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해양 오염이 심각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해양 오염을 실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수질평가 지수(Water Quality Index, WQI)를 마련하여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수질평가지수는 다소 복잡한 계산과정으로 인한 정보의 손실, 기준값 변동, 실무자의 계산오류, 통계적 오류 등의 불확실성(uncertainty)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ㆍ외에서 인공지능 기법을 활용하여 수질평가지수를 예측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환경측정망 자료(2000 ~ 2020년)를 활용하여 우리나 라 전 해역 즉, 5개의 생태구에 대한 WQI를 추정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인공지능기법을 도출하기 위해 총 6가지의 기법(RF, XGBoost, KNN, Ext, SVM, LR)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 Random Forest 기법이 다른 기법에 비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Random Forest 기법의 WQI 점수 예측값과 실제값의 잔차 분석 결과, 모든 생태구에서 시간적 및 공간적 예측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Random Forest 기법은 높은 정확도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전해역에 대한 WQI를 예측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global demand for raw lithium materials is rapidly increasing, accompanied by the demand for lithiumion batteries for next-generation mobility. The batch-type method, which selectively separates and concentrates lithium from seawater rich in reserves, could be an alternative to mining, which is limited owing to low extraction rates. Therefore, research on selectively separating and concentrating lithium using an electrodialysis technique, which is reported to have a recovery rate 100 times faster than the conventional methods, is actively being conducted. In this study, a lithium ion selective membrane is prepared using lithium lanthanum titanate, an oxide-based solid electrolyte material, to extract lithium from seawater, and a large-area membrane manufacturing process is conducted to extract a large amount of lithium per unit time. Through the developed manufacturing process, a large-area membrane with a diameter of approximately 20 mm and relative density of 96% or more is manufactured. The lithium extraction behavior from seawater is predicted by measuring the ionic conductivity of the membrane through electrochemical analysis.
고추역병균(Phytophthora capsici)은 고추 생육 전반에 걸쳐 병을 발생시켜 농가 소득에 큰 손실을 일으키고 있다. 고추 역병균 저항성은 양적 형질 유전자좌(Quantitative Trait Loci, QTL)에 의해 조절되며 주동 유전자는 고추의 5번 염색체에 존재한다고 보고 되었지만, 후보 유전자의 선발 및 저항성 유전자 규명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이다. 특히, 고추는 형질전환이 어려운 작물로써 병원균과의 상호작용 연구를 통한 저항성 유전자 동정에 제한이 많다. 반면 고추와 같은 가지과 작물인 담배(Nicotiana benthamiana)는 병원균 상호작용 모델로 알려져 형질전환을 통해 저항성 유전자 규명에 활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고추 역병 저항성 기작 규명을 위한 기초 연구로써, 식물 저항성 유사 유전자(Resistance Gene Analog, RGA)를 선발하고, 이들 유전자들에 대한 담배 형질전환 기법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고추 5번 염색체에 존재하는 고추 역병 저항성 분자표지들을 분석하여 RGA 후보 유전자인 CaNBARC105, CaNBARC112 유전자를 동정하였다. 이들 유전자들에 대해 Agrobacterium tumefaciens를 매개체로 하여 고추 RGA가 삽입된 담배 형질전환체를 개발하였다. 형질전환 여부는 유전자 특이적인 서열을 이용한 genomic PCR과 RT-PCR 검증을 통해 이들 형질전환 된 담배들의 생육 및 발달에 영향이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고추 병 저항성 후보 유전자들이 삽입된 담배 형질전환체는 고추 역병 저항성 유전자 규명 및 기작 연구에 기반이 될 것이다.
