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20

        581.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eligious authority has generally rejected iconolatry. In order to reinforce the religious authority and to organize the Church which was distracted by the Reformation, the authority had to introduce the image which was the fruit of the Western Catholic Church, and the piety which was distracted by hagiolatry, into the Protestant Church system. There were cases where the desire for Reformation was connected to the ambition for the religious power. Naturally, the arts began to be excluded, and only Luther among all the Reformers did not forbid the arts from being passively accepted. The other radical Reformers were dissatisfied with this kind of attitude and insisted upon stronger iconoclasm. Karlstadt, Calvin and Zwingli started to go their separate ways. The Reformers held fast to the recognition that art was idolatry itself, as a response to idolatry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even before they mentioned any theological criteria regarding distinction between art and idol. And the iconoclasts marked radical acts down as clearer, stronger response to the Catholic Church, which would strengthen the Reformation. It cannot be affirmed that the other radical Reformers except Luther failed to have eyes for art and beauty. In Churches of the regions where the Reformers gained victory, holy pictures were no longer demanded as they used to be in the Middle Ages. The artists had to paint other topics for living. Ironically,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of the present time is actively accepting modern technology. The images of Jesus Christ and the holy pictures are slowly disappearing from Church walls. and are replaced by CCTVs showing videos of the pastor’s sermon. The influence of the pastor’s image which is periodically broadcast through closed circuit cannot be irrelevant to the Church’s propaganda and the believers’ idolization of their pastor. A theological excuse is demanded to carefully reconcile the attitude of Luther who used his own portrait to unfold the Reformation, with the attitude of the other Reformers who were dissatisfied with him and insisted upon stronger iconoclasm. The Protestant Church has to focus more on esthetic education to enhance piety through the religious arts, rather than strongly present the pastor’s image on a CCTV.
        582.
        2011.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과 체육교사의 성별에 따라 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사의 상호작용적 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고, 지각된 체육교사의 상호작용적 행동과 체육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중학생 473명(남학생=236명, 여학생=237명)이며, 자료는 2(학생의 성)×2(교사의 성) 다변량분석과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다변량분석의 결과 여자교사에게 수업을 받는 여학생이 남자교사의 수업을 받는 여학생보다, 남자교사의 수업을 받는 남학생이 여자교사의 수업에 참여하는 남학생보다 체육시간에 주어진 활동에 대해 교사로부터 책임을 다할 기회가 더 많이 주어진다고 보고하였다. 여자교사의 수업을 받는 남학생은 남자교사의 수업에 참여하는 남학생보다, 여자교사의 여학생이 남자교사의 수업을 받는 여학생보다 체육교사가 더 엄격한 행동을 보인다고 지각하였다. 위계적회귀분석의 결과 체육교사의 리더십과 도움/친밀감, 이해 수준이 즐거움을 예측하였으며, 체육교사의 리더십 행동은 정적으로 불확실한 행동은 부적으로 지각된 유용성과 관련이 있었다. 이 결과는 체육교사의 상호작용적 행동이 교사와 학생의 성별에 따라 다르게 지각되고, 이러한 지각은 중학생의 체육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583.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등기술교육은 기술의 세계에 대한 소개와 실천적 체험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보다 창의적인 문제해결의 경험을 제공하고자 실시되어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기술교육에 대한 초등현직교사들의 태도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초등기술교육의 실천을 위한 교사들의 동기유발과 어려움을 조사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 연구는 국내외의 초등기술교육과 동기유발이론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이론적 기초를 가진다. 초등기술교육에 관한 교사들의 동기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대-가치(Expectancy-Value) 이론과 초등기술교육에 관한 문헌 연구를 통하여 조사도구를 제작하였다. 이 연구의 참가자는 중부지역에서 이루어진 초등 교사를 위한 2개의 연수에 참여한 302명의 교사들이며 이 중 설문 참여에 동의한 219명의 교사들이다. 수집된 설문지의 자료는 SPSS 17에 의해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 분석, 독립적 t 검증을 통해 자료 분석이 이루어졌다. 초등기술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동기는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초등기술교육의 인식된 가치와 초등기술교육의 실천에 대한 자기능력의 기대로 구분된다. 이 연구에서 초등학교 현직교사들의 초등기술교육의 가치에 대한 인식은 높은 편이지만 이를 실천하기 위한 능력은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그들은 초등기술교육의 유용함과 중요성을 비롯한 다양한 가치들(다른 과목과의 통합적 시도, 학생들이 살아갈 미래에 필요한 것, 문제해결, 창의적 사고, 그리고 자기 주도 학습과 같은 고등사고능력, 그리고 학생들의 심동적 영역의 발달)을 인식하고 있으나 여전히 이를 실천하기에는 여러 어려움들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등기술교육과 관련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내용과 목표에 대해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고, 초등기술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로 실습을 위한 물리적 공간의 확보, 실습 재정 지원, 등을 지적하였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현직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인식조사연구로 초등학생과 초등예비교사의 초등기술교육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584.