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velopment and field application of the environment friendly Precast concrete by replacing the blast furnace slag were examin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ompressive strength of Precast concrete used 50% of blast furnace slag was similar to Plain. While 70% of blast furnace slag was slightly decreased.
In the result of Mock-up Tes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Precast concrete used 50% of blast furnace slag was satisfied with the target strength. but greening phenomenon occurred. Although greening occurred on the surface of the Precast concrete, it was gradually disappeared over the age. Therefore, the use of blast furnace slag was available up to 50%.
In this study, improving insulation of concrete, we developed insulated concrete and applied it in the field to reduce amount of energy. As a result, we could get the physical and performance similar to normal concrete's performance and the amount of energy is expected to decrease for improving insulation performance.
본 논문은 디자인 전공 분야에서 학생들이 현장 경험을 통해 실무적인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돕는 지역사회경험학습인 CBL(Community Based Learning) 학습 모델을 고찰하고 그 질적 효과를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에서 제시한 지식, 기술, 태도의 관점에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디자인과 지역사회경험학습’ 과목은 동의과학대학교 디자인계열의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프로젝트’ 과목을 수강하는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설되었다. ‘디자인과 지역사회경험학습’ 교과목으로 학생들은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프로젝트’에서 배운 전공이론과 지식을 실제 현장에 직접 적용해보고, 프로젝트 결과물을 수업 시간 중에 발표한다. 그리하여 시각 디자인 직무의 현장 실무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고 경험을 넓힐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장 실무와 관련된 CBL은 시각 디자인 전공 학생들의 전공능력과 직무 관련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NCS 기준에 의한 학생 일지 분석, CBL 관련기관 평가, 포트폴리오, 자격증 취득 결과 등을 통해, 본 논문의 교육설계와 그 설계에 따른 실행이 학생들의 전공능력과 현장실무 능력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쓰레기 줄이기 활동과 관련하여 환경심리학적 강화물이 환경태도 와 실천의식 및 환경 친화적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강화물 중 환경 친화적 행동을 증진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것은 무엇이며, 환경심리학적 접근이 환경문제를 해결하는데 어떻게 기여할 것인지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 J초등학교 6학년 2개 반 70명을 대상으로 실험 수업과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수업 대상 학생들에게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환경 친화적 행동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환경심리학적 강화접근법은 환경태도와 실천의식 및 환경 친화적 행동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 친화적 행동을 증진시키데 사용한 강화물의 경우 즐거움이 가 장 효과적이었고, 다음으로 쿠폰 혜택, 명예, 현금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규범 활성화와 정적⋅부적 강화접근 및 환경 교육은 환경 친화적 행동의 발생빈도를 증가시키는데 기여함으 로써 환경 보호 기능이 가능하다.
각종 구조물(도로, 건물, 교량 등)은 지반위에 건설되며, 이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다짐도를 만족하여한다. 이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 지반의 침하로 인해 구조물이 붕괴될 수가 있다. 최근 싱크홀등의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는 지반다짐 및 굴착현장의 다짐도등의 평가가 중요해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러나 같은 공사구간내에서 다른 토취장의 지반재료 또는 같은 토취장내에서도 다른 종류의 지반재료가 존재하며 특히 굴착복구현장의 경우 시간제약과 더불어 야간공사로 철저한 다짐을 할 수 없는 현실이다. 또한 다짐도평가를 위한 사용재료의 최대건조밀도를 알아야하며, 현장에서 들밀도시험 및 평판재하시험을 하여야 하나 공사시간의 문제, 시험자의 숙련도문제 및 시험장소의 제약과 중차량 사용과 고비용으로 다짐평가시험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거나 아예 수행하지 않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에서 현장 엔지니어가 쉽고 간편하게 다짐도뿐만 아니라 공사현장의 다짐재료가 발휘하여야 하는 역학적 성질을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다짐평가장비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지반분야에서 쓰고 있는 동적콘관입시험을 소형화하여 국외의 도로관리기관에서 도로하부지반에 사용하고 있는 도로용 DCPT 단점을 보완하고 최대 2인의 시험자가 시험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또한 개산된 장비를 이용하여 지반의 다짐도뿐만 아니라 역학적 성질인 탄성계수와 연계평가할 수 있는 관계식을 실내시험을 통해 제안하였다.
