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16

        221.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500원
        222.
        2012.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삼척의 이사부 축제는 지역적 연고가 있던 이사부라는 역사인물을 현대의 축제의 소재로 활용함으로써 대내적으로는 지역을 대표하는 인물임을 부각시켰으며, 대외적으로는 독도를 비롯한 영토수호의 역사인물임을 드러냄으로써 범지역적 축제로 확산시키는 효과를 창출해 내었다. 이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우륵의 12기에 나타난 사자연행과 이사부의 목사자 전투는 진흥왕 이전 신라사회에 사자문화의 유입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신라의 통용된 사자연행예술은 전쟁에서 강력한 무기로 존재했다. 따라서 이사부가 우산국 정벌에서 사용한 목사자는 당대에 신라에 유통된 외래문화였으며, 이후 사자는 여러 연행예술로 발전된 것이다. 둘째, 이사부의 우산국 정벌에서는 사자탈과 같은 이동형 목각양식이 이용되었다. 이것은 이사부의 해군부대가 우산국 전투에서 목사자의 전술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근거리에 접근하여야 했기 때문에, 고정형 목각양식으로는 우산국 사람들을 속일 수 없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사부의 목사자는 고정형 목각양식이 아니라, 탈과 같은 이동형 목각양식을 추구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이사부는 삼척 강릉지방의 지역사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인물이다. 그는 과거 강릉단오제에 모셔졌을 뿐만 아니라 현재 삼척 오분동 마을에서도 모셔지고 있다. 이렇듯 1500년 전 역사인물 이사부는 지금까지 삼척 지역에서 신격화 되어 숭앙받는 역사적 인물인 것이다. 따라서 이사부 축제는 삼척 지역의 지역사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는 축제의 이념적기반 위에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삼척시는 이사부 축제를 국가의 외교문제와 연관시킴으로써 국가와 연계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하였다. 이사부의 우산국 정벌은 울릉도를 생활권으로 하고 있는 독도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2005년 일본의 다케시마(독도)의 날 재정으로 고조된 한일 외교문제와 연관된다. 따라서 삼척시는 축제에서 이사부의 소재를 독도 및 해양에 확장시킴으로써 축제향유 계층을 국민으로 확장시켰으며, 더불어 국가차원의 지원 계기를 마련함으로써 축제의 경제적 기반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렇듯 삼척시의 이사부 축제는 기존의 지역 역사인물을 발굴하여 연결시킨 결과물이다. 이 과정에서 투영된 자치단체의 축제화는 이사부를 포장하는 데 그친 것이 아니라, 지역 경제 활성화라는 취지 아래 다양한 국가사업과 연계함으로써 지역의 문화기반을 마련하게 된 모범 사례라 할 수 있다.
        8,900원
        223.