지구의 기후 변화를 유도하고 제어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해양의 해류이다. 황해는 수심이 동해 에 비해 매우 얕고, 다양한 바람과 조류, 강물의 유입, 동중국해에서의 해수 유입 등 외력의 영향으로 해수의 순환과 해류가 상당히 복잡하다. 황해난류는 겨울철 황해의 대표적인 해류로서 겨울철 황해와 동중국해 바람 변동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황해의 수온과 염분 분포에 큰 영향을 주어서 중등학교 교과서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기반 중등학교 과학 및 지구과학 교과서의 황해난류와 관련된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해류의 시 간 변동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중등학교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황해난류가 우리나라 서해안으로 연중 북상하고 있으며 일반적인 난류와 같이 여름철에 강하다는 잘못된 지 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해난류는 해류의 세기가 강한 계절변동성을 가지는 북한한류와 달리 해류 자체가 연중 항시 존재하지 않으며 겨울철에만 발생하는 해류이다. 이러한 교사들의 교과내용 지식에 대한 오류는 북한한류가 겨울철에 강하다는 오개념을 가지게 된 연유와 유사한 배경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황해난류에 대한 교과서 내용의 오류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학생들과 교사들의 데이터 리터러시 함양을 위하여 탐구활동에서 활 용할 수 있는 황해난류에 대한 수업 자료를 개발하였다. 황해 해수면 온도를 가시화할 수 있는 GUI 프로그램을 소개하 였고, WOA (World Ocean Atlas) 2018 해양 실측 수온 및 염분자료와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생성한 해양 수치모델 재분 석자료를 활용하여 수온과 염분의 공간 분포를 도시하는 자료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해양 자료를 활용한 데이 터 시각화과정은 교사들의 오개념을 개선하고, 나아가 학생들과 교사들의 해양 리터러시뿐만 아니라 데이터 리터러시도 제고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고성능 콘크리트(HPC) 압축강도는 추가적인 시멘트질 재료의 사용으로 인해 예측하기 어렵고, 개선된 예측 모델의 개발이 필수적 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배깅과 스태킹을 결합한 앙상블 기법을 사용하여 HPC 압축강도 예측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논 문의 핵심적 기여는 기존 앙상블 기법인 배깅과 스태킹을 통합하여 새로운 앙상블 기법을 제시하고, 단일 기계학습 모델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모델 예측 성능을 높이고자 한다. 단일 기계학습법으로 비선형 회귀분석, 서포트 벡터 머신, 인공신경망, 가우시안 프로세스 회귀를 사용하고, 앙상블 기법으로 배깅, 스태킹을 이용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된 모델이 단일 기계학습 모델, 배깅 및 스태킹 모델보다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이는 대표적인 4가지 성능 지표 비교를 통해 확인하였고, 제안된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PURPOSES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ramework for predicting the demand and distribution of pedestrians when an open space zone is built at the top through the undergroundization of the Gyeongin Expressway.
METHODS : After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through a survey on the number of people, students, surrounding traffic volume, and future socioeconomic indicators, the rate of change in the floating population and the rate of increase and decrease in the traffic volume of pedestrians were calculated to evaluate the effect. In addition, microscopic analysis results were derived by setting a pedestrian analysis zone (PAZ). A walking environment index (WEI) was developed that can quantitatively evaluate the degree of walking activation by indicating walking-related surrounding environmental factors. Based on this, a walking demand prediction model was developed. In addition, the results were validated by calculating the walking volume through a micro-simulation in/around the open space zone.
RESULTS : The number of crosswalks and schools, transit development indicators, and pedestrian volume increased as the WEI value increased. However, the log form of the distance was observed to be a factor that reduced walking.
CONCLUSIONS : This study attempted to reliably predict the demand for walking on the Gyeongin Expressway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induced walking and the amount of passing walking. The pedestrian demand can be boosted by improving walking environments.
