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made an economic evaluation of duck using Houttuynia cordata (H. cordata) powder as feed additives after 6 weeks. A total of 300 ducks (Pekin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hree treatments (0%, 0.5% and 1% H. cordata powder), with 5 replicates of 20 ducks each. After 6-week feeding trial, an economic improvement in all the treatments was found in following order: T2 (1% H. cordata powder) > T1 (0.5% H. cordata powder) > control.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ddition of H. cordata powder to duck diets provided significantly greater economic benefits, indicating sustainable environmental management of the duck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ea urchin shell powder, used in broiler diet, on Esherichia coli and Salmonella in litter produced by the broilers. A total of 120 broiler chickens were fed 1 of 3 treatment diets (10 chickens per pen) in a randomized block design treatments with 4 replications. Sea urchin shell powder was used in the concentrations of 0.5% and 1% in the basal diets; the control diet was constituted of basal diet. During the 3-week feeding trials, none of the treatments significantly affected the E. coli populations in poultry litter at weeks 0 and 1, nor did they affect the and S. enterica populations at weeks 1 and 3. However, dietary sea urchin shell powder addition affected the population of E. coli at weeks 2 and 3, and that of S. entericaat weeks 0 and 2 (P<0.05). It is therefore concluded that the use of dietary sea urchin shell powder (0.5% and 1%) will be beneficial enough to reduce E. coli, rather than S. enterica in poultry litter over short-term periods.
본 연구는 중등 예비교사의 교사역량이 학교현장실습을 통해 향상되는지를 살펴보고, 학교현장 실습과정에서 예비교사를 지도한 현직교사들은 예비교사의 교사역량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 는 지를 분석하여 예비교사에 대한 교육요구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원양성과정의 예 비교사 216명을 대상으로 학교현장실습 이전과 이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들의 학교현장 실습을 지도한 현직교사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예비교사 본인 이 인식하는 수행도 변화는 ‘윤리의식 및 열정’, ‘교과전문성’, ‘수업설계 및 자료개발’, ‘수업실행’, ‘평가 및 결과활용’, ‘상담 및 생활지도’, ‘학급경영 및 행정’의 7개 역량 모두에서 증가하였으며, 역 량에 대한 중요도 인식 변화는 ‘윤리의식 및 열정’, ‘수업실행’을 제외한 5개 역량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예비교사 본인이 인식하는 수행도와 지도교사가 평가한 예비교사의 수행도 차 이를 비교한 결과, ‘학급경영 및 행정’ 역량을 제외한 6개 역량에서 예비교사 본인이 인식하는 수행 도 보다 지도교사의 평가가 낮게 나타났다. 셋째,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수행도와 중요도에 따른 교육요구도와 지도교사의 평가에 따른 교육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평가 및 결과 활용’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가 동일하게 상위권에 위치하였으나, ‘교과전문성’ 역량은 예비교사의 교육요구가 지도교 사의 평가에 비해 높았고, ‘수업실행’ 역량은 지도교사의 교육요구가 예비교사에 비해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각 역량에 대한 예비교사와 지도교사의 인식차이를 확인함으로써 교원양성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In this study, flexural and tensile properties of pre-cast UHPC deck joints with surface treatment applied to fields were evaluated. It showed that all specimen set experimental variables satisfied sufficient resisting load efficiency and crack standard.
There are bolt tightening torque decision standards in KSB 0101 for high tension bolt(torque calculation method) and in KSB 0140 for general bolts(general rule for bolt tightening torque decision), But in bolt torque decision general rule method, using Stainless bolt, friction coefficients between bolt and to-be-bolted object will rule the calculated yielding contraction axle force and yielding contraction torque, making it hard to determine the contraction torque in the field. So in other to help determine the contraction torque for stainless bolts(STS304) in field using high tension bolt torque decision method, the needed torque for stainless bolt(STS304) is calculated referencing high tension bolt torque decision method. And the calculated torque is planned to be compared to field test results.
In this study, the regular inspection check-list for vulnerable areas of debris flow was developed in order to cope with expected debris flow in urban areas. First, items for regular inspection were obtained by the Delphi technique, and the regular inspection check-list was developed based on obtained items. The check-list was verified and improved by means of applying it in 2 test-bed site.