        2012.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緖論 漢字文化圈에서‘漢字學’을硏究하거나‘漢字·漢文’敎育을硏究하고자할때에무엇보다도먼저解決해야할것은‘漢字·漢文’의範圍를決定하는일이다. 다루어야할對象의範疇가分明치않으면여러가지問題가發生할수있기때문이다. 이에本發表는東아시아의漢字文化圈의再編成에따른‘漢字의範疇’를定義하고자한다. 2. 東아시아의近代, 文語共同體의解體中世東아시아의여러나라는漢字를普遍的文字로使用해왔다. 內部的으로國家의管理와經營에必要한大部分의文書管理를漢字를使用한漢文으로表現하고使用하였다. 이에따라漢文은多樣한漢文의文體를使用하였다. 19~20世紀들어서면서漢字를爲主로한文語의使用에問題가생겼다. 東아시아의 漢字를媒介로한文語體制에分裂이생긴것이다.中國은淸末부터文字改革을通하여文言文을解體하고簡化字의使用을통해서傳統의漢字인繁體字에變化를주었고, 白話文의定着을通해서言文一致를實現하였다. 日本은메이지時代때부터國字文字와言文一致의問題를提出한다. 특히‘國家儀式’의成立과함께國語의槪念을成立시키고, 오늘날의仮名(가나) 政策을確定한다. 韓國은 1894년이후漢文의文體를버리고, 國漢文體를거쳐서國文體를成立하고끊임없는 한글政策을통해서한글專用을政策的으로成功시킨다. 이로써 19世紀末에시작된東아시아의漢字를媒介로한文語共同體는 20世紀들어서解體된다. 그러나이러한文語共同體는解體되었지만, 近代東아시아言語의語彙政策은西歐의學問을漢字語彙로飜譯해냄으로써새로운東아시아의漢字語彙의普遍性이成立되었다. 3. 現代東아시아의漢字의使用과範圍現代東아시아漢字의使用은中世때와달리多樣한現象을보인다. 中世의漢文은楷書를바탕으로쓰였지만, 앞장에서밝혔듯이近代들어서면서各國의文字政策으로因해서새로운漢字들이增加하였다.中國은一部의漢字를簡體字로使用하고있다. 日本은一部의漢字를略字로使用하고있다. 韓國은한글專用政策을쓰고있지만, 基本的으로繁體字를使用하고있다. 臺灣은繁體字를使用하고있다. 20世紀後半東아시아國家가政治的으로分裂되어있을때에는自身들의文字政策만觀心을가지면되었다. 그러나지금 21世紀東아시아交流가매우頻繁하고緊密한때를맞아서漢字는다시個別國家의文字로볼것이아니다. 東아시아의觀點에서 바라보면漢字의範圍는상당히달라진다. 오늘날使用하는基本的인語彙를爲主로使用하는漢字의數가傳統的인漢文의文章에서使用되었던漢字의數나範圍보다는작다고할수있다. 이는個別國家의觀點에서그렇게볼수있다. 그러나同一한漢字를對象으로‘繁體字, 簡化字(簡體字), 略字’等이存在한다면그範圍가減少한것이아니라,오히려늘어난것이된다. 즉, 東아시아인들이相互間文書또는漢字表記가된言語들을視覺的으로接할때에는본디漢字에簡化字, 略字까지包含을하면그수가늘어난다는것이다. 一般的으로쓰이는漢字 2,655자를가지고韓國, 中國,日本의漢字를比較했을때, 中國簡體字는 2,655字中에서 1005字(37.9%)이었으며, 日本의略字는 235字(8.9%)이었다. 따라서個別國家의경우에는關係가없지만, 簡體字나略字는繁體字의또다른異體字가될수밖에없으며, 簡體字나略字 를사용하는사람의처지에서보면그에해당하는繁體字가또다른異體字 가될수밖에없다. 즉, 東아시아적觀點에서보면近代에簡體字나 略字의 制定은 곧 異體字의增加로이어졌다는事實이다. 결국現代東아시아의漢字는各國의漢字에다른나라에서使用하는 繁體字와 簡化字, 略字 등이異體字로存在한다는것이다. 즉, ‘東아시아國家의漢字 = 自國의漢字 + 異體字’라는公式이成立되는것이다. 이러한公式이보여주는바는앞으로東아시아에서漢字에대한새로운政策의試圖는곧漢字의增加로이어진다는事實이다. 4. 結論 繁體字와簡體字, 略字의相互關係를살펴보면一部의漢字를除外하고는大部分은 字形이類似 하거나一部劃數의多少차이를 보여줄 뿐이다. 따라서東아시아交流的인側面에서繁體字, 簡化字略字모두겹치는일부漢字에대해서는相互比較學習할수있도록배려가필요하다.
        4,000원
        225.