단일현장타설말뚝교각은 희생강관을 지중에 매입한 후 말뚝부와 교각을 일체화된 철근콘크리트로 형성하는 구조로서 교각과 말뚝 캡의 철근배근 등 연결상세에 따른 시공상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항타 말둑과 말뚝 캡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경우에 비하여 경제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말뚝과 교각의 직경이 동일한 경우 소성힌지가 지표면 이하에 형성되어 지진 작용 후 지반을 굴착하지 않고서는 소성힌지의 형성여부 및 손상 여부를 파악하기 곤란하며 보수 및 보강도 쉽지 않다. 소성힌지가 지표면 이하까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말뚝의 지름을 교각보다 크게 해야 하는데, 이 경우 동일한 지름의 말뚝-교각 일체형 구조에 비하여 소성힌지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지므로 콘크리트의 피복박리가 빨리 발생하여 소성회전 능력이 감소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말뚝의 직경이 교각보다 큰 변단면 단일현장타설말뚝교각의 소성힌지영역을 콘크리트 충전 강관(CFT, Concrete-Filled Tube)구조를 활용하여 보강하는 형식, 즉, 말뚝-CFT교각-RC교각을 일체화 연결하는 구조를 제안하였다. CFT형식은 RC구조에 비해 내진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강재 대비 내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수용 강재를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험 연구를 통하여 제안된 연결구조와 기존 형식의 휨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실험 결과 새롭게 제안된 형식의 연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국지성 도시홍수탐지 및 예측의 실패는 기존 대형 S밴드 레이더 관측망의 저층관측 한계를 시사한다. 기존 관측망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돌발홍수의 조기탐지 및 분석을 위한 새로운 첨단관측기법인 X밴드 이중편파레이더 관측망(X-Net)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X-Net 실증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자 수도권 지역에서 X밴드 이중편파 레이더 설치를 위한 후보지를 조사하고 각 후보지의 적합성 판단을 위해 현장조사, 전파환경조사를 수행하여 최적 관측망을 검토하였다.
최적의 관측망을 선정하기 위해 레이더 빔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각 후보지의 빔차폐율을 조사하고 설치후보지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하여 기존시설(전력, 도로, 통신망 등)의 가용성을 판단하였다. 이와 함께 전파환경조사를 실행하여 X밴드 대역의 주파수 할당 가능성을 평가하고, 각 후보지별 간섭이 없는 주파수대역을 조사하였다.
안전보건 민간위탁사업은 안전보건관리 능력이 취약하여 재해발생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 5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의 재해예방활동을 민간기관의 기술 지도를 통하여 집중 지원함으로써 산업재해를 예방하는 사업이며, 안전보건 민간위탁 사업 중 건설 분야 민간위탁사업의 경우 총 공사금액 3억원 미만 영세규모 건설현장 및 영세규모 건설업체를 대상으로 민간 재해예방기관의 위탁을 통해 밀착지원과 감성지원으로 건설재해 예방을 추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 분야 민간위탁 사업의 운영현황, 수행기관 및 사업장 분석, 그리고 연도별 성과를 분석하여 향후 건설 분야 민간위탁사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02년부터 2013년까지의 재해율과 사망 만인율을 분석한 결과, 건설 분야 민간위탁 사업 초기에 비해 민간위탁사업으로 소규모 건설현장의 재해율과 사망 만인율은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최근에는 재해율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규모 건설현장에 대한 민간위탁사업은 건설업 사업장의 산업재해 감소에 기여하였으나, 최근 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사업이 보다 실효성 있는 방향으로의 전환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도로포장에 수분이 많이 침투한 상태에서 중차량 교통량의 증가로 아스팔트 포장에 파손이 증대되어 그 중 하나인 포트홀이 많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도로안전운전에 심각한 장애가 되며 교통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기준에 미달하는 자재 사용으로 도로의 조기 파손을 불러온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다양한 포트홀 보수 방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보수 후 포트홀 발생 부위에 적절하지 않은 보수 방법으로 인하여 다시 포트홀이 발생되고 있으며, 그로 인한 잦은 재보수로 유지 보수 비용역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내구성을 증진하여 도로포장에 발생하는 포트홀을 방지할 수 있는 포장 재료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산업 부산물인 유리섬유 파분을 이용하여 골재형태로 제조한 석분대체용 유리 파분 골재와 유리섬유를 이용하여 실내 실험에서 검증된 유리 섬유 혼합물을 현장 적용성을 평가 하였다. 실내 배합설계를 통하여 최적 보강 섬유량을 결정하였으며, 유리 섬유 보강 아스팔트 혼합물의 적정 생산 온도 및 다짐 횟수를 결정해 현장 적용을 실시하였다. 수원 국토 관리 사무소 관내 국도 38호선에 2회에 걸쳐 시험 포장을 진행하였고, 총 500m 구간 중 100m에 적용하였으며, 현장 적용도를 비교 평가하기 위해 1차 시험 포장의 경우 전체 생산 혼합물량 대비 유리 보강 섬유량 1.3%(유리 장섬유 펠렛 0.66%+ 리사이클 펠렛 0.66%), 2차 시험 포장의 경우 유리 보강 섬유량 1.0%(유리 장섬유 펠렛 0.5%+ 리사이클 펠렛 0.5%)로 각각 다른 보강 섬유량을 결정하여 생산하였다.
