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ost important concern in the internet service organizations in competitive market circumstances is to focus on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continuous relationship with custo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perception of the fairness - procedural fairness for recovery, interactional fairness, fairness for reward on customer's satisfaction and trust, behavior when the internet service company failed to service such as discl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This study aims to apply justice theories to service recovery. As a result, first, the customer's perceived justi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trust in service recovery. Second, the customer's satisfaction positive effect on trust. Third, customer's satisfaction formed by service recovery had a effect on the customer's behavior such as continuous usage inten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reveal how the extent of justice perception felt by customers in the service recovery process, causes positive causation relationship which affect customer behavior intention.
연구자는 30여년을 교정일선 현장에서 교정의 과제를 고민해왔다. 2007년 이 후 서울지방교정청장과 2008년 6월부터 법무부 교정본부장의 역임은 그 고민의 일단을 실천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연구자는 2007년 ‘희망등대 프로젝트’를 기획하여 교정단계에서의 회복적 사법모델의 터전을 마련하였고, 이를 기초로 2009년 이후 2회에 걸친 출소예정자 취업박람회, 2009년 말부터 시행된 수형자 작업장려금의 피해자를 위한 기부제도 등 교정의 사회화를 위한 새로운 길을 모색해 왔다. 이는 교정의 궁극적 목적이 수형자의 교정교화를 통한 성공적인 사회복귀라는 점에서 교정행정은 더 이상 담장 안에서 수형자의 심리적 개선노력에 머물러 있어서는 안 된다는 시대적 요청이기도 했다. ‘희망등대 프로젝트’가 가해자-피해자-지역사회의 연대를 이루기 위한 거시적 틀이라면, 수형자 작업 장려금의 피해자를 위한 기부제도는 수형자를 교정의 객체적 지위에서 주체적 지위로 변환시킨 상징적 보상의 기회가 되어 기부에 참여한 수형자들은 기부를 통해 책임감있는 사회구성원이라는 자존감 회복 등 긍정적 자기관념이 형성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출소예정자 취업박람회는 사회적 자원의 연대를 확인하고, 직업기회를 가져보지 못한 수형자들에게 직업관을 구체화시키면서 사회복귀 후 자신을 받아들일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이 조성되어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회복적 교정프로그램은 사회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수형자의 사회복귀에 자신감을 심어주었으며 교정기능의 사회화 등 교정의 새로운 발전모델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할 것이다. 향 후 교정행정은 이를 바탕으로 개방처우의 확대, 범죄인에 대한 국민의식의 개선, 보다 적극적인 교정프로그램을 통한 교정기능의 변화를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흑후추 기름(Black Pepper Oil: BPO)을 이용한 후각 자극이 연하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뇌졸중 후 연하장애를 가진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BPO 후각자극을 이용한 연하장애 치료 중재를 적용하 는 실험군과 증류수 후각자극을 이용한 연하장애 치료 중재를 적용하는 대조군으로 각각 10명씩 나누었다. 6주에 걸친 치료 중재 전·후의 연하기능을 비교하기 위해 기능적 연하장애 척도를 이용하였다. 결과 : BPO 후각자극을 이용한 연하장애 치료 후 유의한 연하기능의 향상을 보였고(p<.05), 항목별 변화는 삼킴반 사 지연, 후두상승과 후두덮개 폐쇄, 후두계곡의 잔여물, 인두 통과 시간 항목에서 유의한 연하기능의 향상을 보였 다(p<.05). 결론 : BPO 후각자극을 이용한 연하장애 치료가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장애 환자의 연하기능을 호전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BPO 후각자극을 이용한 연하장애 치료는 연하장애 치료의 새로운 방법으로 사용이 간단하 고 비용이 저렴하여 작업치료 임상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he viability of Staphylococcus aureus, a significant cause of food poisoning in Korea, on TSA plates was determined after sublethal heating treatments and NaCl treatments. In addition, recovery levels of sublethally injured cells on TSA plates contain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NaCl (TSAS) were investigated. The viability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degree of sublethal heating treatments, but increases in NaCl treatment concentrations from 0 to 6% had little effect on the viability. After being sublethally treated at 55oC for 30 min, bacterial populations were reduced by 7.91, 7.97 and 7.99 log CFU/mL on 2, 4 and 6% TSAS, respectively. After being sublethally treated at 60oC for 30 min, bacterial populations were reduced by 6.46, 6.47 and 6.48 log CFU/mL on 2, 4 and 6% TSAS, respectively. Decimal reduction times (D-value) decreased with increasing NaCl treatment concentrations after sublethal heating at 55 and 60oC. These data imply that the S. aureus cells sublethally injured by insufficient heating processes had a lower recovery rate with increasing NaCl concentrations in the recovery media.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change of productivity and the ability of error recovery according to aging and the assessment and analysis of them, we may take this research to contribute to make a design for the road-map to help set up the policy of employment for old generation. For this we have taken an experiment of the coordination tester for 100 person who are chosen randomly and analysed the collected data using SAS, which is one of widely used statistical analysis packag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 ˚ledcirc The result of regression between the working speed and the length of the correction of error shows independence. (pr〉0.2029). ˚ledcirc The regression between age and working speed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pr〈0.0001) ˚ledcirc The relation between age and the length of the correction of error is not significant. (pr〉0.9123).