This paper propose to make a Construction sit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beacon indoor positioning technology. in this system, as using beacon, it can measure the position of worker who have smartphone or any device which have bluetooth function. there is two way to use technology of beacon, first one is distance technology which can alarm dangerous situation such as appoaching heavy equipment. second one is location positioning technology. it is the main technology which can measure the position of workers in real time. this system is based on low energy and accurate sensor, beacon, and have a low cost advantage. so it is expected to improve safety on the construction site.
We conducted two experiments to evaluate effects of feeding various types of red ginseng marc and Houttuynia cordata (H.cordata) on blood profiles of poultry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In experiment 1 (28 d), a total of 240 broilers (Arbor acres) were used. Four dietary treatments (15 broilers per pen with four replicate pens per treatment) were included: (1) control, (2) 2% red ginseng marc, (3) 1% fermented red ginseng marc with red koji, and (4) 2% liquid red ginseng.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DL and LDL-cholestrol among treatments (P > 0.05), but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decreased in diets supplemented with red ginseng marc and 1% fermented red ginseng marc with red koji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treatment (P < 0.05). In experiment 2 (38 d), a total of 240 Pekin ducks were randomly divided into 4 groups by dietary treatments (control, 1% fermented H. cordata powder with red koji, 1% fermented H. cordata pelleted with red koji, and 1% fermented H. cordata coated with red koji) with 4 replicates of 15 ducks in each group. Total cholesterol and VLDL-cholesterol were not affected by diet with various types of H. cordata. However, increase in HDL-cholesterol and decrease in LDL and VLDL-cholesterol were greater in treatments with different types of H. cordata than in the control treatments (P < 0.05). In conclusion, using various types of red ginseng marc and H. cordata in poultry diets was effective for increasing HDL-cholesterol and decreasing total, LDL, and VLDL-cholestrol or triglyceride.
본 연구는 학교현장실습 전 구성주의 교수학습이론에 기반하여 모의수업을 실행하고 평가해 본 기회를 가진 예비 생물교사들이 학교현장실습에 참여하면서 겪은 수업참관과 수업운영의 경험을 통해 교수-학습에 대한 신념이 어떻게 변화되고 재구성되었는지 살펴보았다. 학교현장실습 후 반구 조화된 개인별 면담 질문을 통해 예비교사들의 교과목적에 대한 신념, 교수학습에 대한 신념, 좋은 수업에 대한 신념, 그리고 앞으로 현장교사가 된다면 어떠한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 생물교사들은 학교현장실습 전 대학에서의 교육을 통해 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한 과학적 사고력과 탐구를 중요시 생각하였다. 학교현장실습 기간 동안 예비교사들은 실험이나 탐구활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내용 전달식의 입시위주의 교육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장을 경험 하였으며, 한편으로는 교사 중심이지만 소통이 되는 수업, 학생 하나하 나 이끌어가는 수업, 교사의 노력에 반응해 주는 학생들의 모습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예비교사들은 학교현장실습 후 ‘구성주의’ 수업이 구현되기 힘들다는 점을 토로하면서도 학생들의 사고를 자극하 고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 현장에 부합하는 교수학습방법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수업에 대한 필요성과 흥미, 소통하는 수업, 교사의 노력과 열정의 중요성을 언급하는 등 대학에서 배운 이론을 현장에 맞게 실천하고자 하였다. 예비교사들은 현장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동시에 경험하면서도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한 구성주의 교수-학습이론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고민 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는 학교현장실습 전 교사교육 프로그램, 현장실습 경험, 그리고 현장실습 후 예비교사들이 교수학습 신념을 어떻게 재구성하였는지 점검해 봄으로써 예비 교사 교육에서의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역사는 한국 다문화정책 10년의 행적과 그 궤도를 같이한다. 현재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다문화가족정책 통합의 기조 아래 건강가정지원센터와 기관 통합이 추진되고 있다. 