최근 철도의 고속화 및 중량화에 따라 주행 시 보다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콘크리트 궤도의 부설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궤도의 대표적인 단점으로는 자갈 궤도에 비하여 탄성이 부족하여 소음 및 진동에 불리한 점이 있으나, 이외에도 콘크리트 표면에 발생할 수 있는 균열 등의 열화요소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열차의 안전에 큰 위협 요소가 되며 막대한 교체 비용을 초래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현재 경부 및 호남 고속선에 부설된 현장타설형 콘크리트 궤도 도상에 대한 균열 해석을 통하여 도상에 배근되는 철근의 역할을 규명하고, 보다 시공성을 제고할 수 있으며 균열 발생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는 시공 방안을 제시하였다. 콘크리트 궤도에 대한 균열 해석은 ABAQUS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특수재난(special disaster)은 CBRN(Chemical, Biological, Radiological, Nuclear)과 같은 극한 환경에서의 재난을 비롯하여 대심도 터널, 초고층 건축물 등에서의 화재와 같은 대형 재앙으로의 확산 위험성이 매우 높은 재난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재난의 규모가 매우 크다는 점과 피해의 확산이 매우 빠르다는 특징을 지닌다. 또한 지구의 환경변화와 더불어 미래에 닥쳐올 예측하기 힘든 재난까지 포괄하고 있다. 특히 2011년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계기로 대규모의 복합적인 특수재난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국민안전처(구.소방방재청)에서는 2012년부터 5년간 290억을 투자하여 미래 환경변화로 인한 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특수재난현장긴급대응기술개발사업(이하 특수재난사업)을 시작하였다. 2012년 4개의 과제가 시작되었고, 2014년에 2개의 신규과제가 선정되어 현재 6개의 연구과제가 수행되고 있으며, 참여기관은 주관, 협동, 위탁을 모두 포함하여 총 30개 기관(대학, 기업, 연구소)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연구과제 현황 아래 표 참조)
특수재난사업은 사업의 목적에 맞춰 소방분야와 IT, 로봇, 기계, 전자 분야와의 융복합이 가장 많이 시도되고 있는 사업이라는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또한 국민안전처의 R&D사업 중 연간 총 사업비의 증가율이 평균 50%을 상외하는 증가율을 가지고 투자되고 있어 많은 성장가능성을 지니고 있으며, 국민의 소득 수준이 상승할수록 안전에 대한 요구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어 미래의 환경변화를 고려한다면 가장 투자가 많이 되어야 할 사업이라는 인식이 증가하고 있어 사업비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수재난에 대비하는 목적에서 볼 때 본 특수재난사업은 긴급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술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지만 예방, 대비, 복구까지 고려한다면 향후 단계별로 더 많은 예산을 투입하여야 특수재난에 대응하는 선도국으로의 진입이라는 사업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In recent years, a rapid growth in the population and urbanization led to an increasing industrial growth. The inadequate treated-wasted water from industry and various non-point sources causes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the stream water. For past few decades, extensive researches have been performed on water purification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echanical performance and water purification properties of porous concrete by using effective microorganisms through the site assessment test. The mechanical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increase void ration caused an decrease in the strength. The optimal mix rate was found to be 15% void rate From the site assessment, it was evaluated that the porous concrete improved the quality of the water and the purification ratios are 34.1 for SS, 14.6% for BOD, 34.9% for COD, 11.4% for T-N, and 12.6% for T-P. The porous concrete and the related purification technique can reduce the non-point pollution sources flowing into the river.
