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8

        182.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800원
        183.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000원
        185.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400원
        187.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400원
        189.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000원
        190.
        200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the basic data that are necessary for us to seek for the concretized direction of the Korean physical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by comparing the purposes and characteristics of physical education of Korea with th
        5,100원
        192.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우리나라 작업치료 교육기관의 교육프로그램에 필요한 다양한 요소 중 교과과정 분석을 통해 작업치료 교육프로그램의 현황을 제시하고, World Feder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WFOT)의 최소교육 기준 과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우리나라 작업치료 교육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교과과정의 기준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04년 3월부터 6월까지 작업치료(학)과가 개설된 대학 26개교 중 최고 학년의 학생이 있으며, 임상실습교육을 실시한 대학(교) 22개교의 작업치료(학)과 교과과정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작업치료교육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틀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한 대학(교)의 전체 교육의 평균시간과 학제에 따른 평균시간을 학제별로 분석하였다. 결과 : 1. 작업치료 교육의 교육기간은 3년 또는 4년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평균 105주, 2529.9시간이었다. 2. 전체 작업치료 교과내용 중 기초과학은 WFOT의 최소기준인 1200시간과 비교하여 87.8%에 해당하는 평균 1130.6시간이었다. 작업치료전공은 104%에 해당하는 평균 832.9시간이었다. 임상실습교육은 1,000시간의 64.3%인 평균 643.0시간이었다. 3. WFOT 교육 최소기준에서 제시하는 교육시간에 따라 분석한 결과 적합한 교과내용을 갖춘 기관은 4년 과정의 3기관(14.0%)이었다. 결론 : 작업치료 교육프로그램의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와 WFOT의 인증 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기초의 틀로서 교과과정을 분석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한 요소들에 관한 분석 또한 빠른 시일 내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000원
        193.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700원
        194.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000원
        195.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hen we closely look into Korean particle usage of Korean learners, we can find many misuses in Japanese language learners even if Japanese language has similar word order and particles structure as well as English Korean language learners whose language is different to Korean in language order and no particles 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ctual condition, how the Korean particles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 is being processed to make clear how various type of misuses in particles usage of Korean language learner are resulted from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locale, the correlation between manifold particles misuse and korean language learning contents in language learning locale. To bring these actual Korean particles education condition, firstly we are going to examine the frequent Korean particles misus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hen compare the Korean education locale for particles. These comparison will be helpful to suggest the efficient method of Korean particles education to prevent misuse in Korean particles of learners and make good material for the meaningful learner centered education for Korean particles.
        6,000원
        196.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000원
        197.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English words that are used in the middle school English text books of the 6th and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For this analysis, an English corpus of a total of 1,230,023 nodes was built out of 63 English textbooks of the 6th and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study specifically investigated the following items for analysis: 1) tokens and types of words used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s, 2) frequency of the words, and the numbers of new words introduced in each school-year, 3) high-frequency words in the textbooks with reference to those in large-scale general English corpora, 4) parts of speech of the words and their frequencies, and 5) the comparison of the words used in reading parts and listening parts. Analysis of the corpu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Regarding the average number of tokens and types, the textbooks based on the 7th Curriculum contain more than those based on the 6th Curriculum. As for the frequency of the repetition of words, the 6th curriculum textbooks are more than the 7th curriculum textbooks. Comparison of vocabularies used in the text corpus and in general large-scale English corpus shows that there are more similarities than differences.
        9,200원
        198.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000원
        200.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