다문화정책에 있어 주도적인 역할을 해 온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이대로 포괄적인 가족지원 전달체계로서 통합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을 통해 본 연구는 기획되 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현장전문가의 인식을 통해서 현재 진행 되고 있는 다 문화가족통합정책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실제적인 정책제안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현상학적 질적 연구로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현장전문가를 심층면접한 후, Colaizzi 의 6단계 분석방법으로 자료를 코딩하여 인식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문화가족지 원센터의 불안정한 행정 체계, 통합시범센터의 운영결과 공유 및 논의 필요, 향후 도래할 이민사회를 생각할 때 다문화가족정책 통합에서 이민자 통합정책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비롯한 14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현장전문가들의 제언이 정책에 반영되어 성숙한 한국적 다문화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2016년 제정된 「자원순환기본법」에서는 폐기물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고 발생된 폐기물을 순환이용 및 적정 처분하도록 하며, 자원순환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기본적인 사항들을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물질재활용 뿐만 아니라 에너지재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정책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폐기물 적정처리 및 에너지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 소각처리 및 소각열 회수의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소각시설 에너지회수효율 산정 방법은 유효하게 사용된 에너지가 아닌 생산에너지를 기준으로 산정함으로써 에너지 회수율 증진을 위한 제도 도입 취지와 목적 구현에 한계를 나타냈다. 이에, 개정된 에너지 회수효율 산정방법에서는 에너지 회수를 위한 기술력 향상 및 회수 에너지 활용도 증진을 위하여 생산된 에너지 중 유효 사용량을 기준으로 산정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또한 에너지 회수효율 및 폐기물 저위발열량 산정을 위한 모든 인자를 계측장비를 통한 계측 데이터 및 현장 측정・분석 결과를 적용하도록 하여 데이터 및 산정 결과의 신뢰성과 객관성을 확보하도록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정된 에너지 회수효율 산정방법을 바탕으로 국내 사업장폐기물 소각시설에서의 폐기물 저위발열량과 에너지 회수효율을 산정하였다. 대상시설은 스토커소각로 5기, 로터리킬른-스토커 병합식 소각로 1기, 로터리킬른 소각로 2기, 유동층 소각로 2기로 선정하였으며 산정 인자는 업체 내 실제 계측기기 측정값과 현장 측정・분석 결과 값을 적용하였다. 폐기물 저위발열량 산정결과 평균 약 3,350.5kcal/kg의 저위발열량을 나타냈으며, 에너지 회수효율 산정결과 에너지 생산량 기준 평균 약 58.6%, 에너지 사용량 기준 평균 약 49.0%로 산정되었다. 에너지 유효 사용량 기준과 생산량 기준의 에너지 회수효율 산정 결과는 약 10%의 차이를 나타냈으며, 이는 외부 공급 및 공정 내유효 사용 등을 통하여 잠재적으로 활용 가능한 양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소각시설에서는 보다 높은 에너지 회수효율 제고를 위하여 안정적 운영・관리, 소내 사용 에너지 절감, 터빈 발전 방식의 개선 등 다양한 에너지 회수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By analyzing the compressive strength througth field test execution on the shotcrete mixture with 40% blast furnace slag and slurry accelerator, confirmed the suitability as subsea tunnel material. As a result, strength characteristic on the anti-chloride shotcrete is excellent evaluated in terms of compressive strength compared with existing shotcrete.
Traditional marine structures are difficult to construct under the marine environment. These structure have maintenance costs associated with the chloride attack environments. In this paper, a new structure system is proposed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The connection of precast reinforced concrete girders and bent cap is the main feature of the proposed structure system. To assess the joint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s, full-scale joint was fabricated and tested under cyclic loading. The key parameters examined were the pile displacement; the strain in the reinforcement; and the crack patterns in the concrete. The test structure behaved stably for cyclic loading. The test structure is analyzed to be safe in all memb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curacy of cultivated crop database in agricultural farm business using UAV(Unmanned Aerial Vehicle) and field survey over Daesso-myeon, Umsung-gun, Chungbuk. When comparing with agricultural farm business and cadastral maps, Daeso-myeon crop field shows 29.8%(2,030 parcels out of 6,822 parcels) is either mismatched or missing. It covers almost 19.3%(3.4km2 of 17.6km2) of total farmland.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multifaceted plan including cadastral map.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ultivated crop registered in the agricultural farm business and the field survey agreed only in 3,622 parcels in total 6,822 parcels whereas 3200 parcels disagree. Among these disagreed parcels 2,030(29.8%) have been confirmed as unregistered farm business entity. Accuracy of cultivated crop registered in agricultural farm business agreed in 75.6% cases. Especially the paddy field registration is more accurate that other crops. These discrepancies can lead to false payment in agricultural farm business. For exploration and analysis of regional resources, UAV images can be used together with farm business management database and cadastral map to get a clearer grasp over on-site resources and conditions.