주산군도(舟山群島)는 절강성 동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1,390개 섬들 로 구성되어 있다. 주산은 상해(上海), 영파(寧波), 항주(抗州)를 배후로 하고 있으며, 동쪽은 태평양을 임하고 있고 남쪽은 복건성(福建省)과 대 만성, 북쪽으로는 한일양국에 접하고 있다. 주산은 동중국해 중심지로서 중국 최대어장이다. 주산군도에는 어선 종류가 너무 많아 세계적으로 유 명한 명산지로 노인이 말하기를 “주산도는 배와 같은 형태로 봉우리는 침대와 같아 주산(舟山岛形如海中之舟. 山翼如枕海之湄, 以舟之聚, 故名舟山)”이라고 하였다. 동시에, 주산사람들은 문을 열고 바다를 보며 생활해 왔기 때문에 배는 주산사람의 생활에는 없어서는 안 되는 것으로 생각해 왔으며 어획, 양식, 운송 무역 등에 사용되어 왔다. 주산사람들은 배가 집과 같은 제2의 생명으로 생각해왔다. 70년대부터 필자는 배 숭배의 풍습 문화에 대해서 현장조사를 하고 보고해 왔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blem of the existing rural development plan where the opinions of local residents are excluded due to the lack of expert knowledge and limited participation and sought the village development plan driven by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by applying a rural forum targeting rural villages to solve the problem. As a result of the study, (1) the problem of the current village development pla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and (2) this problem has remained as an important challenge. Therefore, the village improvement activities that have reflected the opinions of local residents can be said to be (3) the process that seeks the change into the rural planning process led by local residents, and this study derived the ways to ensure the voluntary behavior of local residents, strengthen local residents' capacity to create on-going villages, and expand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opportunities in the entire process of rural planning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rural forum. (4) Although it is generally difficult for local residents to propose opinions directly and exert influence in the rural planning and design process and it is not easy to reduce the difference in the perspective between the professionals and local residents, significance lies in the fact that local residents voluntarily determine the future of their region and derive the plan. Therefore, the experience of decision-making and consensus process through the rural forum can promote the sustainability of the village creation participated by local residents and the increase of local residents' role. This study took one village as an example to reflect the results applied to the rural forum, and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at it has been fully verified with the method of residents' participation. Therefore, future studie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village creation and seek the empirical utilization measures are needed more, and the operation of education programs and various support plans suitable to the capacity and level of local residents should be promoted rather than the traditional lecture-style stereotyped education in the future for sustainable rural development.
본 연구에서는 사상성 조류로 구성된 수질정화시설의 수질정화효율을 평가하고자 충남 서산시 음암면에 소재한 성암저수지 유입하천 홍수부지에 test-bed를 설치하고 유입하천수를 대상으로 현장적용실험을 실시하였다. 수질항목별로 정화효율을 평가한 결과, SS 80.9%, COD 74.6%, T-N 76.8%, T-P 84.4%, DTN 93.8%, DTP 98.3%의 제거효율을 보였다. 수온에 따른 정화효율은 수온이 약 20˚C로 유지되어 수질정화효율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은 SS 및 TP 처리효율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체류시간을 5일로 했을 때 SS, TP 처리효율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입수의 COD/TN에 따른 처리효율은 TN, TP 모두 C/N비가 낮을수록 증가하였고, 유입수의 COD/TP에 따른 처리효율도 C/P비가 낮을수록 TN, TP 모두 처리효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강의식, 종이와 책 기반의, 오프라인 위주의 교육 현장 생태계에서 인터랙티브한 디지털, 온라인 기능성 게임을 활용하는 방법을 알고자 네 개의 학교에 기능성 게임을 주고 교사들이 그들의 학급에서 어떻게 활용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숙련된 교사들에게 게임을 자유롭게 기존의 교과와 연계하여 활용하도록 지시를 줌으로써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게임 활용 방법을 기초로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교과 내에서 사용하는 모형과 교과 외에서 사용하는 모형으로 나누어졌으며, 교과 외에서 사용할 경우 컴퓨터 시간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과와 컴퓨터 시간 외에도 쉬는 시간과 점심시간, 그리고 학교 밖에서의 시간을 통해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게임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떤 방법으로 사용하는지는 교사의 특성, 학생의 특성, 그리고 컴퓨터의 물리적 위치와 접근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Semi-rigid pavement is one of excellent paving methods adopting merits of asphalt-concrete and concrete paving. However, conventional paving methods were mainly used on the new constructed roads. Therefore, in this research we have examined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semi-rigid pavement on occupied roads. Also, confirmed the early-open possibility of pavement by applying the rapid hardening binding material to semi-rigid pavement.
In this study, the multi-functional fishway with underground passage, sediment block system reflect the fish's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y kinds of fish up and down easily is proposed. The 3D-analysis of Reinforced Concrete(R/C) Slab and R/C + Steel Concrete(S/C) Slab with rectangular underground passage are carried out by SAP 2000 software program for multi-functional fishway's durability.
The Slab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R/C Slab type of the maximum stress is decreased by 33.5 than that of R/C + S/C type(Size:1m x 0.4m, Velocity: 1.6m/sec)and the shortage of shear is 2 than that of R/C + S/C type(Size:1m x 0.4m, Velocity: 1.6m/sec). The stability of R/C + S/C concrete slab with underground passage is more advantageous than that of R/C concrete sl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