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용 후설치앵커는 설치조건에 민감하여 이에 따라 성능이 다르게 발현될 수 있으며, 구조적 특성상 해당 시험을 통해 성능을 검증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 후설치앵커의 설계 시에는 실제 현장 설치조건에 맞는 성능 값을 적용하여야 하며, 설치 시에는 설계 시 고려한 조건들을 준수하여 적합한 설치방법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설치조건에 따른 후설치앵커의 성능 변화를 분석하였다.
비탈면 붕괴의 한 요소로 동절기 및 해빙기 과정에서 동결-융해에 따른 풍화, 수축-팽창 등의 영향으로 비탈면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실제 국내외에서 해빙기 시기에 비탈면 붕괴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빙기 비탈면의 안전 확보를 위하여 해빙기 비탈면 유지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외관조사 및 자료조사를 통한 상세 점검을 바탕으로 고도화된 위험성 평가 여부를 결정하고, 위험성 평가에서도 위험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전기비저항 등을 통해 위험단면을 선정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을 경제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유지관리 프로세스를 계획하였다.
IP(Intellectual Property) 비즈니스는 특허·상표·디자인 등 지적재산권을 활용한 사업영역을 뜻하는 말로서, 지식재산을 브랜드로 성장시켜 다양한 수익구조와 연결하며 최근 고수익 미래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캐릭터는 게임이나, 웹툰, 애니메이션 등을 통해 인지도가 생성된 후 다양한 문화기반의 상품 및 콘텐츠로 확장해나가며 IP 비즈니스의 이상적인 모델로 주목 받고 있으며. 그 때문에 기획단계 부터 캐릭터의 스토리나 디자인의 저작권은 물론 브랜드 구축을 위한 상표 등의 지적재산권 확보를 함께 검토하는 연구가 그 어느 때 보다 중요시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출시된 국내외 주요 캐릭터의 브랜드 네이밍에 대한 분석 및 다양한 선행 상표와의 유사성을 고려하여 상표등록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적 캐릭터 브랜드 네이밍 접근 방법을 사례를 통해 제시하는데 있다. 캐릭터를 활용한 IP 비즈니스는 대부분 라이선싱을 통해서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서는 캐릭터의 저작권이외에도 출시하고자하는 캐릭터 상품의 상표권을 반드시 확보 하여야한다. 상표권은 특허청에서의 심사를 통하여 권리를 확보할 수 있으며, 상표 명칭의 식별성이 등록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기준이 된다. 하지만 수많은 상표가 넘쳐나는 현대에는 선행 상표와의 유사성에서 벗어나 고유의 식별성을 확보하기가 매우 어려워 브랜드 네이밍의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출시된 국내외 주요 캐릭터의 브랜드 네이밍을 다양한 유형별로 분류하여 캐릭터 브랜드 네이밍의 기본 체계를 연구하였으며, 선행 상표와의 식별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캐릭터 브랜드 네이밍 전략적 접근 방법을 사례를 통하여 연구하였다. 저자의 자작 캐릭터의 주요 상품군에 대한 캐릭터의 상표명, 서비스표, 상표의 설명 등의 전략적 접근방법을 통해 캐릭터 네이밍의 보정 및 등록이 확정되어 출원공고가 나기까지의 과정을 각각 단계적으로 연구하여 전략적 상표등록 방법을 구조화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ensate for the decrease in intensity due to the decrease in temperature and proposed temperature correction strength T28, using the Fractional function mode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a strength correction factor to compensate the strength delay at designed age caused by the temperature drop in low temperature condition. Strength correction factors due to temperature drop T28 were provided using the constant function model.
현대 사회에서의 항만공간은 과거와는 달리 단순히 항구로써의 기능만을 위한 공간이 아닌 주거, 레저, 관광 등 다양한 기능이 복합화 되고 있다. 그에 따라 더욱 많은 사람들이 밀집하는 공간으로 변모해 가고 있다. 반면 항만 공간은 지형적, 환경적 특성 상 재해에 취약한 공간이기도 하다. 하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방재·도시계획이 명확히 자리 잡고 있는 실정이 아니다. 따라서 항만공간의 특성을 감안한 방재·도시계획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안전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the temperature correction strength (Tn) was conducted to propose (Tn) according to the management age of structural concrete that is separated from the average curing temperature of 4°C to 17°C in cold conditions. After reviewing the strength difference of the concrete using fly ash as a combined material at W/C 50%, the temperature correction strength (Tn) is proposed. The temperature correction strength was proposed to compensate for differences with standard curing conditions due to decrease in curing temperature from 28th, 42nd, 56th and 91st of the models interpreted as equivalent age methods.