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readmill exercise of low-intensity and moderate- intensity on the functional recovery and histological change in spinal cord injury (SCI) rats. SCI was induced by the spinal cord impactor dropped after laminectomy.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the Group I (normal control), Group II (non-treatment after SCI induction), Group III (low-intensity treadmill exercise after SCI induction), Group IV (moderate-intensity treadmill exercise after SCI induction). After operation, rats were tested at modified Tarlov scale at 2 days with divided into 4 groups, and motor behavior test (BBB locomotor rating scale, Grid walk test) was examined at 3, 7, 14, and 21 days. For the observation of damage change and size of the organized surface in spinal cord, histopathological studies were performed at 21 days by H & E, and BDNF(brain-derived neutrophic factor) & Trk-b immunohistochemistry studies were performed at 1, 3, 7, 14, 21 days. According to the results, treadmill exercise can play a role in facilitating recovery of locomotion following spinal cord injury. Specially, moderate-intensity treadmill exercise after SCI induction was most improvement in functional recovery and histological change.
목적 : 만성기 편마비 환자에서 상지 운동기능 회복을 위한 기능적 전기자극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신경학적으로 더 이상의 회복을 기대할 수 없는 발병 후 12개월 이상이 경과된 만성기 편마비 환자 18명을 대상하였다. 편마비측에 4주 동안 전기자극 치료의 적용 없이 기능의 변화를 평가하였고, 이후 4주간은 전기자극 치료를 1회 20분, 1일 1회, 주 5일간 마비측 상지에 적용하여 기능의 변화, 동작을 분석하였다. 전기자극은 수지의 파악, 주관절의 굴곡, 주관절의 신전, 수지의 이완 등의 순서로 식사동작을 모방하여 작동되도록 조작하였다. 상지의 기능회복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수지 근력, 상지의 근력 측정과 Fugl-Meyer 운동기능 평가를 실시하였고, 인지 및 지각능력을 평가하였으며, 정량 분석을 위하여 삼차원 동작 분석기(CMS10 measuring system)를 이용하여 상지의 동작을 분석하였다. 결과 : 전기자극을 적용하기 전에서는 편마비측 수지 및 상지의 근력과 Fugl-Meyer 운동기능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기능적 전기자극을 적용한 경우에 치료 전에 비해 치료 후에 편마비측 견관절과 주관절의 굴곡, 완관절의 신전 근력이 증가하였으며, 수지 근력, Fugl-Meyer 운동기능 평가에서 유의한 호전이 관찰되었다(p<.05). 삼차원 동작 분석기를 이용한 상지 기능의 평가에서 회내-회외운동 동작에서 진폭과 진동수의 유의한 증가가 보였으며, 변이도의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검지 두드리기와 손바닥 두드리기 동작에서는 진동수의 유의한 증가와 변이도의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다(p<.05). 결론 : 발병 후 12개월 이상이 경과된 만성기 편마비 환자에서 마비측 상지에 대한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는 상지 운동기능의 호전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목적: 빛의 세기와 순목속도의 상관관계 및 빛의 세기에 따른 시력 회복시간의 차이 여부를 살펴보았다. 방법: 빛의 세기를 5단계로 구분하였으며 각 단계별로 순목속도를 측정하였고 일정한 시간동안 빛에 노출된 피검자들의 시력회복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피검사자 39명의 순목속도 평균은 빛의 세기별로 31.97±10.91~33.38±11.20 mm/s였고 빛의 세기와 순목속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r=0.006) 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 전과 착용 후의 순목속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351). 빛의 세기에 따른 시력회복시간을 분산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F=30.67, p
As the durability, reparability and maintainability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are emphasized, the early perfomance degradation of concrete structures becomes a serious problem. Moreover, defects in construction materials and constructions inconsistent with the design promote the degradation of perfomance. Some worst buildings have fallen into an irreparable state within a few years. In particular, carbonation in concrete structures has been handled as the most fundamental and critical factor related to the durability of reinforced concrete. As a result, there have been efforts to develop repair materials to control carbonation. As one of these efforts, alkali recovery agents have been presented as materials for increasing the re-alkalization and durability of carbonated concrete structures. However, in applying them in the field,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concrete recovered after an alkali recovery agent is applied has not been fully assessed. Therefore, to examine the recovered perfomance of concrete structures resulting from the application of an alkali recovery agent, the present study assessed the depth of carbonation and the degree of deterioration of 20 years or olde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and