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3

        162.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사과원에서 꿀벌 대신에 화분매개곤충으로 유망한 뿔가위벌류의 활용을 목적으로, 1996년부터 1998년까지 각각 전국 66, 52, 60개소 산지에 내경 6-8mm인 대나무대롱을 설치하여, 자생하고 있는 뿔가위벌류의 종별 분포와 채집량을 조사하였다. 머리뿔가위벌, 뿔가위벌, 붉은뿔가위벌, 외뿔가위벌, 꼬마민뿔가위벌의 5종이 채집되었으며, 각종별 점유율은 각기 39.9-51.7, 28.3-53.7, 5.5-19.1, 0.8-0.9, 0-0.1%였다. 매년 머리뿔가위벌과 뿔가위벌 2종이 전체 채집량의 80%내외였으며, 채집량이 많은 5개지역중 원주지역에서 머리뿔가위벌이 우점종이었고, 나머지 4개지역(안성, 괴산, 봉화, 구미)에서는 뿔가위벌이 우점종이었다. 암컷의 비율은 머리뿔가위벌 29-43, 뿔가위벌 10-12, 붉은뿔가위벌 22-43%로 종간에 차이가 있었다. 3종 뿔가위벌류는 채집지역의 해발을 200m 이하, 300-400m, 500m 이상으로 구분하였을 때, 해발이 높아짐에 따라서 채집수가 많았고, 3종 뿔가위벌류중 머리뿔가위벌의 점유율이 높은 경향이었다. 3년간 동일장소에서 연속 채집할 경우 머리뿔가위벌과 붉은뿔가위벌은 연도가 경과할수록 채집량이 점차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뿔가위벌은 반대로 크게 감소하였다. 3종 뿔가위벌류가 대나무 대롱에 영소하는 시기는 3월 하순-4월 중순에 시작하여 5월 하순-6월 중순에 종료하였으며, 영소 최성기는 4월 하순-5월 중순이었다. 한편. 뿔가위벌류의 경쟁종인 구멍벌은 5월 하순-6월 중순에 시작하여 6월 하순-7월 중순에 가장 많이 영소하였고, 감탕벌은 4월 하순5월 중순에 시작하여 7월 하순8월 중순에 가장 많이 영소하였다. 차이가 없었으며 EP2군에서는 오히려 낮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작약씨에는 체내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상태를 저하시키는 물질이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HDL-콜레스테롤 대사를 활성화시켜 분변으로의 콜레스테롤 배설을 증가시키는 것이 주요기전으로 판단된다. 이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 작약씨에 존재하는 monomer형태의 resveratrol이 일익을 담당하지만 추출물속에 함유된 resveratrol oligomer 및 비 resveratrol 화합물도 작용하였으리라고 사료되어 이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작약씨에 함유된 물질들의 지질대사 개선효과는 이미 보고된 항산화기능과 함께 동맥경화 예방에 유효할 것으로 기대되며 기능성 식품에 활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lopectin, which playa leading role in protein interaction, with the oxidation of starch.으며 엽산을 공급시킨 군에서는 에탄올 급여군과 pair-fed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볼 때 에탄올 급여시 혈장 내 콜레스테롤 함량은 엽산 섭취에 의해 증가되었으나 지질과산화물과 항산화 효소 및 항산화 영양소의 변화에 대하여 엽산결핍이 에탄올 섭취에 의해 변화된 항산화계의 손상을 더욱 가중시키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순환이 뇌대사 및 수술 후 신경학적 결과에 보다 유익한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3) to alleviate farmers' heat strain, clothing manufacturers must consider not only the improvement of textile
        4,000원
        164.