        201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아시아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유행이 된 한류현상을 비판철학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 한류문화가 세계적인 문화로 거듭날 수 있기 위해 필요한 인문학적인 성찰이 무엇인지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류의 기원과 정체성, 한류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 그리고 한류문화담론 및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 등의 비판철학적 시각을 제시하였다.한류(韓流, Hallyou, Korean Wave)는 ‘한국의 TV드라마, 음악, 영화 등 대중문화 콘텐츠가 동아시아를 비롯하여 세계 각지에서 유행해 라이프 스타일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현상을 말한다. 한류는 가족윤리를 중시하는 전통적 가치와 개인의 행복을 중시하는 현대적 가치가 융합된 세계적인 문화라는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서구의 대중문화가 아시아적 가치에 적합하게 필터링된 모방문화에 지나지 않는다는 부정적인 평가가 있다.비판이론가의 문화산업이론에 따르면, 대중문화는 ‘동질성’과 ‘예측가능성’ 때문에 대중들의 허위의식을 조장하여 비판의식을 상실하게 한다. 한류문화가 지역적인 것과 세계적인 것의 변증법적 종합을 통해 세계적인 문화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서구문화의 부정적인 측면에 대한 비판적 태도가 필요하며, 한국의 전통문화에 내재된 비판정신이 회복되어야 하며, 미디어 교육 등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통과 현대의 변증법적 교섭과 실천을 통해 한류문화는 세계적인 문화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7,800원
        226.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briefly charts the history of excrement as part of the late 20th-century art and explores ways in which excrement functions in the realms of 'High' art. From Piero Manzoni's <Merde d'artiste> to David Hammons' performance <Pissed Off>, excrement has taken a small yet distinctively important part in the development of contemporary art. In an attempt to challenge the hegemony of 'high' art, on the one hand, and resist the commercialization and fetishization of art, on the other, Manzoni allegedly offered his own "shit" preserved in a tin can and sold it at the price of gold of the same weight. Andy Warhol took the legendary Abstract-Expressionist painter Jackson Pollock as the object of parody, simulating Pollock's dripping action by pissing onto the canvas that had been primed with copper-based paint. Warhol's urination produced splashes and stains of iridescent colors just as the patterns on ordinary abstract paintings. In contrast to Pollock's masculine action, Warhol's pissing alludes to the artist's homosexuality. Excrements in art also provoked controversies, debates, and even acts of vandalism against the artworks. The works of Andres Serrano and Chris Ofili infuriated many Christians for the blasphemous use of excrement with religious icons. Politicians engaged in the heated debates on the use of public and national funds in support of some of the 'politically incorrect' contemporary art. In the midst of media sensation and criticisms, these works challenged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of artistic beauty. The preexisting artworks were also targeted. African-american artist Hammons assumed the role of spectator in <Pissed Off> by urinating on Richard Serra's sculpture in the street of New York City. It was an act condemnation levelled at the racist pattern of the way in which large portions of funds and commisions of "public" art tended to promote established 'white' artists, whose work or creative process often failed to reflect the actual public. The use of excrement in art is not unusual in contemporary art practices. With its subversive power, excrement plays an important critical roles in the shaping of contemporary art.
        6,100원
        227.
        201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와카’는 오래전부터 일본인의 심정을 표현하는 정형시(詩)로 고대부터 계승되어온 일본문화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와카의 창작이란 문예적 창작이며 개인 심정의 표출임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향수되는 장소나 방식은 위정자(為政者)와의 관계를 끊을 수 없었다.9세기에 궁정에서 천황에 의해 개최된 ‘우타 아와세(歌合)’는 와카의 창작이 집단적으로 행해졌고 또 그 와카의 우열(優劣)을 승부하는 시합 형식으로 오락성을 겸한 행사였다. 천황이 왕비의 외가세력에 대항하기위해 ‘우타 아와세(歌合)’를 열고 칙찬집(勅選集)의 편찬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12세기 후 ‘우타 아와세(歌合)’에 종교적인 색채가 더해져 와카 계의 뛰어난 가선(歌仙)들의 공양이라는 ‘에이구(影供) 우타 아와세(歌合)’가 탄생하였고, 이는 절이나 신사(神社)에서도 열렸는데, 그 배경에는 ‘언령신앙(言霊信仰)’이 있었다. 또 이 시대에 새롭게 정권을 장악한 무사계급에게 전통성을 가진 와카는 자기 정당성을 구현하기에 중요한 역할을 했었다. 17세기 포르투갈의 카드로부터 전래되어 형성된 ‘햐쿠닌잇슈 가루타(百人一首カルタ)’가 성행하고, 메이지(明治) 시기에 들어와 그 방식이 획일화됨으로써 근대국가의 정신적 통제 수단의 역할을 완수하기에 이르렀다.집단적으로 와카를 향수하는 ‘우타 아와세(歌合)’, ‘에이구(影供)’, ‘햐쿠닌잇슈 가루타(百人一首カルタ)’는 와카의 계승에 큰 역할을 했는데 그 전통성 유지에 있어서는 정치적요소도 배제할 수 없다.
