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s proposed solutions about operating and release of safety constructions and is researched about software safety estimation than hardware safety estimation. Also, preventing safety problems of Tower Crane operator and Construction workers as applying safety estimation program that developed at setup, operating, release stage after analyze problem patterns and causes.
The small-and-medium sized construction sites are in weak state of safety management because of the variable working environments, the lack of safety techniques and the weak economic conditions, and industrial accidents of these sites were occupied 60% of the total construction accidents. Recently, the safety engineer's number are not to be enough at the small-and-medium sized construction sites. Therefore, the safety engineer's works are addition to more and more. This paper is a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program which using composition of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expenses. It is an management tool which helps to saving time of construction safety engineer. A method of development composition, to used Brain Storming for a place of meeting to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counselors.
포장의 공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파손은 소성변형, 피로균열, 종단평탄성이다. 따라서 이들 세가지 파손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예측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포장의 공용성 관리면에서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에서 개발되어 다양한 포장구간에 대한 광범위한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는 DataPav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세가지 파손량과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추출한 후 파손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델의 입력변수들이 각각의 파손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민감도분석을 수행하였다. 소성변형 예측모델의 민감도분석결과 아스팔트함량, 공극율, 노상의 최적함수비가 주요영향인자로 나타났으며, 피로균열예측모델의 경우 아스팔트점도, 아스팔트함량, 공극율 순으로 나타났다. 종단평탄성 예측모델 분석결과 아스팔트점도, 노상골재의 200번체 통과율, 아스팔트함량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포장의 공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파손은 소성변형, 피로균열, 종단평탄성이다. 따라서 이들 세가지 파손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예측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포장의 공용성 관리면에서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에서 개발되어 다양한 포장구간에 대한 광범위한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는 DataPav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세가지 파손량과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추출한 후 파손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델의 입력변수들이 각각의 파손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민감도분석을 수행하였다. 소성변형 예측모델의 민감도분석결과 아스팔트함량, 공극율, 노상의 최적함수비가 주요영향인자로 나타났으며, 피로균열예측모델의 경우 아스팔트점도, 아스팔트함량, 공극율 순으로 나타났다. 종단평탄성 예측모델 분석결과 아스팔트점도, 노상골재의 200번체 통과율, 아스팔트함량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improvement with Traumatic Brain Injury(TBI) and Stroke
patient through Computer 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 (CACR) program within specific approach and hierarchial approach training program. For this investigation CACR training was
administered to 14 patients diagnosed of TBI and Stroke.
Method: The CACR was given to the subject patient for 1months, 5times a week and each stimulation lasted 30 minutes.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compared
pre-CACR program with post-CACR program by MMSE and FIM .
Results: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1.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8 items of MMSE and 11 items of FIM was found after the application of CACR program training.
2. Cognitive function showed the spa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CACR program within specific approach and hierarchial approach training program
3. Activities of daily living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CACR program within specific approach and hierarchial approach especially hierarchial approach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d than specific approach.
본 연구에서는 문헌을 통해 과학 창의성의 구성요소를 밝히고 창의성 계발 교육에 중요성을 두고 있는 영재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과학 창의성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과학 창의성을 특수한 문제(특히 잘 정의되지 않은 문제) 해결의 과정 또는 새로운 문제의 발견으로 보았다. 과학 창의성이 발현되는 중요 요소로서 과학지식, 과정지식, 확산적/비판적 사고, 문제의 종류, 문제의 발견력을 제시하였다. 과학 창의성 계발을 위해 3단계의 구분된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1단계는 주제의 도입단계, 2단계는 소규모 과정 훈련단계 그리고 3단계는 실제문제를 해결하는 독립연구단계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지구과학영역에서 4개 주제 15차시 분량이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 개발과정과 산출물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의 특징, 운영 시 문제점들이 논의되었다.