        200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능력 한우 공란우의 이용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반복 과배란처리가 수정란회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공란우의 선발은 DNA marker에 의한 고급육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공란우는 Folltropin-V와 PG를 병용 처리하여 과배란을 유도하였고, FSH 처리 6회째 PG를 처리하여 발정을 유도하였다. 발정유도된 공란우의 수정은 12시간 간격으로 3회, 1회당 2 straw식 인공수정을 실시하였다. 수정 후 7~8일째 비외과
        4,000원
        165.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품질육의 DNA marker가 규떵된 한우로부터 초음파유노 난포란의 연속적 채취를 통하여 능력이 우수한 한우 수정란온 대량생산하는 방법의 확립과 이를 한우농가에 응용하고자 초음파 난자채취기를 이용하여 등지방층두께, 일당증체량, 근내지방도 및배최장근 단면적에 연관된 DNA marker를 보유하고 있는 한우 5두로부터 개체및 난포수, 채취방법, 회수한 난포란의 등급 등을 조사하였다. 한우 5두의 개체별 난포수는 6, 10, 5, 4 및 11회
        4,000원
        167.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ccess the effects of collection method, room temperature at oocyte recovery and culture media on the oocyte quality, fertilization and cleavage rates of in vitro matured and fertilized oocytes of Korean native goats. Ovaries obtained from a slaughterhouse were transported to the laboratory and were divided into 2 groups. One group of ovaries was maintained at 30 to 35 of the room temperature and another group was remained at 20 to during oocyte recovery. The oocytes were recovered by follicle aspiration, slicing and aspiration+slicing methods from 3 groups of follicles according to size; <2 mm, 2 to 6 mm and >6 mm. The matured oocytes were inseminated with buck epididymal spermatozoa at a concentration of 3~3.510 m1 and fertilization was identified when 2 pronuclei were present in the cytoplasm. Although the recovery rate per ovary obtained by the combination of follicle aspiration + slicing(19.62.2) method was higher than aspiration(11.71.1) and slicing(14.81.8) collection, optimal recovery according to oocyte grades resulted form ovarian slicing compared to aspiration or combined methods(P<0.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mean number(2.51.8; 3.33.3; 2.92.4) and the proportion of favorable oocytes(Grades I, II and III) recovered(31.6%, 36.0%, 36.4%,) according to follicle size(<2 mm; 2 to 6 mm; >6 mm). Fertilization rate was 60.0%, 67.7%, 70.6% and 56.4% and the proportion of embryos/zygotes was 11.1%, 7.1%, 5.0% and 2.8% in 20~/BO, 30~35/BO, 20~/TALP and 30~35 /groups, respectively.
        4,000원
        168.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연열(태양열)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위해 1999년부터 2000년 까지 2년간 상면적이 100m2인 3동의 유리온실에 각기 다른 집열시스템을 설치하였다. 즉, 집열면적과 경사도가 각각 24m2, 50˚로서 현재 시판되고 있는 태양열 집열기(평판형, Solar hart Inc.)를 이용하는 방법, 직경과 송풍량이 각각 1m, 2.5m-3.m-2 .min로서 라디에이터가 부착된 2개의 유동팬을 천장부에 설치하고 천창을 밀폐한 후 온실상부의 열을 집열하는 방법, 온실의 중도리 전부를 물이 순환되는 각관 (75x45x3t, 1m 간격x10줄x온실길이 12m=120m)으로 설치하여 집열하는 방법 등으로 하였다. 각 동마다 지하에 26톤의 저수 능력을 갖는 D2000xW1500xL8600의 축열조를 설치한 후 중간을 막아 저온수조와 고온수조로 구분하였고, 수조 중간 1.5m 높이에 통수로를 내어 일정량의 물(약 15톤)이 지속적으로 순화될 수 있도록 하였다. 최저기온 9℃로 설정하여 1,000m2를 공간 난방할 경우 난방연료 절감율은 태양열 집열기, 유동팬 및 각관에서 각각 7%, 19%, 28%로 나타났다. 태양열 집열기를 이용하는 대부분의 농가에서는 40~50m2 정도의 집열면적을 갖는 집열기를 이용하고 있는데 이 경우 년간 난방연료 절감율은 14% 정도로서 경제성이 없으며, 유동팬도 집열효율에 비해 제작, 설치 및 유지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므로 경제성이 없다. 각관의 경우 관 자체의 자재비나 설치비에 추가부담이 적으면서 집열효율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관의 부식, 골조 표면적 증가에 의한 시설내 차광 증가, 중도리의 각형 구조로 인한 강도저하 등의 문제가 해결되면 집열 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69.
