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16

        641.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야외학습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으로 자기 주도적 야외학습을 할 수 있도록 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교육현장에 적용하여 학습자들의 학습능력 수준에 따른 학업 성취도와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고등학교 6개 학급 196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각각 3개 학급씩 98명으로 선정하였으며, 종속변인인 사전 학업성취에서 수준을 구별하기 위해 사전검사를 가지고 각기 상위 25%를 상수준(24명), 중위 50%를 중수준(50명), 하위 25%를 하수준(24명)으로 상·중·하 수준으로 구분하였다. 야외 학습장은 교육현장과 가까운 부산광역시 남부 일원의 두송반도 지역, 송도 지역, 몰운대 지역을 중심으로 야외답사 코스를 개발한 후, 이를 자기 주도적 학습과 야외학습의 이론을 토대로 구안한 자기 주도적 야외학습을 위한 탐구모형에 적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고려해 볼 때,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야외학습은 학습자의 학업성취 수준에 관계없이 모든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뿐만 아니라 자기 주도적 학습특성을 신장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500원
        642.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ating behaviors related to snack and self-purchasing snack (SP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s were completed by 352,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3 different regions which included apartment region in Bundangn, Sungnam (apartment group, n=116), residences in Seodaemun-Gu and Mapo-Gu, Seoul (kang-buk group, n=103) and residence in industrial region in Sungnam (industry group, n=133).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 (64.7%) of the apartment group had breakfast every morning than those of kang-buk (48.6%) or industry (52.1%) group (p<0.01). As for the frequency rate of snack and self-purchasing snack (SPS), 53.9% of the subjects answered taking snack more than once per day, 22.8%, once for few days and 23.3%, almost not. However, 15.5% of the subject had SPS once or more per day, 30.7%, 1-2 times per week and 22.4%, almost not. Those of apartm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SPS frequencies (p<0.01), since higher proportions answered having SPS 1-2times per week (40.9%) and almost not (31.3%) compared to other groups. The reasons for having SPS turned out to be 'hunger' 54.7%, 'being habitual', 15.9%, 'bing bored', 15.7% and 'with peers' 13.7%. When subjects selected SPS foods, they considered taste (31.5%), price (23.0%), mood at the time (14.1%), sanitorial aspect (10.2%) and quantity (10.1%) rather than nutritional aspect (7.2%). Subjects' pocket money was estimated as 3736 won per week and SPS expense per time as 706 won. But subjects who spent more than 2000 won for SPS expense were significantly higher (33.0%) in apartment group than those of other groups (p<0.01). The favorite snack items that subjects having at home were fruit, ice cream, milk and yoghurt, cookies, ramen and bread in order. And favorite SPS items turned out to be ice cream, cookies, duckbokki, frozen bars, gum, chocholate and candy in order. The frequency rate of SPS were evaluate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by several variables: those living in apartment area (p<0.01), those taking breakfast regularly (p<0.01), those of normal weight status by Rohrer index (p<0.05) and those receiving less pocket money (p<0.01) showed lower SPS frequency rate.
        4,000원
        646.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공간능력과 천체운동개념 및 과학탐구능력의 관계를 알아보고 학생들에게 천체운동개념을 쉽게 이해시키기 위한 교수·학습 전략을 찾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 첫째, 공간능력과 천체운동개념, 과학탐구능력 성취도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공간능력과 천체운동개념과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공간능력은 학생들의 천체운동 개념 이해에 영향력을 갖고 있었다. 천체운동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능력 하위 요소는 도형유추, 도막세기, 회전등이었다. 셋째, 공간능력은 과학탐구능력의 성취도에 매우 높은 영향력을 갖고 있었으며, 특히 과학탐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능력 하위요소는 도막세기가 가장 높았고, 단일요소보다는 여러 요소들이 상호 복합적으로 작용할 때 그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4,000원
        649.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ce the introduction of teaching English as a regular subject into primary schools in 1997, it has been said that the discrepancy between students who are receiving private instruction at learning institutions and private tutoring and those who are not receiving private English instruction is steadily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impact private English instruction had on English achievement and attitudes of fifth- and sixth-grade students in primary schools. For this purpose, an English achievement test was developed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administered, along with two attitude questionnaires: On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696 fifth- and sixth-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and the other questionnaire given to 12 primary school teachers of th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started learning English at the average age 7.9-years-old and about 80% of the students were receiving a variety of private English instruction. In line with expectations, tutored students outperformed non-tutored students on the English achievement test. In addition most of the teachers, as well as students, thought it helpful to learn English through private English instruction. One implication from the results suggests that to ensure quality English language teaching at public schools, the government should put forth efforts to nurture qualified English teachers through intensive teacher training.
