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68

        1507.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theses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chool forests on students' temperament. To collect data, 1,425 students (655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and 710 students in control group) were surveyed during fall semester of 2002.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forests in school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students temperament. Especial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ed much stronger influence th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1510.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고교운동 선수의 경기 전 운동 종목별, 경력별 성별로 인지적 불안, 신체적 불안, 자심감등의 상태불안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피험자는 제83회 전국체육대회에 충북대표선수로 선발된 남, 여 고교 선수 116명이었다. 이 피험자 집단은 기록경기인 육상과 싸이클, 투기종목인 복싱과 레슬링, 구기운동과 라켓운동인 농구와 정구 등 6개 종목의 선수들로 한정하였다. 설문지는 Marten과 그의 동료들(1983)이 고안한 CSAI-2를 사용하였으며, 경기 30분전에 자기 기입법으로 작성하였다. 각 경쟁상태불안의 분석은 ANOVA test로 하였으며, 성별 차이검증은 T-test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경기전 인지적 불안 레슬링 선수들이 가장 높았고, 육상, 싸이클, 복싱, 농구, 정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체적 불안은 경력별로 4년 이하의 선수들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5-6년, 7년 이상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적 불안은 남자가 여자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신감은 남자가 여자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1511.
        2003.05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학교 조기입학 아동의 학교생활과 학교생활 적응도에 대한 부모와 담임교사의 인식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남부교육청 관할에 있는 25개 학교 조기입학 아동의 부모 413명과 담임교사 413명으로 총 826명이였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학교 조기입학 아동의 학교생활에 대한 부모와 담임교사의 인식은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둘째, 초등학교 조기입학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도에 대한 부모와 담임교사의 인식은 성과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1515.
        2002.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쟁력 있고 완성도 높은 게임 제작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육을 통한 폭넓은 게임 기반 지식과 다년간의 실무경험이 있어야 비로소 가능하다. 그러나 현재는 게임 열풍에 힘입어 게임 교육기관에서의 특화되지 않고 일반적인 게임교육 보급이 팽배해져 있고, 경험 있는 전문 게임 개발인력, 교수인력, 마케팅인력이 절대 부족한 상황에서 게임산업의 초석을 다지기 위해서는 고등학교에서부터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게임 전문교육에 관심을 가져야 할 때이다.
        1518.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심상훈련이 초등학교 아동의 운동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구체적으로 심상훈련에 따른 농구 자유투 자기 효능감의 변화와 수행력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부천시 S초등학교 5학년 남학생 140명을 무작위로 뽑은 80명을 피험자로 선정하였다. 각 피험자들은 다시 제비뽑기를 통해 심상훈련집단에 20명, 신체훈련집단에 20명, 신체·심상병행집단에 20명, 그리고 통제집단에 20명으로 각각 무선 할당하였다. 먼저 각 집단은 농구 자유투 자기 효능감 질문지에 답하고, 농구자유투 수행력을 검사한 후 8주간의 실험처치를 하였다. 심상훈련집단은 신체적 긴장이완, 선명도 조절력 연습, 농구 자유투 시각화 훈련을 30분씩 주 3회 실시하였고, 신체훈련집단은 실제 농구 자유투 훈련을 30분씩 주 3회 실시하였다. 그리고, 신체·심상 병행훈련집단은 심상훈련 15분, 실제 농구 자유투훈련 15분을 주 3회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심상훈련과 관련이 없다고 판단되는 위인전을 읽도록 하였다. 사후검사(post-test)는 사전검사(pre-test)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집단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유의차가 발생시 Tukey의 사후검사(Post-hoc Test)를 실시한 결과, 심상훈련과 신체훈련을 병행한 집단은 농구 자유투 자기 효능감과 수행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1519.
        200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학교운동부 및 스포츠동아리 소속 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인생의 목적의식과 만족도간의 관계를 검토하기 위해서 대학교 운동부 18개 팀과 스포츠 동아리 16개 팀에 소속하는 남자부원 447명을 대상으로 佐藤(1985)의 인생의 목적척도와 5항목의 만족도 설문을 실시했다. 인생의 목적척도 득점의 전체 평균치를 구하고, 평균치보다 높은 독점의 피험자들을 상위군, 낮은 득점의 피험자들을 하위군으로 분류했다. 또한, 운동부 집단과 동아리 집단은 그 성격이 다르므로, 각 군의 만족도 득점을 2(인생의 목적상위군, 하위군)×2(운동부, 동아리)요인 분산분석을 실시했다.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생의 목적의식이 높은 성원들은 낮은 성원들보다 운동기능 향상의 기회와 연습시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인의 운동기능, 팀의 운동기능, 운동부에서의 생활에서 코치, 부원, 그리고 일반적인 모든 면에 관한 만족도는 운동부 소속성원들의 경우 목적의식의 정도에 따른 차이가 없지만, 동아리 소속성원들은 인생의 목적의식이 높은 성원들이 낮은 성원들보다 높은 만족도를 가지고 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운동부와 스포츠 동아리 성원들의 만족도는 인생의 목적의식이 높을수록 높으며, 이러한 경향은 집단의 특성과 만족도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는 결론을 얻었다.
        1520.
        200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학교 운동부에 존재하는 집단규범을 밝히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설문지를 개발하여 그 구성적 타당성과 내적 일관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는 초등학교 운동부원들로, 설문 문항에 개발에는 150명, 설문문항의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에는 511명, 확인적 요인분석에는 431명이 참여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초등학교 운동부 집단규범의 하위요인으로 태도규범, 상하 서열규범, 연습행동규범, 업적규범, 상하 가벌규범, 등 5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들 요인 중 태도규범, 상하서열규범, 상하가벌규범은 하급생과 상급생간의 태도와 관련되는 상위요인들, 연습행동규범과 업적규범은 업적과 관련되는 상위요인을 가지고 다차원적 구조를 가지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또한 초등학교 운동부원들을 대상으로 집단규범의 요인구조로 나타난 문항들의 적합성을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검토한 결과, Q지수=1.84, 기초적합도지수(GFI)=0.93, 조정적합도지수(AGFI)=0.91, 비교적합도지수(CFI)=0394, 원소간 평균차이(RMSEA)=0.05로 모든 적합성 판정지수 값들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요인의 내적일치도를 검토하기 위해 알파계수를 구한결과 상하 태도규범이 .82, 상하 서열규범 .78, 연습행동규범이 .65, 업적규범이 .69, 상하가벌규범이 .63으로 나타났다.
        76 77 78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