        1998.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04년 Herz에 의해 한반도에서 보고된 밤나방과 종들을 재정리하고, 수정한 학명의 종목록을 보고한다. 또한 그에 의해 오동정으로 발표되었던 종들에 대해 설명과 함께 재동정 결과를 정리하였으며, 일부 종의 모식표본 정리와 함께 종에 대한 Lectotype을 설정하였다. 두 종, striata Herz 와coreana Herz을 각각 Coryta grisea Leech와 Apopestes indica Moore의 synonym으로 정리하고, 몇몇 주요 종에 대해 성충으 사진과 수컷생식기를 도해하였다.
        5,200원
        172.
        199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superovulation treatments on ovarian responses, oocyte recovery rates and grades of collected oocytes using an ultrasound-guided transvaginal approach in Korean native cows. Superovulation in cows was induced with two different regimenes: 1) FSH-decreasing dose(n=8): the cows were received twice per day for three days of the total dose of 400 mg of FSH-p, 2) FSH-single dose(n=9): the cows were administrated a single dose of 400 mg of FSH-p in 25% PVP. The Observation of visible follicles and collection of oocytes were performed 12 hours following the last FSH in FSH-decreasing dose group and 48 hours after the FSH-single dose injection. All visible follicles larger than 6 mm were punctured and aspirated with a 6.5 MHz convex-array ultrasound transducer designed for intravaginal use. The mean number of visible follicles(> 6 mm) was significantly(P<0.05) higher in the FSH-decreasing dose treatment (22.811.9) and FSH-single dose treatment (20.612.0) groups than the non-treatment group(7.08). The mean recovery rate of oocytes was not significantly(P<0.05) different between the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but the mean number of collected oocytes was significantly(P<0.05) higher in the FSH-decreasing dose treatment( 12.611.5) and FSH-single dose treatment (11.813.6) groups than the non-treatment group(3.70.5). In conclusion, the FSH-single dose treatment at superovulation in cows for ultrasound-guided aspiration might increase the number of aspiratable follicles and the recovery rate of follicular oocytes as the FSH-decreasing dose treatment.
        4,000원
        173.
        199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behavior of the estrus cycle in sows shortened uterine horns and to see whether the embryos could be recovered nonsurgically. The uteri of sows(n=4) were surgically shortened. It took about 3 hours to surgically remove the middle section of both uterine horns. The lengths of the shortened uterine horns were 18.7 to 29.5cm. After treatment, two sows exhibited natural estrus and the intevals from surgery to estrus were 8 days and 15 days, respectively. But the sows were not successful on synchronization and superovulation with PMSG and PGF. In the resurgery for confirmative examination, the sows had 6 and 7 corpus lutelin in ovaries, respectively. One sow had a small adhesion between the infundibulum and ovary, and the other sow had unilateral uterine obstruction at the sutured position and purulent materials in the uterus.
        4,000원
        174.
        199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북지방일대(慶北地方一帶)에 자생(自生)하는 산야초(山野草) 중(中) 목초자원(牧草資源)으로서의 활용가치(活用價値)가 높은 자원(資源)을 수집(蒐集)하였다. 수집(蒐集)된 목초자원(牧草資源)은 본(本) 대학(大學) 포장(圃場)에 재배(栽培)하여 각각의 특성(特性)을 조사(調査), 기록(記錄)하였다. 수집자원(蒐集資源)의 종자(種子)는 정선(精選), 선별(選別) 한 후(後), 천립중(千粒重)을 측정(測定)하고 포장(包裝)하여 냉장고(冷藏庫)에 보관(保管)하였다. 수집(蒐集) 및 특성조사(特性調査)된 수집자원(蒐集資源)은 다음과 같다.