본 정성적 연구는 구성주의 학습이론의 기초를 이루는 존재론 및 인식론적 관점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이해수준을 네 번의 심충인터뷰를 통하여 추적 조사한 것이다. 보다 큰 연구에 참가한 16명의 예비교사들 가운데 5명이 유의미한 존재론 및 인식론적 변화를 보이고, 11명은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교사양성 교육과정 동안, 철학적 신념에 있어서 변화를 보이지 않은 이들 11명의 교사들에게 초점을 두었다. 과학적 실재론적 신념을 일관되게 유지한 10명의 교사들은 하나의 합성사례로서 제시되었다(Young의 사례). 나머지 한 명은 예외적인 사례로서, 본 연구의 시작부터 관념론과 상대주의 인식론적 입장을 일관되게 유지하여 또 하나의 사례분석의 대상이 되었다(Ben의 사례). 이들 사례들은 각 개인의 깊이 새겨진 존재론이나 인식론적 신념은 굉장히 변하기 어렵다는 기존 주장을 확증한다. 본 연구에서 예비교사들은 그들의 신념이 변하지 않은 이유들을 설명한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그들의 이상적인 교수방법들의 현장 적용과정에서 경험하는 장애요소들과 교사양성 프로그램이 예비교사들의 교수론적 신념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이다. 교사양성 프로그램의 이론적 교육과정과 예비교사들의 현장경험이 예비교사들의 교사로서의 성장과정에 주는 장점과 영향력들이 풍부한 증거자료와 함께 진술되었다. 교사 교육자들 및 교사양성 프로그램의 수업실제에 주는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본 연구는 현장에 기초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절실함과 노련하고 모범적인 현장교사들을 교사양성 및 교사 재교육에서 교사교육자들로서 권한을 부여해 주어야 함을 강조한다.
통합과학교육으로의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짐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지구계를 중심으로 과학교육을 통합하려는 시도이며 자연을 탐구하는 보다 전체론적인 접근법을 제시하는 지구계 교육 중 그 활동 프로그램의 하나인 '지구 기후게임' 수업 모형을 현장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교과서 중심의 획일화된 주입식 교수-학습 방법에서 탈피한 학생이 중심이 되는 토의식 협력학습, 역할극 수업모형 등 다양한 수업 모형의 적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 연구에 적용된 ‘지구 기후 게임'은 지구계를 구성하고 있는 기권, 수권, 암권, 생물권의 상호작용에 대한이해를 도모하기에 적합한 주제였다. 지구계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은 정의적인 영역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고, 지구계 교육 활동 프로그램은 전통적인 수업 방법보다 학생들의 과학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 변화를 보여주었으며, 장기적으로 ESE 활동 프로그램은 과학적 태도 형성에 좋은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ESE 활동 프로그램의 적용은 단원에 따라 부분적으로 선택하여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교수-학습 방법은 과학을 생활에 응용하는데 매우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article traces the process in which gender-specific approach was emerged to rehabilitate female offenders in the United States and introduces a few promising gender specific programs for female juvenile delinquents. Gender-specific services refer according to the Office of Juvenile Justice and Delinquency Prevention(OJJDP) the correctional services that are designed to meet the unque needs of female offenders; that value the female perspective; that celebrate and honor the female experience; that respect and take into account female development; that empower girls and young women to reach their full potential; and that work to change established attitudes that prevent or discourage girls and young women from reaching their potential. The emergence of the gender-specific approach can be explained by two factors. empirically, female offenders, especially female delinquents, have been one of the fastest growing criminal population since the 1900s. Correctional personnel recognised the role of gender-sensitive correctional programming to curtail the size of female delinquent population. They realized many current services for juveniles are aimed at the rehabilitation and education of male delinquents. Second, many criminological research based on feminist perspective have found that female offenders are quite different from male offenders in various ways; girls are incarcerated for status offenses that boys; girls develop self-esteem and female identity differently; girls are pressured to conform the traditional gender roles and the gender stereotyping plays a central role in creating female delinquents; girls have gender unique problems such as physical, sexual abuse, domestic violence and adolescent pregnancy.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trends resulted in the amendment of the Juvenile Justice and Delinquency Prevention Act, in which states should review the issue of gender bias in the current juvenile correctional programs before receiving federal
This study is a review paper which re-analyzes correctional programs and finds successful factors on recidivism. The principal papers rivewed in this study are Lipsey(l999), Gendreau(l996), and Antonowicz & Ross (l994). The strengths of these reviewed papers lie in the extensiveness and the statistical methdology, namely 'meta analysis'. Meta analysis produces different effect sizes from various research and a test statistic(Q value) for the comparison. Particulary, Lipsey(1999) rivewed 400 papers which had reported effectivessness of the correctional programs in English during the year of 1950 through 1995, and extracted 150 successful factors on recidivism. And also he reported unsuccessful determinants in correctional programs. This paper also introduced profiles of the successful programs implemented to jevenile delinquents and adult criminals in the American continent with a intention to share insights with readers for better correctional programs in Korea. Finally, the conclusion of this review is: First, the correctional programs focused on deterrence or psycho-dynamics (e.g., unconsciousness) are not successful. Second, cognitive-behavioral psychotherapy techniques focused on the reduction of individual's criminogenic needs are most successful.