본 연구는 최근 전 세계적인 도시연합체를 통한 지역발전 전략은 획일 적이고 경직된 일방적 발전 형태가 아닌 다양한 양상의 발전을 추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하나의 거대한 도시에 대한 집중이나 인위적인 하향식 정치적 결합이 아닌 기능적으로 연계된 도시연합체 형성이 도시연합의 발전을 위한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석탄 철 강 지역으로 일자리를 찾아 모여든 루르 지역이 초기 독일의 국가 성장 에 일조했으나 실업과 지역 산업의 사양 산업화로 인한 쇠퇴를 경험했던 독일의 도시 지역연합 메트로폴 루르가 위기를 극복하고 새롭게 산업전 환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게 된 요인을 도시발전의 정치적 요인인 거버넌 스를 통해 분석했다. 이를 통해 한국적인 광역 단위의 메가시티 형성 전 략은 단순히 특정 도시들의 물리적 결합을 통한 양적 발전이 아닌 다양 한 요인을 고려한 기능적 결합을 통한 도시 지역연합으로의 성장 가능성 을 탐색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수도권 중심의 국가발전 전략이 한계에 다다른 가운데, 주요국들은 지 방을 발전시키기 위한 다양한 전략이 제시되어 왔다. 2000년대 이후 유 럽, 일본 등 주요국들은 광역경제권 형성을 통한 지방 대도시권 발전방 향의 전략을 채택해 온 가운데, 최근 한국에서도 부울경 지역연합이 출 범한 경험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프랑스의 지방분권 개혁 및 문제점, 과 제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특히 본고에서는 프랑스의 광역경제권 형성 과 정을 통해 부·울·경 메가시티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1970년대 중앙집권적 행정체제로는 경제발전과 지역협력 대응에의 한계 가 있음을 직시한 프랑스는 지방분권을 추진해 왔다. 지방분권 추진에 많은 어려움을 겪어 왔던 프랑스 정부는 2012년 이후 최근까지 지방분 권의 효율성과 민주주의의 조화를 위한 분권발전 정책을 제시해 왔다. 프랑스는 지방분권 추진 과정에서 지역 광역화와 생활권의 이격에서 발 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도시지역계획(PLU), 코뮌 토지이용구 분도(CC), 국토의 일관성 계획(SCOT) 등을 제시하였다.
BC 480년 테르모필레 전투는 페르시아의 그리스 침공 당시 벌어진 역 사상 가장 치열한 전투 중 하나로, 영화 ‘300’은 이 전투를 소재로 하고 있다. 스파르타의 레오니다스 왕과 300용사는 3일 동안 1,000배나 더 강 한 페르시아군 진군을 3일 동안 지연시켜 그리스 연합군이 전쟁을 준비 할 시간을 벌어 살라미스 해전을 승리로 이끌게 하였다. 테르모필레 전 투의 유·무형전력을 비교평가해보면 먼저 유형전력은 면에서 ①다수의 페르시아군과 소수 정예의 스파르타군, ②호플리테스의 호플론 방패와 장창의 위력 등이 돋보였고, 무형전력 면에서는 그리스 연합군(특히 스파 르타)의 ①300용사의 강인한 정신력과 숙달된 기량, ②개인·가족·조국의 자유·독립을 위한 투혼, ③지형지물을 활용한 성공적 지연작전 등이 우세 요인으로 작용했다. 테르모필레 전투의 함의 및 교훈으로는 ①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원형적 전투, ②살라미스 해전준비·기선제압을 위한 전초전, ③군사혁신 및 정보전의 중요성을 일깨워준 전투 등으로 요약해 볼 수 있다. 2,500년이 지난 전투지만 오늘날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과 교훈을 주고 있다.