        4,000원
        175.
        199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잡초종 54종을 수집 보관중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발아력을 검정한 결과 치상후 15일째에 31종이 발아력을 보이고 그 가운데 50% 이상의 발아력을 보인것은 14종에 불과하여 대부분의 잡초종은 휴면의 정도에는 차이가 있지만 어떤 형태로든지 휴면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구명되었다. 2. 우리나라에 발생하는 피속 잡초종은 외형적으로 여러종이 발생하는것 같았으나 2종만이 존재하는데 한 종은 강피이고 다른 종은 돌피와 변종으로 물피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3. 종자의 단백질 패턴 검정으로 종자 형태학적으로 분류한 종들을 재점검해 본 결과 강피는 돌피와 물피와는 달리 B zone에 주요 band가 있어서 쉽게 구분되었으나 돌피와 물피의 단백질 패턴이 유사하여 구분이 쉽지 않았다.
        4,000원
        178.
        198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두 자주빛무늬병에 대한 저항성인자원 선발을 위하여 한국에너지연구소, 방사선농학연색실이서 보존하고 있는 수집재내종을 자연감염율과 인공접종법에 의한 저항성검정을 실시하였다. 공시한 수집재래종 467 계통중 는 이하의 감염율을, 약 는 이상의 감염율을 보였으며 이 자연감염율은 결협초기의 기상조건과 밀접한 상관을 보였다. 종자접종에 의한 자반의 형성은 자연감염율과 정의 상관을 보여 일차적인 저항성 검정방법으로서 효과적이었으며 만숙대두계통은 병해도피에 의한 저항성을 보였다. 그리고 갈색무늬병균의 병원성과 관계되는 종자의 자반정도는 배양기의 착색정도와 높은 상관을 보였다.
        3,000원
        179.
        197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본 실험은 몇가지 우화기구를 사용하여 기구형에 따른 우화상내 온도변화가 솔잎혹파리의 우화소장에 미치는 영향 및 유충의 월동기간중의 온도변화와 우화소장간의 관계를 알아 보기 위하여 각처리별 우화소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우화기구별 상내 최고온도는 현저한 차리를 나타내어 대조구에 비하여 Vinyl형은 월평균 가 높았고 다른 처리구에 있어서도 가 높았는데 다른 처리구에 있어서도 가 높았는데 표준형의 순이었다. 2) 처리별유충의 월동기간중의 최저온도분포는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Vinyl형 처리구에서는 우화최성일이 5월 15로 대조구에 비하여 20일 앞당겨했고 표준형구와 Cage-50구도 14일 빨라졌다. 4) Funnel형 처리구에 있어서는 최고온도 및 적산온도의 분포가 대조구에 비하여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우화최성일은 6일이 지연되었다. 5) 유충의 월동기간중의 온도처리효과는 12월중순과 3월중순의 최고온도의 상승이 우화최성일을 앞당기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4,000원
        180.
        197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솔잎혹파리의 성충우화수 조사기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경기도 안양시 안양리 산 160번지와 수원시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에서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솔잎혹파리의 우화기간은 5월 중순부터 8월중순이었고 우화최성기는 기구별로 차이가 있어 표준형은 5월 29일-6월 2일, Funnel-A형은 6월 3일-7일, Suction형 Trap은 6월 8일-12일간이었다. 2. 우화율은 실내실험구의 Funnel-A형에서 였다. 3. Suction형 Trap은 밀도가 낮은 우화초기와 말기에 보호효과가 현저히 우수하였다. 4. 기존 표준우화상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Funnel-A형과 Suction형 trap의 개발이 바람직하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