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62

        1121.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범죄행동으로 지적된 여러 가지 변인들 중에서 유전적 소인을 제외한 다른 것들은 돈과 폭력이라는 두 변인에 포함된다. 실제로 이 두 변인을 제외한 범죄를 찾기는 어렵다. 물론 성욕이 범죄를 야기 시키는 큰 몫을 담당하고 있지만, 이것 역시 폭력을 뒤로하고 범죄행동을 보이기 어렵다. 범죄행동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돈과 폭력의 욕구로 인한 행동형성은 뚜렷한 차이를 갖는다. 전자는 한번시도로 그리고 후자는 여러 번 반복해서 형성된다. 또한 상당수의 범죄가 이들 두 변인의 복합적 관계에서 발생된다. 이러한 이유에서 두 변인 중 어느 하나의 통제는 범죄예방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범죄를 예방하는 길은 돈과 폭력에 대한 욕구의 형성을 이해하는 것이다. 즉, 돈이란 땀을 흘리며 어렵게 벌어야 한다는 것을 가르치고 그리고 폭력의 행사는 처음부터 막아야 한다. 이러한 가르침은 우리들이 처한 조건이 각양각색이라도 가능하기에 범죄예방에 큰 도움을 줄 것이다.
        5,700원
        1122.
        200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안 어장에서 어획하는데 적합한 어구 구조 및 규모를 도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현용 전어 선망 어구의 침강 속도와 조업 과정별 수중 형상 변화 및 어구에 대한 어군의 행동 특성 등을 실제 조업 어장에서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그물의 침강 속도는 투망 시작부인 어포부에서 평균 13cm/sec, 중앙부인 170m부분과 280m 부분은 각각 9.0cm/sec와 9.5cm/sec, 투망 종료부에서 4.9cm/sec로 투망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느려지다가 종료부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2. 어구 하단부인 발줄은 투망 직후부터 인양되는 시점까지 대부분 해저에 닿게되고, 탈출방지장치로 사용중인 목봉이 발줄을 유지하는 수심은 평균 2.7m 이내로 현장에서 어민들이 의도하는 것보다 실제 깊이는 훨씬 낮았다. 3. 전어 어군은 표층보다 저층에서 훨씬 농밀한 군집 형태를 보이고 대부분의 시간을 해저에서 머물다 조류가 약해지면 표층으로 부상하는 연직 운동을 반복하였으며, 조류의 흐름이 빠른 사리 때에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4. 그물에 갇힌 전어 어군은 투망 후 곧바로 침하하였다가 다시 상승하는 수직 행동을 반복하였으며, 그물 벽을 돌기 시작하는 어군과 일정한 유영 패턴 없이 포위권내를 직선적으로 움직이는 어군으로 구분되었고, 그물 벽을 타고 도는 어군은 쉽게 그물감에 갇히는 경향이었다. 5. 어군의 탈출은 수심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데, 수심이 낮은 어장에서는 표층에서 해저까지 그물이 어군을 차단하게 되므로 어구의 양 끝단 쪽에서만 탈출하고, 수심이 20m 이상 되는 해역에서는 그물의 침강 속도보다 침하하는 어군의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그물에 조우한 어군은 어구의 하단부를 통과하여 탈출하는 경우가 번번하였다. 6. 어구의 양 섶 개구부에서 어군은 탈출 방지 장치인 목봉을 설치한 후에도 목봉의 하방으로 계속 탈출하여 목봉의 역할이 미비한 것으로 보아졌다.×10-6kg/m3〈/TEX〉이었다. 3. 1999년도 대비 2000년도의 단위체적당의 어밀도는 트롤정점별에 대한 상호비교에서 개체수 및 중량에 대하여 2000년도가 1999년도보다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우점종 13종에 대한 비교에서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작게 나타났다. 7. 저항계수는 펄에서는 체인형 발줄이 약 10.0~55.7, 와이어형은 약 3.0~l6.0, 기본형은 약 1.5~8.5이며, 모래에서는 체인형 발줄이 약 10.0~60.0, 와이어형은 약 3.0~l4.0, 기본형은 약 1.2~6.0이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절과 모래 모두에서 저항계수가 체인형이 다른 두 종류의 발줄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크고, 와이어형, 기본형의 순으로 작게 나타났다.한 인자로 제시 되었다. 따라서 채식을 하는 폐경 후 여성의 경우 골격건강을 위하여 단백질의 급원이 되는 식품의 섭취에 더욱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 진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경우 대상자의 수가 적은 제한점이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연구가 계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as(RW-2 and RW-3), lower part of the dam (RW-1) and seawater areas(RW-4 and RW-5).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에너지 섭취를 고려한 INQ는 칼슘과, 비타민 A는 남녀 모두, 비타민 B2는 여자가 1이하로 나타났다. 또한 NAR 중에서도 낮은 영양소는 비타민 A (남 0.52, 여 0.42 (p〈0.05), 칼슘 (남 0.68, 여 0.54 (p〈0.001)), 비타민 B2(남 0.77, 여 0.67 (p〈0.01))이었다. MAR은 남녀 각각 0.82, 0.73 (p〈0.001)로 여자가 남자보다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전주지역 노인들은 식품을 다양하게 섭취하지 못하였으며, 특히 유제품군과
        4,000원
        1124.