중국과 한국의 지리적 위치는 필연적으로 그들 사이의 지속적인 교류 와 문화적 상호작용을 결정한다. 한류가 세계적으로 두각을 나타내기 시 작한 이후 중국은 한류에 휩쓸려 음악부터 TV, 영화까지 중국에 깊은 영향을 끼쳤다. 한국 영화는 한류의 일환이지만 다른 나라에서는 한국 음악과 드라마만큼 영향력이 크지 않다. 중국에도 마찬가지다.하지만 많 은 사람들이 한국 음악과 드라마에 열광하는 상황에서 중국 내 일부 팬 들은 한국 영화에 열광하고 있다. 2001년 중국에서 첫 한국 영화가 개봉 된 이후, 양국이 함께 영화를 제작해 왔으며, 점점 더 많은 배우들이 한 중 합작 영화에 참여하고 있다. 양국 배우들에게 더 많은 교류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그러나 2017년 사드 배치로 중국과 한국의 관계가 경색 되면서 중국과 한국의 교류는 거의 단절되었다. 2021년 말에는 6년 만에 한국 영화가 중국에서 다시 상영되지만, 환경적인 영향과 중국 관객들의 심리적인 변화 때문에 전과 같은 각광을 받지 못 했다. 그러나 어떻게 하면 한국영화가 중국에서 다시 인기 끌 수 있을 것인가 하는 것은 다시 고찰과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precision automatic irrigation system in a nursery by considering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manual and the conventional automatic irrigation system. The amount of irrigated water between the conventional automatic irrigation system and manual irrigation was 28.7 ± 4.4 g and 14.2 ± 4.3 g, respectively, an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was less than 30%. However,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conventional automatic irrigation system of 15%, was higher than that of manual irrigation of 30%. The irrigation test using the developed uniform irrigation system attached with the nozzle of a spray angle 80° and most highest uniformity was at height 600 mm.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irrigation uniformity at the center part was within 20%, but irrigation amount of the edge part was lower 50% and over compared to the center part. As a result of a tomato grafting seedling cultivation test using the developed uniform irrigation system, the average plant height of seedling at the edge part was 28 mm but plant height at the center part was higher as 72 mm.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apply additional irrigation device at the edge part. The irrigation uniformity of the edge concentrated irrigation system was investigated that the irrigation amount of the edge part was irrigated by more than 50% compared with the center part,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irrigation amount at the center part was less than 30%. As a result of a cucumber grafting seedling cultivation test using the edge concentrated irrigation system, the plant height of seedlings in the edge and central part of cultivation bed were 24% and 26%, respectively, so irrigation uniformity was higher then the uniform irrigation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e uniformity of seedlings,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height of boom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seedling by installing a distance sensor in the overhead watering and boom irrigation system.
Understanding the light environment in greenhouse cultivation and the light utilization characteristics of crops is important in the study of photosynthesis and transpiration. Also, as the plant grows, the form of light utilization chang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light extinction coefficient model reflecting the plant growth. To measure the extinction coefficient, five pyranometers were installed vertically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lant, and the light intensity by height was collected every second during the entire growing season. According to each growth stage in the early, middle, and late stag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op and bottom light intensity tended to increase to 69%, 72%, and 81%. When leaf area index and plant height increased, the extinction coefficient decreased, and it showed an exponential decay relationship. Three-dimensional model reflecting the two growth indexes, the paraboloid had the lowest RMSE of 1.340 and the highest regression constant of 0.968.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predict the more precise light extinction coefficient during the growing period of plants. Furthermore, it is judged that this can be utilized for predicting and analyzing photosynthesis and transpiration according to the plant heigh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traditional Chinese fretwork on the ‘Faux Chenille’ textile work method in a way of enhancing the decorative features of patterns and developing the fashion design. As for the method, it works on the historic background and advancement of the fretwork and it refers to the bibliographies pertinent to the traditional Chinese geometric pattern.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pure cotton and 100% rayon are mixed to make it feasible to produce the texture for the material to be tender and enhanced, and in the process of washing and drying the Faux Chenille textile. The Faux Chenille textile is an important material that is required to select materials with great absorption capability as the most effective material to re-visualize the lines and patterns by sustaining the diagonal lines. Second, the fretwork is designed to process the basic formation for 90° angle with the sense of unlimited extensive line and changes with straight line. It has been confirmed that, if the angle that controls the Faux Chenille textile and the tailoring interval are well aligned, the expression of traditional geometric pattern would be effective and it may be expressed in contemporary style. Third, through the fashion design application by utilizing the Faux Chenille textile of the fretwork, it is confirmed that the contemporary application of the traditional culture could be expressed uniquely and creatively while it is affirmed that the western technique and Asian culture can be blended in harmony.