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공동생활시설에서 거주하는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원예치료가 자아존중감 및 작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원예치료대상자는 제주시 용담동 J시설에 거주하는 지적 장애인 대조구 8명, 실험군 8명이었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2009년 3월부터 2009년 7월 중순까지 주 1회 2시간씩 총 20회 실시하였다. 자아존중감 평가 결과 대조군의 경우 실험 전 13.25점에서 실험 후 13.12점으로 0.13점 감소하였다. 실험군의 경우 대조구와는 반대로 실험 전 12.25점에서 실험 후 14.87점으로 2.62점이 증가하였으며 P<0.05 수준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원예활동 평가 결과 참여성, 관심 및 조력성, 언어소통 능력, 자아개념 및 주체성, 욕구 ・ 충동적 적응력, 대인관계 능력, 인지 및 문제해결 능력, 운동지각능력이 통계적으로 고도로 유의하게(P<0.01) 향상되었다. 숙련도와 직업 적응력의 경우 P<0.05 수준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공동 생활시설 내 지적 장애인들의 자아존중감 및 작업태도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585.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장소애착이 자연지역 내 케이블카 설치에 대한 방문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2010년 9월 중 수집된 총 126명의 무등산도립공원 방문객에 의한 설문답변이 이용되었다. 분석결과, 장소애착은 케이블카 설치에 대한 방문객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소애착이 낮은 응답자는 높은 응답자에 비해 케이블카 개발을 지지하는 경향이 있었다. 전반적으로 장소애착은 케이블카 설치로 인한 잠재적 영향에 대한 신념(beliefs about the potential impacts of cable car: BICC)과 통계적 관련이 없었다. 장소정체성은 BICC와 관련이 있었지만 장소의존성은 BICC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령, 거주지, 거주기간, 무등산도립공원 방문경험수준이 장소애착과 관련이 있었다. PA는 사람들의 친환경 행동을 이끌 수 있는 선행인자로서의 역할 가능성을 보유하고 있다. 자연공원을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PA를 높일 수 있는 영향인자의 규명과 이러한 영향인자의 조절 및 활용을 위한 방법 모색이 필요하다.
        586.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피트니스 운동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신체상 자기-차이가 섭식태도와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의 피트니스센터에서 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만 20세 이상의 성인을 표집하여 카이제곱검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이 남성보다 섭식태도의 차이를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중 긍정요인은 남성이, 우울과 불안 요인은 여성이 더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참여자의 경우 더 마른 체형을 바라는 사람의 비율이 월등하게 높았다. 셋째, 신체상 자기-차이에 따라 섭식태도를 분석한 결과,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신체상 자기-차이에 따라 정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섭식태도가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섭식태도는 긍정정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인 피트니스 운동 참여자의 신체상 자기-차이가 높게 나타날수록 섭식태도와 정서의 불안,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는 왜곡된 신체상을 가지고 있는 운동참여자들의 식습관과 그에 따른 정서를 이해하여, 건강한 운동습관의 형성과 더불어 운동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학문적이고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587.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Korea’s interest in environment protection is increasingly growing, and Korea realizes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national movement to minimize the effect is arising. As part of the movement, the need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s on the ri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integrated environmental experience programs allowing students to have experience activities in forests, rivers, and seas that they can approach easily around them and to have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various plays. In addition, the study purposes to compare general educational education programs in actual education in terms of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students’ environment attitud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50 fourth graders in two classes of S elementary school in Busan, and the 25-student comparative group had the normal educational education program that is mostly being performed in actual education while the 25-student treatment group had the survey on environmental attitude after a class using an integrated environmental experience program. The survey content is about environmental attitudes, and it consists of six subjects such as general environment, environmental pollution, energy, water resources, recycling, and animal protection and has 7 or 8 items by each subject which is divided into eight sub-items including sensibility, belief, values, spontaneity, criticism, patience, attention and interes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grated environmental experience program has a more positive effect on environmental attitudes than the general educational program. In particular, it is really effective about the topic of animal protection among students’ environmental attitudes. Second, the integrated environmental experience program has a more positive effect on values and interests than the gener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588.