Concrete residential structures are being redesigned for maximum space utilization efficiency by including parking lots and other convenience facilities. However, there are increasing problems of leakage due to various environmental and deterioration conditions. This paper proposes the a world-wide-web based professional information sharing system designed to provide solutions, alternatives and technical information for leakage prevention and effective design at the beginning of the construction stage.
도시지역의 모든 하수관망을 사용하여 구축된 강우-유출모형은 그 규모가 방대하고 복잡하여 실시간 도시홍수예보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도시화가 많이 진행된 서울시의 상습침수지역인 도림천 대림배수분구의 하수관망도를 이용하여 강우-유출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단순화하였다. 하수관망 단순화는 노드의 누가유역면적을 단순화의 범위 산정을 위한 기준으로 설정하고 총 5단계의 과정으로 나누었으며 단순화 과정에서 SWMM의 모든 매개변수들을 면적가중치를 적용하여 계산하였다. 또한 하수관망의 적정 단순화 범위를 산정하기 위하여 유출모형에 5가지 단순화 범위를 설정하고 유출분석과 침수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출모형의 노드와 관망의 개수 그리고 모의시간 모두 단순화 범위에 따라 50~90%까지 일정하게 감소하였으며 단순화 이전과 동일한 유출량 결과를 나타내었다. 2차원 침수분석의 경우, 누가유역면적별로 단순화의 범위가 커질수록 월류지점의 개수가 크게 감소하고 위치가 바뀌었으나 비슷한 침수양상을 나타내었다. 다만 누가유역면적을 기준으로 6 ha 이상에서는 상류부터 삭제되는 노드에 의해 나타내지 못하는 침수지역이 발생하였다. 2차원 침수면적, 주요침수구간, 침수심 등을 비교 ․ 분석한 결과, 누가유역면적을 기준으로 1 ha의 단순화 범위가 단순화 이전의 분석결과와 가장 유사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SWMM 매개변수를 모두 고려한 하수관망 단순화를 실시함으로써 실시간 도시홍수예보를 위한 신속하고 정확한 유출자료 생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음식물류 폐기물은 2005년부터 분리배출 되고 있으며, 퇴비화, 사료화 등을 비롯하여 다양하게 자원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2015년 기준 생활 폐기물 중 음식물류 폐기물의 재활용률은 13,690톤/일로 전체 생활폐기물 대비 96.6%를 기록하였다. 이 중 49%가 사료화, 29%가 퇴비화, 7.3%가 바이오가스화, 14.7% 기타방법으로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의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정책에도 불구하고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업체의 제품 품질 문제, 퇴비의 미부숙 문제 등 자원화 업체에 대한 관리 감독 미흡, 자원화 시설 및 중간처리 등의 문제로 음식물류 폐기물의 자원화가 건전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산물의 유통체계 미흡 및 부정적 인식으로 자원화 제품의 유통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음식물류 폐기물의 처리 실태 파악을 위하여 퇴비화, 사료화, 바이오가스화 등의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업체를 대상으로 방문 및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재 음식물류 폐기물의 처리 실태를 파악하였다.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적격업체 심사 기준으로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업체를 관리 감독하고 있지만, 미부숙 퇴비 유통, 자원화 제품의 이물질 과다 포함 등의 문제로 자원화 제품 이용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건전성 확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업체에 대한 관리감독 개선 방안과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 선진화, 자원화 제품의 부정적 인식 등의 개선방안을 마련하였다.
The number of expressway structure management is continuously increasing, and the aging of structures is proceeding rapidly. In order to secure the safety of expressway structures, we propose improvement methods such as advancement of structure management system, lifetime improvement methods such as prevention of structure deterioration, and the preemptive reflection of the structure maintenance budget.
Most of the apartment buildings to be remodeled are in the form of wall structures, and walls are very important structural members. When remodeling, there are cases where existing walls are demolished and new walls are installed. If a wall is newly installed, the continuity of the wall from the foundation to the top floor must be ensured. Some slabs prevents the vertical continuity of the reinforced wall. It is because the upper and lower wall reinforcing bars must be connected through the demolished slab and the concrete must be pour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method to secure the vertical continuity of the reinforced wall during the remodeling will be examined.
