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 arrange Korean ancient calendar with Solar calendar during Choseon Dynasty(A.D. 1392-1910). In this period, we have one representable history books and several books, and most of information for date are found from them, ChoseonWangjosillok(조선왕조실록) and Jeungbomunheonbigo(증보문헌비고), etc. In those books many astronomical data and calendar information data are contained, so we can make chronological tables. Most of the data are arranged based on those several books, and for doubtable data are identified from eclipse, historical events and lunar phase calculations etc. We find that arranged chronological tables during Choseon Dynasty are similar to that of China and somewhat different from that of Japan. In addition we summarize all misrecorded date data in ChoseonWangjosillok
석유화학 공업으로부터 생산되는 방향족 탄화수소 화합물질들은 여러 가지 산업과정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으나, 자연계에 오염될 때에는 쉽게 분해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환경 오염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방향족 탄화수소 물질의 미생물 분해는 산화반응에 의한 benzene고리의 개환으로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이 개환 작용을 갖는 미생물의 분리와 함께 그 분해 기능을 연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천 화학공업단지 폐수로부터 benzoate와 cate
In this research, we analyzed the activities of Japanese architectural offices in Korea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era, classifying them into two groups: first, Japanese architectural offices that had their bases in Korea, and second, Japanese architectural offices that had their bases in Japan. There were totally 98 Japanese architectural offices that had their bases in Korea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The number of those offices had increased rapidly since 1920s. Nakamura(the design of bank buildings), Tamada(the design of theaters), Otsumi(the design of Japanese style residential houses) can be regarded as the most remarkable Japanese architectural offices among them. We found that these offices already specialized in certain architectural planning fields, such as bank buildings, theaters and residential houses. It was also found that, during the Pacific War period, even privately-managed architectural offices were mobilized for the war by Japanese government, through designing munitions factories, etc. On the one hand, since some large Japanese corporations entered into Korea, many Japanese architectural offices, that had their bases in Japan, got into working in Korea and designed a number of buildings, with the exception of the architectural office of Vories, who was a Christian architect. Even though the place that the activities of these Japanese architectural offices were carried out was Korea, any factors of Korean architectural style couldn't be found In their works. This means that they just transplanted the Japanese modern architectural style in Korea.
Scb앉npflug 원리롤 적용하여 눈의 전반부를 측정 및 분석할 수 있는 Nid.ek EAS- 1000올 이용한 눈의 전반부 광학상수에 대한 측정값올 Orbscan Topography/ Pachymetry System 및 A - scan ultrasonography 측정값과 비교 분석하였다. 건강하 고 안질환이 없는 19-32세(명균 2 1.5세)의 27 명(남 13 명, 여 14명)의 54안을 선정하 였다. 모든 측정은 조절마비제와 산동제를 투여한 상태에서 실시하였다. 각막전후면 의 곡률반경, 수정체 전후면의 곡률반경 및 각막의 두께는 다른 기기의 측정값파 유사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방깊이는 Orbscan 측정값과 비슷하였으나, 초음파 측정값보다 더 크게 측정되었고, 수정체두께는 초옴파 측정값보다 더 낮게 측정되었다. 전방깊이와 수정체두께 측정값올 초옴파 측정값과 직접 비교할 수 있는 환산계수가 요구된다.
Improvement of cold-tolerance of Italian ryegrass(Lo1ium multiflorum L.) is an important breeding objectivefor enlargement of cultivation area in Korea. To develop the cold-tolerant variety of Italian ryegrass,cold-tolerant clones survived under - 13- - 1
10%C-5%Mo-5%W-10%Cr 및 10%C-5%Mo-5%W-10%V 백주철의 응고거동을 열분석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15Kg 용량의 고주파 유도옹해로에 선철, 고철, Fe-Mo, Fe-W, Fe-Cr, Fe-V 등을 장입시켜 용해시킨 후 슬래그를 제거시키고 1550˚C에서 Y블럭의 펩 주형에 주입하였다. 응고거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50g을 Y블럭에서 채취한 뒤 알루미나 도가니에 넣어 재용해시킨 후 10˚C/min의 냉각속도로 냉각시키면서 여섯 종류의 다른 온도에서 도중에 급냉시켜 응고조직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10%C-5%Mo-5%W-10%Cr 백주철의 경우 초정 오스테나이트, 오스테나이트와 M(sub)7C(sob)3의 공정, 오스테나이트와 M(sub)6C의 공정으로, 10%C-5%Mo-5%W-10%V 백주철의 경우 초정 MC, 오스테나이트와 MC의 공정, 오스테나이트와 M(sub)2C의 공정으로 각각 순차적으로 정출하였다. 정출하였다.
야생주 핵다각체병 바이러스의 낮은 병원성에 대해 살충제로서의 파밤나방 핵다각체병 바이러스(Spodoptera exigua nucleopolyhedrovirus: SeNPV)의 병원성 향상을 꾀함과 동시에 재조합 바이러스가 다각체 내에 매립됨으로써 살충제로의 적용시 야외에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p10 유전자의 프로모터를 이용한 새로운 발현벡터를 개발하기 위하여 국내분리주 SeNPV의 p10 유전자 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SeNPV p10 유전자의 프로모터와 구조유전자 부위를 포함한 545염기서열을 결정하여 기존에 보고된 SeNPV p10 유전자(Zuidema et al., 1993)와 비교한 결과 구조유전자 부위에서는 100%의 상동성을 보였으나 5` 및 3` flanking region의 4개의 염기서열에서 차이를 보였다. Southern hybridization에 의하여 SeNPV전체 genomic DNA상에서 p10 유전자는 Sph I 2.4Kb와 Cla I 4.0Kb 단편내에 각각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며, p10 유전자를 포함하는 이들 단편을 각각 클로닝하여 제한효소 지도를 작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