        201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학생의 체육수업 동기와 체육수업을 통해 경험하는 운동정서, 체육수업에 대한 태도 차이 및 관계를 분석하여 적극적인 체육수업 참여와 체육수업 활성화를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교육청 산하 중학교중 1개교 남여 혼합 16개반 570명을 유층군집표집(stratified cluster sampling)하여 연구 대상자로 선정 한 후 체육수업 동기, 운동정서, 체육수업 태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남학생 293명 여학생 255명으로 총 548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방법은 Cronbach`s α, 탐색적 요인분석, 기초통계, 독립 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에 따른 구체적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중학생의 체육수업 동기, 운동정서, 체육수업태도 차이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내적동기, 외적동기, 긍정적 운동정서, 체육수업태도에 대한 하위요인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중학생의 체육수업 동기, 운동정서, 체육수업 태도 차이에 있어 1학년은 기술체력 태도, 사회적 태도, 2학년은 무동기, 부정적정서, 3학년은 내적동기가 뚜렷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수업 동기, 운동정서, 체육수업 태도의 하위 요인 간에는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학생의 체육수업 동기와 운동정서가 체육수업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내적동기가 66%, 긍정적 정서가 43.4%의 높은 설명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90.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원예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환경태도, 과학적 태도, 과학적 탐구능력,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일산의 H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5명을 대상으로 2009년 8월 25일부터 11월 13일까지 매주 1~2회, 회기 당 30~40분씩 총 14회에 걸쳐 유치원 교실과 옥상에 위치한 실외 텃밭에서 유아원예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프로그램은 영·유아발달영역의 인지와 정서 영역에 기초하여 유치원교육과정의 탐구생활과 표현생활을 연계하여 개발하였다. 1회기~8회기까지는 식물을 직접 기르며 식물의 성장을 관찰하는 것과 자연 환경에 대한 학습 활동으로, 9회기~14회기까지는 자신과 또래, 그리고 환경에 대한 정서적 표현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식물인 상추, 깻잎, 쑥갓은 생활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고, 기르기에 쉬운 식물로서 재배 시기와 재배 장소를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검사 도구로는 유아의 자연친화적 환경태도, 과학적 태도 및 과학적 탐구능력, 정서지능의 4가지 도구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프로그램의 사전과 사후에 실시되었다. 결과에서는 유아원예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보다 실시한 후에 유아의 자연친화적 환경태도, 과학적 태도와 탐구능력, 정서지능의 향상에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유아교육 현장에서 원예교육이 체계적으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또한, 이를 위한 교육 정책의 수립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592.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수학영재교육원 선발대상자의 선행학습 경험과 가정환경이 수학교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첫째, 수학영재교육원 선발대상자의 합격여부에 따른 가정환경의 차이와 선행학습 정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둘째, 수학교과의 선행학습 경험 및 가정환경과 수학교과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를 분석하며 셋째, 수학영재교육원 선발대상자의 선행학습 경험과 가정환경이 수학교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정한 의미의 수학영재를 선발하기 위해서는 선행학습의 경험으로 인해 상위 학년이나 학교 수준의 문제를 출제하여 선발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는지에 대한 과정의 평가를 실시해야 한다. 둘째, 심리적 가정환경이 수학교과의 선행학습 경험과 물리적 가정환경보다 수학교과에 대한 태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수학교과에 대한 흥미와 인내심을 높일 수 있는 심리적 가정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셋째, 심리적 가정환경은 수학교과에 대한 인내심보다 수학교과에 대한 흥미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수학교과 특성상 끈기와 집착성을 가지고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를 끝까지 해결하려는 수학교과에 대한 인내심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594.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학생들의 친환경적인 태도와 행동의 발달, 그리고 지식에 대한 파지 효과를 추구할 수 있는 환경오염에 대한 PBL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경기도 부천시 소재 인문계 고등학교의 2학년 인문반 4개 학급 136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2학급, 통제집단 2학급을 설정하여 개발된 PBL 수업과 전통식 강의형 수업을 2주간 6차시 실시하였다. 수업의 효과는 ‘환경에 대한 태도와 행동 검사지’, ‘환경에 대한 지식검사지’, ‘면담계획서’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PBL 수업은 전통적인 강의 위주의 수업에 비해 학생들의 친환경적인 태도와 행동을 가지게 하는데 효과가 있었다.(P<0.05). 반면 환경에 대한 지식 검사에서는 전통적인 강의 위주의 수업이 PBL 수업에 비해 유의미한 향상 효과가 나타났다. 인터뷰 분석을 통해서 보았을 때 학생들은 PBL 수업 후 스스로 알아가는 학습능력이 신장되었고, 발표를 통해 자신감의 향상, 협동적인 학습태도 등이 향상되었다.