        6,900원
        228.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most Christians in Korean have felt shame at watching the status quo of Korean protestantism. Almost everyday, we Christians faced unpleasant news about churches and clergies. At the same time, Christians feel the crisis of church growth and mission. At this moment, it would be significant and meaningful to search for the church reforms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and to be taught from the past. For this reason, the writer investigated several historical events which caused the church reform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several types of church reform in the church history could be described as follows. The first case of church reform was accomplished for the purpose of the ecclesiastical and the social change by means of the political struggle. Second, for the purpose of the ecclesiastical and the social change by the revolutionary method. Third, for the purpose of structural subversion by the political struggle. Finally, for the purpose of structural subversion by the revolution. Among these four, because the second type of reform is illogical, the writer would consider the others. The rest of three cases of reform, however, whether it would be successful or not, had the limitation that could not have accomplished the fundamental reform of problems in their own era. For this, the writer has looked for the another way which was named as the fifth way of reformation and the writer considered it as true church reform. Also, it was regarded a genuine church reform as the most effective way of mission. As the fifth way of reform in the church history, the writer analyzed three historical events: the way of St. Francis and his mendicant movement in the twelfth century; the way of religious movement of Beguine in the thirteenth century; and the way of methodist movement of John Wesley in the eighteenth century.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movement would be as follows. First of all, these movements did not happen to struggle or criticize the existing church power and social structure directly. Secondly, even though there were leading persons in these movements, these movements were empowered by the anonymous laities. Thirdly, the participants of these movements proliferated and flourished very rapid within very limited times. Finally, They were so creative that they created new idea, theology, philosophy, and life styles. In conclusion, the writer proposed the fifth way as the ideal both for church reform and growth simultaneously. Through the fifth way, the people who are sick and tired to churches and protestantism in Korea might come into the world of hope, new spirituality, and creative life that they have never felt in the existing ecclesiastical structure. Then, new Christian communities will proliferate such as the above creative religious movements.
        7,800원
        229.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500원
        230.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odern citizen is the main body of rights and responsibility which is on the basis of the Constitution and the Law, enjoy the rights, fulfill their obligations and actively participate in social and public life. It means the identity of rights and obligations in the social and public life and also makes every person to be the dignified main body of the public life. However, due to historical inertia and the constraints of reality, the wounds of the modern citizen that we could not avoid is true. Cultivating the modern citizens should start with building up civic spirit and civic awareness, expanding the public sphere of modern society, rich the content of modern civic activities, developing the scholastic civil education, etc.
        4,600원
        231.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900원
        232.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low birth rate due to aging in adramatic increase in the older population diversified modern social welfare services to meet the demand of the Ubiquitous Network approach to the introduction of social welfare through feasibility studies, modern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the operation of the future direction and development of alternative to evaluate the present
        4,900원
        233.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for this paper is to categorize and analyz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graphic factors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by media source. Focused on play-instinct visual expression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and adopted media source following the way of communication design. A variety of literatures and online sites for graphic factors in contemporary fashion was studied. The standard of media source is classified as graphic media-source: photography media-source, typography media-source, illustration media-source. With this standard, expressed ways are as followings. First, graphic media-source in play-instinct expressional fashion design is mostly borrowing existed character or using designer’s brand logo. Second, photography media-source in play-instinct expressional fashion design is placed photograph of social issued people in front of shirt. Third, typography media-source in play-instinct expressional contemporary fashion design is mostly expressed social messages or designer’s name in brand. Fourth, illustration media-source is the best way to express play-instinct visual expression. Based on thes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graphic factor in contemporary fashion by media source are classified as three: social words, playfulness and information transference. Frequency ratio using media source per aesthetic characteristics is different and these are able to categorize expression way and image feature. In conclusion, expressional way of graphic factors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became diverse as social and cultural changing. Frequency of graphic factor use in contemporary fashion is increased than before. This paper suggested that fashion design is one of the way of communicating with people and should be analyzed graphic factors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4,300원
        235.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800원
        237.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500원
        238.