By analyzing the compressive strength througth field test execution on the shotcrete mixture with 40% blast furnace slag and slurry accelerator, confirmed the suitability as subsea tunnel material. As a result, strength characteristic on the anti-chloride shotcrete is excellent evaluated in terms of compressive strength compared with existing shotcrete.
Traditional marine structures are difficult to construct under the marine environment. These structure have maintenance costs associated with the chloride attack environments. In this paper, a new structure system is proposed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The connection of precast reinforced concrete girders and bent cap is the main feature of the proposed structure system. To assess the joint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s, full-scale joint was fabricated and tested under cyclic loading. The key parameters examined were the pile displacement; the strain in the reinforcement; and the crack patterns in the concrete. The test structure behaved stably for cyclic loading. The test structure is analyzed to be safe in all members.
연안오염퇴적물에 함유된 유기물질과 PAHs의 현장정화를 위한 생물활성촉진제의 효능을 파일럿 규모의 현장실험을 통하여 1년간 평가하였다. 실험 해역의 수온은 계절적인 요인으로 인해 16.5°C에서 21°C까지 변화가 있었으나, 파일럿 반응조의 오염퇴적물의 pH는 8.4-8.5로 서 비교적 일정하였다. 파일럿 실험종료 후 바탕시험구와 초산, 황산이온, 질산이온을 함유한 생물활성촉진제를 주입한 오염퇴적물의 화학적 산소요구량은 각각 39% 및 79%까지 감소하였으며, 휘발성고형물은 초기 약 15 g/kg에서 7 g/kg 및 2.5 g/kg까지 각각 감소하였다. PAHs는 2- ,3- ,4- ,5-ring 과 6-ring 16PAHs를 평가하였으며, 생물활성촉진제를 주입한 오염퇴적물에서 2-ring 화합물인 나프탈렌은 실험시작 2개월 후 100%(바탕시험구의 감소율 55.6%)까지 감소되어 가장 빨랐고, 12개월 후 3-ring 및 4-ring PAHs의 감소율은 모두 100%(바탕시험구의 감 소율 46%-100%)에 달하였다. 5-ring과 6-ring PAHs의 12개월 후의 감소율은 바탕시험구와 생물활성촉진제를 투여한 오염퇴적물에서 각각 26%-87% 및 77%-100%로 평가되었다. 연안오염퇴적물에 투입한 생물활성촉진제는 유기물질 및 난분해물질인 PAHs의 제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해상교통관제사(이하 ‘VTS 관제사’)의 해상교통관제(Vessel Traffic Service: 이하 ‘VTS’) 수행 속성을 상황인식 (situation awareness: 이하 ‘SA’)과 관련된 세부 과제들의 수행 빈도와 SA 역량에 대한 주관적 평가의 측면에서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SA 세부 과제들에 대한 수행 빈도 자료는 3개 VTS 센터의 VTS 관제사가 보인 VTS 수행을 직접 관찰하여 수집하였고, SA 역량에 대한 주관적 평가 자료는 18개 VTS 센터에서 근무하는 VTS 관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법을 통해 수집하였다. 수행 빈도 자료는 SA의 세 수준 과 각 세부 과제에 따라 비교하였고, 주관적 평가 점수에 대해서는 VTS 관제사의 성별과 근무경력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VTS 관제사는 SA 수준 중 정보지각에 해당하는 과제를 가장 높은 비율로 수행하였고, 이어서 정보통합과 예측에 해당하는 과제들을 각각 유사한 수준으로 수행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둘째, VTS 관제사는 정보를 획득하거나 통합하는 역량에 비해 미래 상황을 예측하는 역량을 상대적으로 더 낮게 평가하였다. 셋째, 성별 차이를 비교한 결과, 남성 VTS 관제사는 여성에 비해 더 높은 수준으로 자신의 SA 역량을 평가하였다. 넷째, 성별로 근무경력에 따른 주관적 평가 차이를 비교한 결과, 남성의 경우 근무경력이 15 년 이상인 VTS 관제사는 5년 미만의 VTS 관제사에 비해 SA의 모든 수준에 걸쳐 상대적으로 더 높은 주관적 평가를 보였으나, 여성의 경우 는 근무경력에 따른 주관적 평가에서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VTS 관제사의 SA 과제 수행 빈도와 SA에 대한 주관적 평 가가 SA 수준과 개인차 변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