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SLURP 장기 수문모형을 이용하여 미래기후와 예측된 토지이용자료 및 식생의 활력도를 고려한 상태에서 하천유역의 수문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경안천 상류유역()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여 4개년(1999-2002) 동안의 일별 유출량 자료를 바탕으로 모형의 보정(1999-2000)과 검증(2001-2002)을 실시하였다. 모형의 보정 및 검정 결과 Nash-Sutcliffe 모형효율은 0.79에서 0.60의 범위로 는 0.77에서 0
본 연구에서는 금강의 생태계에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이 있는 주요 개발 및 관리 활동들을 기초로 하여 생태수 문학적인 하천평가 시나리오 구성을 위한 개념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생태수문학적 하천평가를 위하여 여러 지원 프로그램과 함께 유역물수지 모델인 KModSim과 하천생태분석 모델인 RAP을 이용한 분석방법을 개발하였다. 용담댐과 대청댐의 건설 및 운영에 따라 예측되는 유황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나리오에 따른 수문분석을 실시한 결과에 의하면,
현재의 방사선응용기술 및 원자력에너지는 국가와 민족을 불문하고 인류의 생활에 있어서 그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경우 일반인의 잘못된 인식으로 인해 국가적 사업의 시행이나 기술개 발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일반인의 올바른 인식변화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에 관한 전문적 지식이 거의없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방사선에 대한 교육 및 체험을 실시하고 그들의 인 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됨을 보였다.
Many urban people are attracted to the recreational opportunities and attractions of rural areas, such as beautiful scenery, lakes, mountains, forests, and resorts. Furthermore, rural development planning increasingly emphasizes the integration of resource extractive industries with non-market-based recreational and amenity values. This article outlines a method to estimate an amenity level of rural areas such as natural amenities index and shows the relation of the natural amenity and population growth. The results revealed that natural amenity classifying each region can be explained with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temperature-humidity, and sunshine duration time. In analysis with population, natural amenity does not exactly explain that but can be one of the important factor of population change.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현상은 지구 전체에 걸쳐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수문 변화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유역 유출의 민감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SWAT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대청댐유역에 적용하였다. 모형의 보정은 1982-1995년의 월평균 하천유량을 이용하였고 1996-2005년의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수문 변동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1988-2002
하천유량의 시간적 추세에 대한 이해는 자연환경이나 인간사회를 위한 하천관리 및 수자원계획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온, 강수, 유량 그리고 농업, 홍수방지활동, 저수지 및 유역간의 물이동 등과 같은 하천의 이용은 결과적으로 하천의 흐름에 반영되게 된다. 수자원 시설물 설계에서 받아들여지는 시계열 상에서 수문기상학적 특성이 불변하다는 가정은 기후변화나 하천교란에 의해 더 이상 타당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수문시계열에서 변화 특성을 검증하고
수문 모형의 발전이 거듭되면서, 최적 수자원의 관리를 위한 적정한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수자원관리에 있어서 토지이용 변화 및 기후 변화에 따른 수문학적 영향 평가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 영향들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우선 적용된 수문 모형의 강력한 검증이 요구된다. 그리고 수문모형의 적용 시 많은 지점에서 유량이 미 계측 되었거나, 측정된 자료마저 많은 오차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모형의 예측 값을 이용하여 수문분석이 이루어
Recently, barley is gaining renewed interest for food due to nutrition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and many breeder developed new barley varieties containing nutritional and functional components. Anthocyanin have been well characterized for its bioactive properties, anti-oxidant, anti-cancer, anti-proliferative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Some colored varieties with purple lemma that is a kind of anthocyanin were developed. We have to find out the harvesting time containing maximum anthocyanin content. In this study, we analyzed anthocyanin content at intervals of 4-6days after heading date. We analyzed Delphinidin-3-glucoside(Del3g), Cyanidin-3-glucoside (Cya3g), Pelargonidin-3-glucoside(Pel3g), Peonidin(Peo3g), Malvidin-3-glucoside(Mal3g) using the HPLC with Xterra C18 column and UV Detector. Anthocyanin was extracted with 80% MeOH solution containing 1% HCl for 24hr. Mobil phase composition of HPLC was 45% Acetonitrile solution with 10% Formic acid. Anthocyanin content was increased rapidly from 30day after heading date to 35day. At 35-37day, anthocyanin content was maximum. Thereafter, it was decreased rapidly to 40day.