        201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 Freud가 주창한 정신분석(psychoanalysis)은 심층심리학(deep psychology)으로부터 출발되었는데 그 독창성은 무의식을 성적억압과 관련지었다는데 있다. 그러나 성적으로 너무 치우치면서 비판운동과 충동갈등 패러다임을 일부학자들은 수정하려고 하였다. Erich Fromm은 프로이트의 이론을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서 재조명하고 인간을 미리 결정된 본능에 따라 환경에 반응하는 존재가 아니라 스스로 판단하고 선택하며 살아가는 존재로 보았다. 현대 수정주의 이론가 Jacques Lacan은 무의식에 선재하는 언어 욕망, 상상계 등의 개념을 통해 인간의 정신을 설명하고자 했다. 특히 아이는 자아와 언어와 사회로 형성된 3차원의 질서 속에서만 개별성을 획득할 수 있다고 보고 언어가 출현하면 무의식이 구성된다고 말할 수 있는데 무의식을 구성하는 기본 억압이란 언어의 출현 이외에 다른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한편 프로이트주의에 대한 비판적 담론은 이성이 인간과 존재하는 것이 최고의 기능성이라고 주장하는 Herbert Marcuse, 현대사회는 사적․성적 실험이 급진적으로 확대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아의 철저한 파편화와 사회 조직의 침투가 시작되고 있다고 하는 Willhelm Rcich, 자기도취적인 자아는 ‘생존주의 문화’의 산물이라고 보고 이러한 유폐된 심성은 가부장적인 가족의 쇠퇴와 연결되어 있음을 예리하게 지적 Christoper Lasch, 정신분석은 성의 고백과 사회 통제의 유지를 위한 억압적인 조처라고 하는 Michel Foucault의 견해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Mikhail Bakhtin은 프로이트의 충동이론이 아무런 근거가 없는 주장이라고 비판하면서 생물학의 심리학화, 주관주의화라고 말하고 유기체의 모든 객관적, 생물학적 형태와 과정은 주관적이고 심리적인 것들 속에 용해되어 버린다고 하며 방법론적으로 볼 때 의식심리학과 본질적으로 차이가 없다고 비판한다. 프로이트주의에 대한 비판적 담론에서 현대적 의미의 정신분석학적 논의는 현대사회의 각 개인들의 무의식적 동기들에서 더 넓은 세계 쪽으로 나아가는 강력한 해석적인 디딤판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사적 환상이 공적으로 되는 그러한 변형과정을 연구하는 것이고 정신분석학의 개념을 문학, 예술, 문화 등 다양한 영역으로 응용하고 확대함으로써 문화와 억압으로부터의 자유를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Lacan은 치료가 아니라 욕망의 적극적인 추구를 강조하여 욕망은 인간의 본질이며 대타자의 욕망이고 무의식은 대타자의 담론이라고 정식화한 점에 주목해서 실재가 본질에 앞선다는 명제를 중시해야 할 것이다. 결국 욕망은 이미지를 형상화해서 문화로 탈바꿈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현대인의 성 역할이나 성 이데올로기에 민감하다는 것에 착안하여 페미니즘의 성역할과 정신분석학적 접근은 여성들의 사적인 고통과 개인적인 억압을 낳는 외부적인 사회 조건에 대응 한다는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 페미니즘과 정신분석 사이의 이론적인 대화는 육아의 분석과 그 문화적인 귀결들에 대한 분석에 특히 중요한 것이었다. 많은 페미니스트들이 보기에 사회적, 성적 억압에 대한 프로이트의 비판은 성적 차이와 젠더 위계의 역학을 이해하는데 결정적으로 중요한 것이다. 이상의 논의에서 인간은 단지 유전자에 의해서만 형성된 존재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는 인간을 단순히 그가 소속되어 있는 사회의 산물이라고 말 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생물학적 결정론으로서의 정신분석학이 해석과 이해를 필요로 하는 인문과학적 요소를 품고 있는 것이다. 인간은 그의 유전자 이상이며, 그 사회 이상인 것이다. 결론적으로 우리에게 전해진 본성을 초월할 수 있는 우리의 핵심적인 인간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과학이 주는 풍요로움 속의 인간성 상실과 고독은 인간의 정신과 개성을 존중하는 종교와 예술을 통해서 해소해야 할 것이다. 그 중심에 정신분석이 위지하고 있으며 그 가치를 인정받아야 할 것이다. 정신분석(Psychoanalysis)의 담론(Discourse)은 정신의학(psychiatry)의 영역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다양한 교류를 넓혀야 할 것이다.