        595.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hanges in the worldwide paradigm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have started to be applied in the entire industry fields, and they come out as the sustainable tourism in the field of tourism. And the ecotourism has emerged as a practical method to meet the needs of the actual practice and the intellectual system for the sustainable tourism. In the type of tourists based on tourist attitude, 82.3% has the environment-friendly tourist attitude as a potential ecological tourist or an ecological tourist. In addition, there are the potentials of increase in ecological tourists as well as the revitalization of ecological tourism. First, the ecological tourists are mostly the well-educated and married professional workers at 40, housewives, and people earning a high income. Next, the potential ecological tourists are mainly the well-educated and married professional workers at 30, workers in the service industry, and middle-class citizens. Lastly, the general tourists are the students at 20 who are single, earn a low income, and has low level of eduction. This study presents useful data to the tourist business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peration and management of sustainable ecological tourism.
        596.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Korean students' attitudes towards robots, presenting two survey studies. The first study was concerned with a group of college students, taking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comparison. Data were collected by administering an online survey, where 106 volunteer students had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Negative Attitude towards Robot Scale(NARS) was adopted to compare the Korean students' scores with those of multi-national groups (U.S.A, Germany, Netherland, Japan, Mexico, and China) who responded to the same scale in Bartneck et al.'s research. The analysis of the data reveals that Korean students tend to be more concerned about social impacts that robots might bring to future society and are very conscious about the uncertain influences of robots on human life. The second study investigated factors that may affect K-12 students' attitudes towards robots, with survey data garnered from 298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method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a student's gender, age, the extent of interest in robots, and the extent of experiences with robots may influence his or her attitude towards robots. The hypothesis was partially supported in that variables of a student's gender, age, and the extent of interest in robo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regard to the attitude variable. Given the results, this paper suggests three points of discussions to better understand Korean students' attitudes towards robots: social and cultural contex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ory of mind.
        597.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대기 중의 수증기’ 단원에 대한 멀티미디어 교수자료 개발과 과학 관련 태도 및 학습 동기에 관한 효과 및 멀티미디어 활용 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질집단 사전사후 검사로 본 연구를 설계하였다. 5가지 주제의 실험으로 동영상자료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6차시에 걸쳐 실험집단에 적용하였다. 수업 이후, 멀티미디어 교수자료를 활용한 교수학습에서 과학 관련 태도, 과학 학습 동기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멀티미디어 활용한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대다수의 학생들이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수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고, 다른 강의식 수업과 비교하여 지구과학의 개념을 쉽게 이해 할 수 있다고 답했다.
        598.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재적응형 대안교육 고등학교인 D고등학교와 일반계 고등학교인 Y고등학교의 과학과 교육과정 분석, 과학실험수업 분석, 과학/과학실험에 대한 학생 특성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두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과학 수업을 관찰․분석하고, 수업을 담당한 교사와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두 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 및 과학실험활동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였다. 두 학교의 과학실험수업을 분석한 결과, D고등학교에서는 Y고등학교보다 수업시 학생들의 의견에 좀 더 수용적인 반면, 실험활동의 전 단계를 교사 주도로 이끌어가는 측면에서 일반학교 보다 교사의존적인 수업분위기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과학에 대한 태도를 분석한 결과, 살아가면서 과학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와 과학을 신뢰하는 정도가 Y고등학교가 D고등학교보다 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과학실험활동에 대한 태도 분석 결과, 두 학교 학생들 모두 과학실험과 같은 탐구활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재적응형 대안교육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과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의미있는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599.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산책과 텃밭가꾸기를 통한 자연친화활동에 참여한 유아의 자연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자연친화활동에 참여한 유아의 경험을 분석하여 문화기술적으로 기술하였다. 연구대상은 만5세 유아 6명으로, 4월에서 7월까지 약 4개월 동안 유치원 일과활동 중 자연스럽게 이루어진 산책과 텃밭가꾸기를 통해 자연을 접하고 놀이하고 탐색해 보며 자연과의 직접적인 경험을 가졌다. 분석자료는 자연친화활동에 대한 참여관찰과 비디오 녹화자료, 연구자의 관찰일지, 연구자의 기록 및 메모, 유아면담자료, 유아기록물, 사진자료 등이었다. 분석결과에서 나타난 유아의 자연에 대한 태도는 「활동초기의 자연에 대한 무관심」, 「자연과 즐겁게 놀이하기」, 「친근함을 느끼며 정서적 교감 나누기」, 「자연을 적극적으로 탐색하기」, 「경험한 자연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 갖기」, 「자연을 소중히 여기며 존중하기」로 나타났다.
        600.
        2008.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탐구 중심 실험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 및 문제해결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고, 연구 대상은 경기도 시흥시에 소재한 2개 병설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30명으로 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과학적 태도 검사와 문제해결력 검사를 사용하였고.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각 집단별 평균 증가 점수에 대한 t검증을 실시하였다. 탐구 중심 실험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간의 과학적 태도와 문제해결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탐구 중심 실험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 및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