        6,600원
        650.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651.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의 식생활 및 주거 환경이 향상됨에 따라 과거에 비해 학생들의 체격이 커지고 체형 또한 점차 서구화 되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아직까지도 초·중·고등학교에서는 학생 자신의 체격에 적합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없는 고정형 의자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학생들의 신체발육에 지장을 초래 할 수 있으며 특히 요통과 같은 허리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 자신의 체격에 맞게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4,200원
        652.
        2005.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hypothesis that a extremely low frequency magnetic field (ELF-MF) partially suppresses the synthesis of human growth hormone (HGH) in a group of 28 primary schoolchildren living nearby and 60 primary schoolchildren aged 12 years living far away from overhead transmission power lines from December 2003 to April 2004 in Seoul, Korea. The mean personal exposure levels of the primary schoolchildren living nearby overhead transmission power line were 0.37 μT, whereas the levels for the primary schoolchildren living away from overhead transmission power line was 0.05 μT. From simple analyses, the mean growth hormone levels in the primary schoolchildren living nearby were lower than away from overhead transmission power lin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the growth hormone (p = 0.0316), where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the growth hormone related to the distance from residence to power line less and more than 100 m by cut-off point (p = 0.4017). In conclusion, these results may indicate that urinary levels of nocturnal growth hormone are altered in primary schoolchildren exposed to extremely low frequency magnetic field at overhead transmission power line.
        4,800원
        653.
        200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300원
        654.
        200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초등학교 학생들이 메고 다니는 책가방 무게와 종류에 대해 알아보고, 체중에 비례한 책가방 무게의 비율과 책가방무게로 기인하는 통증의 경험을 조사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강원도 원주시에 소재한 1개의 초등학교에서 51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등교시 학생들의 책가방 무게와 몸무게, 책가방의 유형, 사물함 사용 여부, 통증 유/무를 조사하였다. 책가방 무게는 저울로 측정하였고 학생들의 몸무게는 학교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그 외의 정보는 인터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입력 및 분석은 SPSS 윈도우 버전 12.0을 사용하였다. 결과 : 실험에 참여한 학생 중에서 남녀 학생 비율은 여학생이 225명(43.86%), 남학생이 288명(56.14%)이였다. 사물함을 사용하는 학생은 388명(75.63%)이였고, 사물함을 거의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125명(24.37%)이었다. 책가방으로 인해 통증을 경험한 학생은 226명(44.05%)이었으며, 책가방 유형은 양쪽 어깨에 메는 유형이 478명(93.18%), 한쪽 어깨에 메는 유형이 11명(2.14)%이였고, 손으로 드는 유형이 23명(4.48%)이였다. 바퀴가 달린 가방을 사용하는 학생은 단 1명뿐(0.19%)이었다. 학생들이 들고 다니는 평균 책가방의 무게는 3.91 kg으로 학년이 올라 갈수록 증가하였으며 체중에 대한 평균 책가방 무게의 비율은 12.30%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초등학교 학생들의 책가방 무게가 체중에 비해 무거웠으며 통증과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과중한 책가방무게가 잠재적으로 학생들의 근골격계통에서의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기에 이를 예방하기 위한 교육적, 인간공학적, 사회와 부모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4,000원
        656.
        200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ARCS(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Satisfaction) 전략을 적용한 STS(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학습 동기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53명의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표집하여 실험반과 통제반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4주 동안 실험반에는 ARCS 전략을 적용한 STS 수업을 처치하였고, 통제반에는 전통적인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ARCS 전략을 적용한 STS수업이 전통적인 수업보다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학습 동기와 과학적 태도 향상에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주었다.
        4,000원
        659.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뇌반구 이론에 입각해 뇌반구 우세성에 따라 학업성취, 자아개념 및 성취동기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 소재 고등학교 1개교의 2학년 학생 189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측정도구로 뇌반구 우세검사, 자아개념 검사, 성취동기검사를 사용하였다. 뇌반구 우세성은 좌뇌 우세형, 우뇌 우세형, 전뇌형 세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주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뇌 우세형이 좌뇌 우세형 및 전뇌형에 비해 학업 성취도 및 능력에 대한 자아개념이 낮게 나타났다. 우뇌 우세형이 좌뇌형에 비해 성취동기가 낮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현재 학교에서 수리, 논리 중심의 좌뇌형 주제, 과목에 초점을 맞춘 교육을 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