        200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effect of eating behaviors and health-related variables on overall dietary quality. Ninety-four(male 21, female 73) elderly who were over 60 residing in middle income areas in Cheongju city participated. Information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health-related life style, regularity of meal, meal balance and desirable eating habits were obtained by interview based on questionnare. Dietary nutrient intake data were obtained through the 24 hour recall method. The mean age and BMI of the subjects were 73.3 years old and 23.3(male 21.8 female 23.7) respectively. The proportions of underweight and hypertension were 19.2% and 36.2%. Most nutrients except vitamin B2 and calcium were consumed over 75% of the RDA. The Mean Adequacy of Ratio(MAR) of nutrient intake was 0.64(male 0.72, female 0.62). The average score of regularity of meal, meal balance, and desirable eating habits was 14.4 out of a possible 16, 13.7 out of a possible 24 and 5.5 out of a possible 16 points respectively. Male than female, older subjects than young subjects, and those living with their spouses than with other family or living alone had better scores in eating behaviors. Smoking, chewing ability and eating alone vs eating with company affected overall of regulality of meal and meal balance(p〈0.05). Positive correlation (p〈0.05) was also dietary qualit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ean adequacy ratio, score observed between scores in regularity of meal and meal balance. Therefore, the elderly should be encouraged to eat a variety of food, maintain good dental health, keep regularity of meal and have meals with company to help improve overall dietary quality and eventually achieve optimal nutritional status.
        4,000원
        1130.
        200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breakfast behaviors of female college students. 5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417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SAS program).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2000 to October, 2000. 44.7% of the respondents considered lunch to be the most important meal. 51.6% students thought that people must eat breakfast. 41.6% of the students always eat breakfast but 22.1% do not eat breakfast. Conventional type of breakfast was found to be the most popular (67.6%). But ₩400,000 monthly allowance group(P<0.05) and self prepared breakfast group preferred Western style breakfast. The main reason for eating breakfast was for health(34.6%). The group of students with less monthly allowance were more likely to skip breakfast due to lack of time (p<0.01). Physical discomforts after skipping breakfast were: lack of strength(42.5%), stomach ache(36.3%), giddiness(9.1%), and recovered temper(12.1%). In conclusion, it is needed that a convenient and nutritional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for college students' health.
        4,000원
        1131.
        200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Korean's dining-out behaviors were compared and investigated according to gender and age. The change and the problem of dietary pattern in Korea were understood and we intend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guidelines of Korean's dietary habits. The subjects are composed of 46.5% male and 53.5% female. According to age, groups aged 10~19 are 26.3%, 20's are 24.6%, 30's are 16.8%, 40's are 18.7%, and 50 and over age group is 13.6%. All of the age groups ate out for celebration of a special day or for social purposes. When dining-out, the most important criteria for selecting a restaurant was the taste of food. All age groups liked Korean-style restaurants the most. All age group eat a house meal at breakfast. At lunch, age groups 40 and below go to a restaurant in school or company and 50 and over age group eats house meal. In general, all age groups ate a house meal at dinner. At breakfast, all the age groups do not eat out. For lunch, they eat out four or five times a week. For dinner, the most of age groups except the 20's eat out two or three times a month and for the 20's age group, two or three times a week. The reason for selecting a Korean-style restaurant is that the food is 'well matched with one's appetite'.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dietary habits of 30 and over age groups are relatively good. On the other hand, in 10's and 20's age groups, they have an irregular meal and the ratio of skipping a meal is high. And they frequently use fast-food restaurants. In the future, the unbalance of nutrition in these age groups is expected. Therefore, the correct nutritional facts should be educated so that these age groups have a healthy dietary habit.
