, 기상자료를 이용한 분석에서는 시간적 혹은 공간적으로 원하는 자료의 제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원격탐사 자료는 가뭄분석을 위하여 기상자료에서 포착할 수 없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5073.
        200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국의 약용작물로 널리 알려진 홍경천의 충북도내 재배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 한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상부 생육상황은 최고조에 달했던 7월의 경우 초장은 8.1­15.8cm, 줄기수는 3.1­3.6개였으며, 여름철엔 하고현상이 심하여 지상부의 고사율이 76­94%로 매우 높았다. 지하부 생육상황의 경우 근장은 단양지역이 6.8cm로 가장 컸으나 굵기는 청원이 10.0mm로 가장 굵었으며 , 생체중 또한 3.5g으로 제천, 단양 대비 3.5배 정도 높았다. 한편 뿌리 부패율이 62.3­86.5%로 매우 높아 당분간 농가재배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개화기는 6월 중.하순으로 개화기간은 12­13일 정도 되었고, 개화율은 60­77%정도 되었으며, 복산형화서로 꽃색은 자색, 황녹색, 회자색, 자홍색 등 다양하였다. 종자는 미세종자로 성숙기는 8월 중순­9월 하순이었고, 색깔은 황갈색이었으며 종자의 길이는 1.5­2.0mm, 너 비 는 0 1­0.5mm, 천립중은 0.13­0.15g으로 조사되었다.
        5074.
        200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남부 도서지역인 진도 지방에서 울금 다수확의 기 초 자료를 얻고자 차광 재배를 실시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도 지역에서 울금을 4월 20일 정식할 경우 4주 지난 후에 출현되고, 출현율은 83­88%이었다. 초장은 129cm­147cm이였고, 차광의 정도가 높을수록 초장이 커지는 경향이었다. 엽장은 47.5cm­49.4cm로 차광 30­60%에서 약간 양호하였다. 또한 엽폭은 16.9­17.9cm로 차광이 높을수록 짧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울금의 1주 근경중은 941­993g으로 비대가 잘되었고, 10a당 3,980­4,200kg을 생산 할 수 있었으며, 15%와 30%차광이 수량이 약간 증수되었으나 45%이상의 차광에서는 오히려 감소되는 경향으로 차광의 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울금을 재배할 경우 15%차광에서 생육이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고, 근경 수량이 약간 증수되나 경제성을 고려하여 재배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5075.
        200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al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variation trend of air pollution concentration index and the meteorological conditions with CO(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and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in high-CO episode days. CO is a representative automobil air polluta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Most of the high-CO episode days within 30 classes appeared in winter season. 2.Most of them appeared under the surface weather conditions with east-west high-pressure system. The surface winds in this high-pressure area were very light. 3. The high-CO episode days were due to unusual accumulation within urban atmosphere in the morning. 4.The Atmospheric stabilities were more stable, and then the wind-ventilation conditions were worse than yearly mean atmospheric condition in Daegu.
        5076.
        200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scenario for a numerical modeling of the fine grid scale air dispersion phenomena was proposed and an analysis of the special event which was occurred on September 3, 2002 was performed using by a coarse grid prognostic meteorological model, a fine grid diagnostic meteorological model and a fine grid air dispersion model. Based on the results, we found that the local circulations, like as land-sea breeze,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for evaluating the high PM10 concentration event and for making the reduction policy of the major air pollutant emissions in Ansan area.
        5078.
        200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리형 분지인 백악기 음성분지와 단층 접촉하는 무극 광화대는 백악기 흑운모 화강암을 모암으로 하여 배태된 금.은광상들로 구성된다. 무극 광화대내 금.은광상들은 북측의 무극광산으로부터 남측의 태극광산까지 서로 다른 금.은 품위비, 광석광물의 종류 및 산출 빈도 등을 보이며 열수변질대 분포 특성에 있어서도 상이한 공간적 분포특성을 보인다. 비교적 높은 금.은 품위비를 보이는 금봉광산은 복성맥의 구조를 보이며 석영맥으로부터 견운모대 → 아견운모대 → 프로필리틱대 → 아프로필리틱대의 열수변질대가 수평적으로 발달하는 특징을 보인다. 광화대 최남단에 위치하는 태극광산은 상대적으로 낮은 금.은비를 보이며 망상 세맥을 중심으로 프로필리틱대 → 아프로필리틱대의 순서로 열수변질대가 발달한다. 열수변질대의 수직적 변화는 대체로 변질대 하부에서 견운모대가 우세하나, 상부에서는 프로필리틱대가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점토대가 불연속적으로 중첩되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열수변질대의 상이한 수평.수직적 분포 특성은 각 광산의 열수계의 차이를 반영한 것으로, 금봉광산은 비교적 고온.고염도와 물-암석 상호반응이 진행된 광화 유체로부터 견운모대가 형성되었으며, 태극광산은 상대적으로 저온 저염도와 물-암석 상호반응이 미약한 광화 유체에 의하여 프로필리틱대가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런 열수계의 차이는 각 광산이 열수계의 열적 중심(무극광산)에 위치하는지 또는 외곽부(태극광산)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열수변질대 분포 양상과 금.은비 분포 양상의 차이를 유도한다. 따라서 무극 지역 탐사시 열적 중심부에 해당하는 고온의 지온 구배가 형성되는 지역과 물-암석 상호반응에 의한 견운모 변질작용이 우세한 지역을 고품위대 탐사 지침으로 제시할 수 있다.
        5080.
        200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충청북도 미원지역의 운교리층 내에 산출하는 마가라이트(margarite)를 고분해능 투과전자현미경(HRTEM)을 이용하여 단위포 규모의 미세한 협재조직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편광현미경과 후방산란전자 영상을 이용하여 기존에 확인된 녹니석의 협재조직을 보여주는 마가라이트 결정들을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마가라이트 결정내에는 녹니석이 흔히 얇은 packet 형태로 매우 불규칙하게 협재되어 있으며, 그 두께는 수백 a에 달하거나 부분적으로 녹니석 layer가 개별 단위로 나타나기도 한다. HRTEM으로 관찰한 마가라이트는 매우 규칙적인 2M 다형구조를 보여주며, 전자회절 패턴에서 001 (또는 c* ) 방향으로 강한 streaking을 보여주고 있지 않기 때문에 stacking disorder가 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마가라이트 packet내에는 두께가 5 a인 부르사이트 layer들이 부분적으로 관찰되는데, 마가라이트 layer사이에 이러한 부르사이트 layer가 단위포 규모로 협재되어 부분적으로 녹니석 구조를 형성한다. 마가라이트의 (001)과 녹니석의 (001)은 서로 평행하지만 두 광물간의 구조적인 연속성이 결여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특징은 마가라이트내에 발견되는 녹니석은 용해와 침전 작용에 의해서 생성되어 협재조직을 이루었음을 지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