In 1951, Colin Russell Austin and Min Chueh Chang identified “capacitation”, a special process involving ejaculated spermatozoa in the female reproductive tract. Capacitation is a phenomenon that occurs in vivo , but almost all knowledge of capacitation has been obtained from in vitro studies. Therefore, numerous trials have been performed to establish in vitro capacitation methods for various studies on reproduction. Although a series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develop an optimal protocol for inducing capacitation, most have focused on identifying the appropriate chemical compounds to induce the capacitation of boar spermatozoa in vitro.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optimal incubation time for inducing capacitation in vitro. Duroc semen was incubated for various periods (60, 90, and 120 min) to induce capacitation. Sperm function (sperm motility, motion kinematic parameters, and capacitation status) was evalu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otal sperm motility, rapid sperm motility, progressive sperm motility, curvilinear velocity, and average path velocity significantly decreased in a time-dependent manner. However, the capacitation statu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n incubation time of more than 60 min suppresses sperm motility and motion kinematic parameters. Therefore, we suggest that 60 min may be the best incubation time to induce capacitation without negative effects on sperm motility and motion kinematics in boar spermatozoa in vitro.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and F-actin cytoskeleton dynamics play important roles in the survival rate of blastocysts after the vitrifiedwarming process. However, the protective effects of Mito-TEMPO against cryo-injury and viability through F-actin aggregation and mitochondrial-specific ROS production in vitrificated-warmed bovine embryos have not been investigated. The aim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1) determine the effects of Mito-TEMPO on embryonic developmental competence and quality by F-actin stabilization during in vitro culturing (IVC), and (2) confirm the effects of Mito-TEMPO through F-actin structure on the cryotolerance of vitrification-warming in Mito-TEMPO exposed in vitro production (IVP) of bovine blastocysts. Bovine zygotes were cultured with 0.1 μM Mito-TEMPO treatment for 2 days of IVC. Mito-TEMPO (0.1 μM) exposed bovine embryos slightly improved in blastocyst developmental rates compared to the non-treated group. Moreover, the viability of vitrified-warmed blastocysts from Mito-TEMPO treated embryos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5, non-treated group: 66.7 ± 3.2% vs Mito-TEMPO treated group: 79.2 ± 5.9%; re-expanded at 24 hours). Mito-TEMPO exposed embryos strengthened the F-actin structure and arrangement in the blastocyst after vitrification-warming. Furthermore, the addition of Mito-TEMPO into the IVC medium enhanced embryonic survival and quality through F-actin stabilization after the vitrification-warming procedure. Overall, our results suggest that supplementing the culture with 0.1 μM Mito- TEMPO improves the embryonic quality and cryo-survival of IVP bovine blastocysts.
Wild birds, especially aquatic birds, are the natural reservoir of avian influenza virus (AIV), and many kinds of water body can be contaminated with feces of these birds. Seasonally, AIVs can be dissolved in the environmental water from the feces of the infected birds, and this water can be a target for viral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In this study, we employed and tested three different filters for concentrating AIV, and it was shown that high concentration factor in terms of viral density could be achieved with viral samples diluted with natural water. Wild bird fecal samples containing low pathogenicity H5 AIVs were successfully concentrated with the adsorption and elution method using mixed cellulose esters membrane; the recovery rate of virus was 35.5 % and the concentration factor was about 50 on average. For the larger volume of water sample, we proved that an inline disposable filter with high surface area, 300 cm2, has a comparable concentration factor to the adsorption and elution method and the filter could be used in the field conveniently by being plugged into peristaltic pump. These validated methods for water sampling may be used as a supplementary for virological surveillance on wild migratory birds or during the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on the environment near affected premises by AIV.
논문의 목적은 예이츠의 초기 글에서 예이츠의 문학에 대한 생각이 어떻게 발전되어 가고 있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그 중에서도 글에서는 특히 사무엘 퍼거슨 및 클래런스 맨건과 같은 아일랜드 작가, 그리고 보다 전반적인 아일랜드 문학에 대한 바람과 우려에 대해 예이츠가 어떻게 논의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그러한 점에서, 이 논문에서는 선배 작가에 대한 예이츠의 글, 그리고 그가 아일랜드의 문학적 어젠다를 수립해 가는 과정에서 겪었던 문제에 대해 이야기 하는 과정에서 훗날 예이츠 자신의 시와 드라마가 나아갈 방향에 대한 단초를 제공하는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