        5,500원
        1132.
        200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suitability of a sweeper as a new occupation fitting to the character of the people with the mental retardation. Analysis of job which is necessary to perform the sweeper has been conducted. This research also studied the suitability of the occupation to the individuals with different impairments of physical, sensory function, cognitive function and emotional behavior based on the study of 5 individual participants. Conclusion is as follows. 1. The office building maintenance(sweeper) is an occupation which demands muscular strength of gross motor. Visual perception about a space and an object is mainly needed and the most important facts in the cognitive function are an idea of time, sequence, direction, topographic orientation, & memory. 2. Based on analysis of 5 different individuals who have different functional impairments shows that deteriorated muscular strength (compare to non-disabled person) didn’t affect the job. On the contrary, visual perception and emotional behavior problems are two biggest challenges to the occupation. 3. Not requiring dexterity of hands movement a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broad acting radius, those two facts made a sweeper a suitable occupation for the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who lack dexterity in acting and concentration. Based on the research, a sweeper is a suitable occupation fitting to the character of the people with mental retarcation and it is therefore need to generalize the result of the research by conducting a follow-up research with more participants.
        5,100원
        1133.
        200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번식기와 비번식기에 있어서 까치의 행동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강원도 춘천시 동면 감정리에 위치한 강원도 산림개발연구원 시험림 및 부근지역에서 2000년 3월부터 2001년 2월까지의 기간동안 실시되었다. 조사지 내 전체 면척은 5.6 km2였으며, 전체 지역에서 까치의 둥지는 모두 49개가 발견되었다. 이중 2000년 봄철의 번식기동안에는 24개의 둥지에서 까치가 번식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까치의 번식밀도는 4.3쌍/ km2였으며, 둥지의 평균거리는 평균 357.5m 인 것으로 나타났다. 까치에 부착한 전파발신기에서 발신되는 전파를 추적하여 번식기와 비번식기에 둥지로부터 이동한 거리는 큰 차이를 보였다.(t-test, t= 2.98, P〈0.01). 번식기에는 평균 133.5m의 거리를 둥지로부터 이동하였으며, 최대 184m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세력권의 크기는 약 5.6ha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비번식이에 있어서는 둥지로부터의 이동거리 평균 384.2m 였으며, 최대 457m 까지 이동하였다. 6월에서 8월 까지는 보통 2~3개체 정도가 무리를 형성하였고, 12월에 가장 많은 12개체 정도가 하나의 무리를 이루었다. 번식기에 암컷과 수컷을 행동은 매우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나(t=2.89, P〈0.05)비번식기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t=1.03, P〉0.05).
        3,000원
        1137.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날개가 없는 몇몇 절지동물들은 공중이동을 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이륙행동 보이는 종들이 있다. 본고는 포식성 이리응애류중에서 이륙행동을 보이는 종(Neoseiulus fallacis (Carman)) 과 이륙행동은 보이지 않으나, 공중이동률이 높은 종(Phytoseiulus persimilis Athias-Henriot),이륙행동이 없고 공중이동률이 중간치인 종(N. ca1ifornicus(McGregor))간에 공기역학적 측면에서 어떠한 메커니즘이 작용하는 지에 관한 연구이다. 위 종들의 도보이동 자세와 공주 이동 이륙행동 자세의 몸체의 수직적 위치, 몸체의 크기, 다리의 길이 등의 자료를 가지고 공기역학적 파라미터를 계산한 결과, P. persimilis는 도보이동 자세에서도 N. fallacis가 이륙행동을 보여야만 얻을 수 있는 양의 항력을 얻을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관점에서 포식성 이리응애류의 이륙행동 진화에 대한 고찰하였다.
        4,000원
        1138.