We developed an observation program for a 2K CCD camera, which was newly attached at the SOAO (Sobaeksan Optical Astronomy Observatory) 61cm telescope. The program was designed to control the telescope as well as the CCD camera and to monitor the CCD image quality, with very easy under the window-based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urthermore, applying the automated differential photometric algorithm, we can obtain the instrumental magnitudes of several variable and comparison stars in real-time. Simultaneous photometry enables us to get precise differential magnitudes of variable stars even if the weather condition is not photometric. This new observation system has been using for many astronomical observations from September, 2001.
본 연구는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교통사고 후 경험하게 되는 불안감 및 공포감과 같은 심리적인 후유장애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예비연구로 수행되었다. 가상현실을 통한 교통사고 후유장애 프로그램의 핵심내용이 되는 운전주행 시나리오의 효과를 검증하고, 이완훈련 등의 불안감소 훈련의 효과를 피험자를 통해 검증해 보았다. 총 8명의 피험자(정상인 7명, 교통사고 환자 1명)를 대상으로 세 가지 주행상황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이후 이완훈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완훈련 후 유의미한 불안감소 효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각각의 주행상황에 따라서 불안이 증가되는 경향성은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 이르지는 못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주로 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임에도 불안유발 경향성이 나타난 점은 고무적이나 교통사고자를 대상으로 한 경험적인 증명이 필요하며, 가상현실을 이용한 이완훈련은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programs for inmates : education, work, recreation, and religion. In America the condition of the prisoner should be the principle of least eligibility. Also Educational programs are probably the most important prison programs available for inmates. Because academic skills programs may also be a major contributing factor to develope practical knowledge in many areas. In addition vocational programs for inmates are thought to be the best vehicles for breaking the cycle of recidivism. These programs are aimed at providing inmates with contemporary marketable skills relating to specific jobs on the outside. Prison work for inmates consists of two general types of jobs : those that maintain the institution and industrial or productive in nature. Recreational programs are intended to encourage inmates to make constructive use of leisure time in America. Chaplains' main mission is to minister to inmates to help interaction of inmate and religious activities. This study concluded that desirable programs for inmates is education with humanity.
GIS S/W의 지리정보 처리기법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수리지형 특성인자는 사면안정성 분석이나 하천환경 분석 등과 같은 다양한 수문학적 응용 연구의 기본적인 정보로 사용된다. 또한 실무적으로 적용 가능한 GIS의 확장 프로그램들은 이러한 기본 정보 뿐 만 아니라, 이전에는 복잡한 정보처리과정을 통하여 얻을 수 있었던 특성 정보들을 체계화되고 자동화된 과정을 통하여 손쉽게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IS S/W 수리응용 연구에서 확장 프로그램의 실제적인 적용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ArcView GIS S/W와 이를 기반으로 한 수리정보 분석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예미지역(1:50,000)의 유수 및 지형인자를 추출하였으며, 여러 가지 매개변수를 통하여 사면안정도에 대한 평가분석을 예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확장 프로그램들을 이용하여 얻은 정보들은 실제 정보와 높은 상관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서, 현장에서의 직접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고, 본 연구 대상지역내의 전반적인 사면안정도는 사면안정지수와 S-A Plot의 적용 결과로 이론적으로는 비교적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적용 방법은 실제측정치와 함께 수리지형 특성과 관계된 기타 지역에 적용이 가능하다.
This study addressed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attitude improved using forest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program. While previous research has focused developing interpretation program itself,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that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has improved toward pro-environmental attitude. This program was designed self-guiding interpretive techniques at Mt. Palgongsan Provincial Park. Environmental attitude was measured using 12 statements which was based on fifth-graders attitude scale in U.S.A. Data were collected from 84 elementary school participants in this program. Results showed that attitude scores of participants increased toward pro-environmental attitude. Especially, three statements (interest, safe and benefits of forest)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survey. Results can be used by outdoor educators to evaluate and plan their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programs and methods.
The purpose of this case is to find effectiveness of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with head injury patients through Computer-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CACR) program within various training programs. The subjects were three inpatient persons with head injury on Rehabilitation Hospital in Yonsei University and aged 28 and 14 and 2 woman and another man. It was used PSS CogRehab program during 15 days. Cognition, percep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were compared pre-CACR with post-CACR by LOTCA, MVPT and MBI.
According to this case study, in spite of short-term period, the subjects had changed of performance skills of cognition, percep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Results were as follows :
1. LOTCA score of 3 cases showed increasing change after CACR performance, especially perception and visuoperception organization were increased.
2. Raw score was increased and processing time was controlled adjustable of MVPT within 3 cases.
3. MBI score of 3 cases were improved, especially dressing, feeding and toileting were improved each one st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