본 연구에서는 PRMS, SLURP, SWAT 모형을 이용하여 유출모형에 따라 수자원의 기후변화 영향평가 결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이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각 모형을 안동댐유역에 적용하여 관측자료에 대한 모의능력을 비교하였다. 그 다음 기온과 강수 변화를 가정한 합성시나리오 상황에서 각 모형별 모의결과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세 모형은 관측기간에 대해서는 관측유량에 근접한 모의를 하였다. 그러나 강수와 기온의 변화를 고려하였을 경우에는 유출량
본 연구에서는 원형수직구 굴착에 따른 Ring Beam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현장계측 자료의 분석과 평가, 굴착심도 변화에 따른 Ring Beam의 응력 특성 등의 비교분석을 구조해석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Ring Beam의 거동은 현장계측 및 구조해석 결과에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굴착심도 변화에 따른 Ring Beam 거동은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구조해석에 의해 예측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운동행동변화를 예측하는 구성요인과 지각된 건강상태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2007년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당해연도 30세 이상의 성인 남녀 1400명을 편의표집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1247명을 분산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적용하였다. 분석된 결과에 의하면 첫째, 남자는 자극통제가 낮을수록 자신의 건강상태를 ‘아주 좋다’보다 ‘나쁘다’ 또는 ‘그저 그렇다’라고 지각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자는 자아재평가를 낮게 지각하고 자극통제가 낮을수록 스스로의 건강상태를 ‘나쁘다’와 ‘그저 그렇다’라고 지각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손실을 높게 지각하고 있는 남녀 모두 자신의 건강상태를 ‘아주 좋다’보다 ‘나쁘다’라고 지각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운동행동변화를 예측하는 구성요인과 지각된 건강상태 간의 관계와 관련하여 후속연구를 위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운동행동에 있어 신체활동의 선택 및 지속에 영향을 주는 기본적 심리욕구와 행동규제를 통하여 운동변화단계를 예측하여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B광역시에 소재한 중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 683명을 대상으로 운동변화단계, 기본적 심리욕구와 운동행동규제질문지를 통해 조사하였고, 일원변량분석과 판별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운동변화단계에 따라 기본적 심리욕구와 행동규제의 하위요인 모두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적 심리욕구 하위변인인 유능성, 관계성, 자율성과 행동규제의 하위변인인 부과적 규제, 확인적 규제, 내적 규제에서는 유지단계가 계획전단계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고, 행동규제의 하위 변인에서는 무동기와 외적규제에서는 계획전 단계가 유지단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운동행동에 대해 행동규제의 하위 변인 중 확인적 규제와 내적 규제만이 운동변화단계를 판별하는데 작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is to examine the literatures about human health effects due to the climate change and ozone depletion since 1990s. Over the past decade climate becomes an increasingly significant factor in world affairs because of its effect on food supplies, energy consumption, environmental quality and natural hazards etc. Simultaneously the scientific associations have had to reappraise the nature and scope of climatology, increasing political relevance, leading to a growth in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volving natural and socioeconomic scientists. The 2000s promise to continue this broadening of scope as the three-way interaction of human society, medical system and atmospheric system are further explored and evaluated. This paper reviews this trends, paying particular reference to climate-based environmental concerns and human health effects being debated.
총각김치의 신선도표시계 개발을 위하여 총각김치를 제조한 후 에서 저장하면서 총각김치의 발효 중 pH, 총산도, 총균수, 젖산균수, 환원당 측정 및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모든 저장 온도에서 pH는 약간 증가하다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까지 낮아졌고 저장 온도가 높을수록 감소속도가 빨랐다. 총산도는 에서 1일, 에서 5일, 에서 7일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균수와 젖산균수는 저장 온도 에서 4일, 에서 10일, 에서 30일
Poncirus trifoliata Rafinesque has been used as the immature fruit of the trifoliate orange tre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nge of Poncirus trifoliata Rafinesque depending on packing materials (vacuum packing, PP (polypropylene) packing, gunny sack packing), storage places and storage periods up to 12 months. The change of loss on drying content, content of poncirin were measured during the 12 months. As a result, the loss on drying content was decreased rapidly in gunny sack packing after storage of 12 months at room temperature. The content of poncirin was decreased generally according to storage conditions and its average loss percent was 38.8%.
이 연구는 노인의 운동실천 제약요인을 탐색하고 범이론적 모형(TTM)에 기초하여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제약요인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운동을 실천하고 있거나 실천하지 않는 60세 이상 103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 결과를 토대로 개발된 운동실천 제약요인 척도를 활용하여 309명의 자료를 수집하고 제약요인의 구조 및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노인들의 운동실천을 제약하는 6개요인(부상우려, 운동지식 부족, 건강상실과 질병, 운동동기 부족, 시간기회 부족, 경제여건)이 발견되었으며,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제약요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성과 연령 및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상호작용효과 및 주 효과가 동시에 나타나 복잡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성과 연령을 함께 고려할 때, 운동행동변화단계를 가장 잘 판별하는 제약요인은 건강상실과 질병요인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의 운동실천 제약요인의 타당성과 중재전략 개발의 방향성 및 후속연구의 과제와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체육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육상수업에 심리기술훈련을 접목하여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재미요인이나 재미저해요인에 변화가 있는지를 귀납적으로 분석하고, 체육 수업에서 발생하는 학생들의 내적동기를 양적으로 분석하여 수업 전․후 흥미-즐거움, 지각된 유능감, 노력-중요성 등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알아보았다. 학생들은 심리기술훈련을 통한 육상수업방식에서 가장 큰 재미요인을 찾는 것으로 보였으며, 육상수업 전․후 내적동기는 지각된 유능감 요인에서 t값이 6.64(p<.05)로 가장 큰 차이값을 보였고, 흥미-즐거움과 노력-중요성 요인에서도 t값이 6.46, 5.37(p<.05)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실기수업에서 심리기술훈련이 학생들의 재미와 내적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학교체육 전반에 심리기술훈련을 도입하거나, 대학 실기 강좌의 경우 체조나 수영과 같이 기초종목으로 육성해야 함에도 학생들의 재미를 이끌어내지 못하는 강좌에 적용시킴으로서 본 연구에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