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2

        342.
        200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연하천에서의 이송-확산 과정의 모의를 위하여 입자위치의 이산확률분포에 기초한 2차원 수송 모형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모형에서는 단위 시간간격동안 격자간의 질량이송을 예측하기 위하여 평균과 분산의 함수로 나타내어진 확률분포를 사용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유속, 확산계수, 단면적이 일정한 단순영역에 대하여 수치확산이 없는 해를 구하였고, 양의 확률을 만족시키는 안정조건이 성립한다면, 해석해와 다른 유한차분법과 비교하였을 때,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모
        345.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ersonal exposures of nitrogen dioxide(NO2), microenvironmental levels and daily time activity patterns on Seoul subway station workers were measured from February 10 to March 12, 1999. Personal NO2 exposure for 24 hours were 29.40±9.75 ppb. NO2 level of occupational environment were 27.87±7.15 ppb in office, 33.60±8.64 ppb in platform and 50.13±13.04 ppb in outdoor. Personal exposure time of subway station workers was constituted as survey results with 7.94±3.00 hours in office, 2.82±1.63 hours in platform and 1 hours in outdoor. With above results, personal NO2 exposure distributions on subway station workers in Seoul were estimated with Monte Carlo simulation which uses statistical probabilistic theory on various exposure scenario testing. Some of distributions which did not have any formal patterns were assumed as custom distribution type. Estimated personal occupational NO2 exposure using time weighted average (TWA) model was 31.29±5.57 ppb, which were under Annual Ambient Standard (50 ppb) of Korea. Though arithmetic means of measured personal NO2 exposure was lower than that of occupational NO2 exposure estimated by TWA model, considering probability distribution type simulated, probability distribution of measured personal NO2 exposures for 24 hours was over ambient standard with 3.23%, which was higher than those of occupational exposure (0.02%). Further research is needed for reducing these 24 hour NO2 personal excess exposures besides occupational exposure on subway station workers in Seoul.
        353.
        200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구온난화와 같은 기후변화로 인해 최근에 한반도에서 급증하고 있는 집중호우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12개 우량관측소 지점의 연 최대 강우량 계열에 대한 빈도해석을 실시하였다. 확률강우량의 시간적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자료기간을 30년으로 한 후 1년씩 이동하면서 l00년 빈도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고, 80% 이상의 지점에서 최근의 집중호우가 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료기간을 1년씩 누가하면서 100년 일최대 확률강우
        354.
        200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강유역의 면적 확률강우량을 산정하는데 있어서 자료기간이 충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지속기간별 연최대치 강우자료를 구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현재 이를 만족하는 강우자료는 9개 기상청 자료이며, 면적 강우량을 산정하기에는 그 분포가 너무 적은게 사실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건설교통부와 수자원공사 산하 강우관측소 자료 (59개소)의 공간적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기상청 강우관측소의 관측소밀도를 보정하였으며,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소유역별 면적 확률강우량을
        355.
        200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인천지방에서의 확률강우량과 확률강우강도식을 유도하기 위하여 인천기상대에서 관측된 자료로부터 강우 지속기간 10분 ~ 6시간까지의 연최대강우량을 선정하였다. 12개 강우지속기간별 확률강우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11개 확률분포형을 적용하였으며 Chi-square 검정방법, Kolmogorov-Smirnov 검정방법, Cramer Von Mises 검정방법으로 적합도 검정과 함께 도시적 해석법으로 가정 적합한 분포형을 결정하였다. 확률강우도식은 최소
        357.
        199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강우에 대한 대표 확률분포형을 결정하고 결정된 대표 확률분포형에 의거하여 확률강우강도식을 유도한다. 빈도해석에 널리 사용되는 11개 분포형에 대하여 모멘트법과 최우추정법 및 확률가중모멘트법으로 모수를 추정하고, 적정성이 있는 모수를 대상으로 적합도 검정을 실시하여 지속기간별로 각 지점의 적정분포형을 구한다. 전 지역의 강우 동질성을 검정하는 방법으로 비모수적 검정방법인 Mann-Whitney 검정과 Kruskal-Walls 검정을
        358.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 나라 주요 우량관측소 22개 지점의 매년 최대치 강우자료에 대하여 빈도해석을 실시하였다. 매개변수 추정방법은 모멘트법, 확률가중 모멘트법, 최우도법 등이며, 매개변수 적합성, 도시적 해석, 분리효과, 적합도 검정결과 GEV 분포가 우리 나라 강우자료에 대하여 가장 적합한 확률분포형으로 나타났다. 선정된 GEV 분포형을 모집단의 확률분포형으로 가정하여 재현기간별 확률강우량을 산정하므로써 지역적 해석을 실시하였으며, 정확도 있는 선형화 기법을 통해 회
        359.
        1999.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apply and examine the stochastic approach for empty container repositioning and leasing problem. For this a case study has been carried out on actual data such as various cost components and traffic flow. The results reveal that the proposed methodology produces more realistic results than the conventional deterministic approaches. It is also found that the results a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accuracy of demand and supply forecast.
        360.
        199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haracteristics on the transtion probabilities and periodicity for the daily precipitation occurrence in Korean peninsula are investigated by applying the Markov chain properties to daily precipitation occurrence. In order to examine the responses of Markov Chain properties to the applied period and their magnitudes, three cases (Case A: 1956∼1985 at 14 stations, Case B: 1965∼1994 at 14 stations, and Case C: 1985∼1994 at 63 stations) are considered in this study. The transition probabilities from wet day to wet day for all cases are about 0.50 and in summer, especially July, are higher. In addition, considering them in each station we can find that they are the highest at Ullung-do and lowest at Inchon for all cases. The annual equilibrium probabilities of a wet day appear 0.31 in Case A, 0.30 Case B, and 0.29 Case C, respectively. This may explain that as the data-period used becomes shorter, the higher the equilibrium probability is. The seasonal distributions of equilibrium probabilities are appeared the lowest(0.23∼0.28) in winter and the highest(more than 0.39) in spring and monthly in July and in October, repectively. The annual mean wet duration for all cases is 2.04 days in Case A, 1.99 Case B, and 1.89 Case C, repectively. The weather cycle obtained from the annual mean wet and dry duration is 6.54∼6.59 days, which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movement of synoptic systems. And the statistical tests show that the transitions of daily precipitation occurrence for all cases may have two-state first Markov chain property, being the stationarity in time and heterogeneity in space.
        16 17 1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