        200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7년 10월 2일부터 10일 사이에 동해에서 계량어군탐지기를 이용하여 수집한 어탐기록과 CTD를 이용한 해양관측 결과 및 중층트롤에 의한 어획물의 생물학적 조성 등을 비교, 분석하여 어족생물의 일주기적인 유영행동특성을 검토, 고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997년 10월 3일에 북위 36˚04', 동경 130˚53'의 조사 해역의 경우, 수온약층은 수심 60~110m의 수층에 형성되었고, 혼합층과 수심 250m이 저층 수괴 사이의 온도차와 염분 차는 각각21˚, 0.6%이었다. 2. 조사대상해역에 있어서 1997년 10월 2일~3일에 대한 일주기적 연직회유행동을 고찰할 때, 주간에 수온약층 아래쪽 수심 250 m 전후에 분포하는 생물군의 평균상승속도는 시간대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0.51m/min이었고, 일출을 전후하여 100~ 125 m 수층에서 하향 이동하는 생물군의 평균하강 속도는 0.41 m/min이었다. 3. 조사대상해역에 있어서 어군의 체적산란강도는 표층, 중층, 저층의 순으로 높았고, 개체 생물의 반사강도는 저층, 중층, 표층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4. 중층트롤에 의한 시험조업의 결과, 초음파 산란층에 분포하는 어획 생물 중에서 살오징어가 점유하는 비율이 가장 높아 95.7%이었고, 그 평균 외투장과 평균체중은 각각 25.3 cm, 390.0g이었으며, 위 내용물은 살오징어, 갑각류, 치어류 등이었다.
        4,000원
        1139.
        200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9년 5월 29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남해안에서의 수심에 따른 수중광의 변화와 조업시간의 경과에 따른 예망 상대유속을 측정하고, 권현망어구에 대한 체장 4~7cm정도 되는 멸치들의 도피 반응행동을 관찰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남해안 통영, 거제 부근 멸치어장에서 수심에 대한 수중광의 변화를 자연대수 곡선식으로 나타내면 광흡수 계수 c는 대표적인 관측점에서 주로 0.24~1.03 범위로 나타나서, 멸치의 어구에 대한 시인도가 어장에 따라 클 것으로 보인다. 2) 권현망어구의 원형그물과 1/2축소그물의 자루그물 입구부분의 상대유속을 기준으로 할때, 수비와 자루의 연결부분의 유속비는 평균 1.46, 자루부분의 유속비는 평균 0.67로 나타나서, 어구의 부위에 따른 상대유속변화가 멸치의 유영운동과 도피운동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축소된 권형망어구에 있어서의 멸치의 대망행동을 관찰한 결과 수비와 자루연결부분에서 빠져나가는 1분당 멸치도피수는 평균 455미 정도였으며, 자루의 앞에서 예인방향으로 유영하는 깔대기를 빠져나가는 1분당 멸치도피 수는 평균 308미 정도로 나타나서, 어구 전체적으로는 상당수의 멸치들이 능동적인 도피행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측된다.
        4,000원
        1140.
        200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ssess grade and gender differences in dietary behavior, food preference and perception about body image of students in 4, 5 and 6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 in Kwangju. Anthropometric data showed that mean height and weight were 137.98±6.79cm 32.69±6.09kg, in the 4th grade, 144.11±6.91cm, 36.88±7.60kg in the 5th grade and 151.52±7.47cm, 42.68±8.06kg in the 6th grade. Height and weight of male and female students of each grade were very similar to those of the Korean standard Growth data. Females in the 5th and 6th grades were taller than those in male students, which suggested the height growth spurt in females. Furthermore, both genders showed marked variability even in the same group. All the three different obesity indices(BMI, Rohrer and % of ideal body weight) showed higher value in males than in females consistently. Male respondents desired taller and heavier body shape while females perceived they were heavy and desired only taller and thinner body im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height, weight and body image by grade(p〈0.05). 36.7% of subjects responded that they did not eat despite hunger. In higher grade they felt guilty after eating sweet things. Strikingly, it was noted a small number of students tried to take a diet pills or vomited on purpose. Data on food preference showed that female did not like sweet food and pork. While male students preferred red meat and chicken. Thus result indicated that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in food preference by gender.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