The techniques for seismic design and seismic reinforcement of structural members in Korea have beendeveloped in a wide variety of ways, but research and technology on seismic retrofitting methods of nonstructural materials are very inadequate. In this study, we analyze ceiling system products of Japan which have seismic performance as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on-structural ceiling system.
책임형 CM(CM at Risk)은 CM회사가 최대공사비보증을 통해 프로젝트를 제공하는 프로젝트 발주 방식 중 하나이다. 종합건설업 체는 리스크를 줄이고 프로젝트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초기 설계 단계부터 시공단계까지 책임형 CM을 적용할 수 있다. 책임형 CM의 주 요 장점 중 하나는 종합건설업체가 견적, 도면 및 시방서 검토, 시공성 검토, 가치공학, 친환경, BIM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시공이전단계의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책임형 CM 프로젝트가 거의 수행되지 않아 경험이 부족한 국내 종합건설업체는 현재 한정 적인 시공이전단계 서비스만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 선진 종합건설업체는 프로젝트에서 책임형 CM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특히 시공이전단계 프로세스와 그에 대한 목적, 성공적인 수행을 위한 각 참여자들의 역할과 책임에 대해 벤치마킹 연구를 통해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건설 사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책임형 CM을 프로젝트에 도입하려는 국내 건설업체들에게 가이드 자료로 활용될 수 있 을 것이다.
Shoot and the fruit growth characteristics of ‘Campbell Early’ grape cultivar were investigated after vine thinning using the main branch leader. Before vine thinning, branch diameter was 11.8 ㎜, but it decreased to 9.3 ㎜ after vine thinning. The number of shoots per vine increased to 55.9-64.5 after vine thinning. The number of fruit clusters per shoot was higher (1.5-1.75) in the vine thinning plot than in the control (0.8). Consequently, the number of clusters per vine was 98.1–106.5 in the vine thinning plot, while that in the control was 24.4-28.0. However, soluble sugar content (SSC) and tartaric acidit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and the vine thinning plot. The proportion of >351 g fruit cluster weight after vine thinning (81.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32.5%). These results imply that fruit quality based on the variation in cluster weight and fruit yield was enhanced by vine thinning using the main branch leader.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광역의 방사성 오염부지가 발생되었으며, 이에 대한 제염작업으로 인하여 다량의 제염폐기물이 발 생하였다. 일본에서는 이를 보관하기 위하여 각 지역에 임시저장시설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들 시설들은 피난지시해제가 이루어진 지역의 일반인에 대하여 방사선학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임시저장시설 인근에 거주하 는 일반인의 방사선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임시저장시설 특성에 따른 거리별 공간 방사선량률 및 선량제한치를 만족하 는 임시저장시설로부터의 이격거리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임시저장시설의 형태 및 크기, 복토 두께 등을 고려하였으며, MCNPX를 이용하여 방사선량률을 평가하였다. 복토에 의한 차폐효과는 두께가 10 cm일 때 68.9%, 30 cm일 때 96.9%, 50 cm 일 때 99.7%로 나타났다. 임시저장시설 형태에 따른 공간 방사선량률은 지상 보관형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반 지하 보관형, 지하 보관형일 순으로 나타났다. 임시저장시설 크기에 따른 공간 방사선량률은 5 × 5 × 2 m 시설을 제외한 시 설에 대하여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는 임시저장시설 내 적재된 제염폐기물에 의하여 자기차폐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최종 적으로 크기가 50 × 50 × 2 m이고, 복토가 없는 임시저장시설의 경우, 지상 보관형의 평가된 이격거리는 14 m(최소농도), 33 m(최빈농도), 57 m(최대농도)이며, 반지하 보관형의 이격거리는 9 m(최소농도), 24 m(최빈농도), 45 m(최대농도), 지하 보관형의 이격거리는 6 m(최소농도), 16 m(최빈농도), 31 m(최대농도)로 나타났다.
This paper is presented in progressive improvement of th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for corrugated steel plate culverts in Korea expressway. After reviewing the technical consulting reports and field surveying this whole structures. It is effectively help to minimize damage and improve the stability of struc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