        6,700원
        239.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to examine Gerhard Richter’s“ Atlas” as an artistic symbol of the memory archive with the theme of aporia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art.“ The Atlas” which is composed of 800 huge tafels reflects Richter’s perspective where we can recognize his psychological and work’s source. It is obtained through examining 10,000 pictures, and is also a unique document that shows the life of the artist. The contents of“ the Atlas” have been added and expanded continuously, which make it said to be finished, but it still remains as a non-complete work. According to Derrida, the desire for an archive is an illness that reaches for the death and is a part of the desire of finding and possessing the beginning or origin of everything. Derrida realized through the archive fever in“ Moses and Monotheism”, Freud’s desire of possessing the beginning of everything. This fever is to be seen in situations where death is urged. Therefore, the archive fever is a journey towards the death. The desire to make an archive comes from the inquiry of repeating something, and according to Freud, this desire for repetition can be seen as going towards death. When Derrida was studying Freud’s“ Moses and Monotheism”, he did not overlook Freud’ s archive fever. This has a connection to Richter’s archive fever in“ the Atlas”, reflected in the war and ideology due to the repetitive compulsion of trauma. Derrida said that the reason for Richter examining the same theme repetitively was the archive fever and is at the same time a movement towards the death. Consequently, trauma exists through the archive, and the archive continues through the trial of finding the beginning. Nothing can stop this except the death and that is why death is to be found at the end of the journey. This paper examines Richter’s memory archive in the three directions. First, I illustrate the repetitive compulsion shown in“ the Atlas” and resulted from trauma in an aporaic way to concentrate only on the archive, and examine the aporaic narrative of the author. Second, I examine the various methods of different modern artists to express their “after death memory” when they overcame their trauma. Finally, I examine the aporaic method that is illustrated through the process of fusing and transforming photographs, which shows the objective truth with art. In other words, I examine the method that is exposed between the photographic truth and artistic creation.
        5,500원
        240.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f the fine arts based on the European Existentialism after the Second World War had started saying‘ no’ about all that is humane, asked the meaning of ‘existence’ from the‘ no’, and expressed‘ essence and reality’ of human, the Korean fine arts accepted psychological responses about the absurd situations being the reality of the times of the 4․19 revolution and the 5․16 military coup in the 1960s after the Korean War as the universal dimension of the human spirit. The Korean artists started to accept Existentialism from the 1950s, which appeared actively in the early 1960s, and especially intellectual-oriented Existentialism was a representative of the times. In those days, younger generations gained their experience of the Korean War at first hand, and revealed political and social negation and challenge of all existing values with the oppressed mood. Their essential expressions began with the existential question and rebellious violence which were shared with the writers of younger generation who tried to correspond existential situation and consciousness of heated lives on their own art. If Europeans after the Second World War had found the answer about serious question like "Who Am I ?" in the form of Existentialism, the Koreans tried to find the answer about their own lives in absurd situation of the times after the Korean War. The Sculptures of Oh Jongwook also changed in the 1960s through his selfconsciousness of the social situation and war experience. The tragedy of the human death appearing remarkably among his sculptures was expressed as a part of the heated lives of the absurd social conditions in those days. His main style was iron-welding. Because of his sensitive response on the condition of the times, the works of molding expressing the death appeared in those of Choi Manlin, Ko Youngsoo, and Shin Sukpil. In Europe, the absurdity of the humanbeings in the sculptures of Germaine Richier and Ce'sar Baldacchini was symbols of pain, isolation and fear.
        4,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