analyzed the quality of concrete after applying an alkali recovery agent to the structures. This study aimed at providing basic infomation for the application of alkali recovery agents in the fleld. In this experiment, alkali recovery agents of the lithium silicate line, which are most common in Korea, were applied and cured using concrete of the same size. The degree of recovery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ime in the initial curing stage, and based on the investigation, the maintenance perfomance of the alkali recovery agent was assessed according to the age of exposure to the open air. For these tasks, this experiment sampled concrete of different degrees of deterioration, applied alkali recovery agents to them, and observed re-alkalization and changes in the internal texture of the concrete.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손가락 폄근에 실시한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 치료가 편마비 환자의 손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20명의 뇌졸중 환자를 무작위로 EMG-stim군과 대조군에 각각 10 명씩 배정하였다. EMG-stim 군은 하루에 30분씩 2회, 주 5일, 10주 동안 (총 100회) 손가락 폄근에 EMG-stim 치료를 실시하였다. 반면, 대조군에게는 어떠한 치료도 실시하지 않았다. 손 기능을 검사하기 위하여 치료 전·후에 적분 EMG, 관절 운동 범위, 퍼듀 페그보드 검사를 EMG-stim군과 대조군 모두 실시하였다.
결과 : 치료 전·후 EMG-stim군은 적분 EMG, 관절 운동 범위, 퍼듀 페그보드 검사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5). 그러나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p>.05). 또한 집단 간 비교에서 EMG-stim 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모든 종속 변수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5).
결론 : 본 연구에서 장기간 동안 집중적으로 실시한 EMG-stim 치료는 뇌졸중 환자의 손기능 회복에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4가지의 간단한 침상 검사(Simple bedside tests)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회복예측에 있어서 진단적 가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34명의 급성기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입원 후 7, 14, 40, 80일 정기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상지회복을 위한 4개의 잠재적인 예측을 평가하는 측정 도구(Active Finger Extension: AFE, Shoulder
Abduction: SA, Shoulder Shrug: SS, Hand Movement Scale: HMS)와 3개의 상지 기능 결과를 평가하는 도구 (Box and Block Test: BBT, Nine Hole Peg Test: NHPT, Fugl-Meyer upper extremity: FugM)들을 사용하였다. 독립변수인 Simple bedside test(AFE, SS, SA, HMS; 입원 7일 후에 평가)가 상지의 기능적 예측 인자로서 종속변수(BBT, NHPT, FugM; 14일, 40일, 80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전진적 다중 선형 회귀 분석(Forward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결과 : Hand Movement Scale은 뇌졸중 후 상지 기능 회복에서 단, 중, 장기간에 강력한 초기 예측 변수로 나타났다.
결론 : Hand Movement Scale은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회복을 예측 할 수 있는 변수로서 신뢰 할만하다.
교통하중하의 포장구조체에 대한설계나 비선형해석에 있어 도로하부재료의 회복변형특성이 활용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관련연구가 매우 미진한 실정이다. 또한 매우 제한적인 범위의 자료만이 회복탄성계수를 추정하는데 활용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도로기초 지반재료인 보조기층과 노상토를 대상으로 비선형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반복재하 회복탄성계수 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응력조건을 고려한 회복탄성계수 예측모델과 적합한 응력의존 모델을 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유한요소 해석방법을 활용하여 포장체 및 도로하부 지반재료에 대한 거동을 파악하였다.
The history of correction depends heavily upon ‘how the people understand a crime and criminal offender’ in a society or country. The current criminal justice system overseas as well as domestically is fundamentally based on retribution or the justice model in its practice. Researches have pointed out that typical model has shown its limitations and problems including the lack of correctional effectiveness, astronomical amount of correctional expenses, overcrowding issues, and others. These issues and problems of the current justice system are the starting points to think differently about ways of dealing with criminal issues and the parties affected by crimes such as a crime victim, the offender, their families, and their community. Since the early 1970s, restorative justice has gained significant attention in North America, and now in many countries in Oceania, Europe, Africa, and Asia. In 2000, the United Nations Congress on Crime Prevention developed a draft proposal for UN Basic Principles on the Use of Restorative Justice Programs in Criminal Matters, which encourages the use of restorative justice by UN members. This international recognition is a huge step forward toward the international recognition of the new paradigm in criminal justice procedure. This article examines the background, developing process, and main programs, such as Victim Offender Mediation, Family Group Conferencing, and Circles. Some thoughts about advanced correctional welfare have also been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