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 the leading figure of the fifth generation of directors, Chen Kaige is a director with a unique personal style. Chen Kaige has always taken a high level of cultural consciousness as the basis of his creation. In his film works, there are strong personal aesthetics and expression of personal thoughts. The film Legend of The Demon Cat is another attempt and breakthrough under the background of cultural commercialization and film industrialization.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unique aesthetic thinking and profound cultural reflection behind the creation of Chen Kaige's series of films by analyzing the creative technique, narrative mode, aesthetic value, aesthetic style and cultural context of the film “Legend of the Demon Cat.”
요즘 중한 양국 문화 영역의 합작이 심화하고 있다. '원소스 멀티테리토리'모식으로 제작한 중한 영화들을 관객의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용하형경>과 <극한직업>이 개봉하면서 양극화 관영 평가와 현격 한 흥행 차이가 생겼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두 영화를 중심으로 내러티브, 캐릭터로서 현지화 원소의 운용을 대비하고 분석한다. 같은 스토리는 어떻게 다른 나라의 현지화 사회 문화를 표현할 수 있는 것에 대해 살펴보고 더 우수한 중국 영화를 만들기 위해 현지화 원소의 활용 방법을 총결해야 한다.
As the advocator of new ideas and thinking of the Internet, teenagers occupy an absolute proportion in the animation loving group. This paper studies the theme creation and design methods of short poetic animations, and strive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aesthetic experience and mental development of Chinese teenagers. The so-called poetic animation short film creation is the animation art form that takes the traditional poetry culture as the content carrier and uses the poetic image creation vocabulary to present. Through the aesthetic audio-visual pictures, teenagers can have a strong poetic and picturesque feeling, gain recognition among teenagers with the help of new media's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and thus arouse teenagers' recognition and pride of local folk customs and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t the same time, it explores the feasibility of applying the creation techniques of poetic characteristics to animation communication.
As an important carrier of cultural output, film and television can clearly show a country's ideology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ver the years, south Korean films have been play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role in the world film and television due to their unique cultural background and ideological connotation.Inspired by culture and relying on film as a form of cultural communication, it has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world. Based on the Confucian culture in the application of the south Korean film and television, the research systematically analyzes the theme and core values of Korean film works, and interprets the successful experience of Korean film works under the influence of Confucian culture. The author summarizes the problems in the expression of the core values of society in Chinese films and comes up with straegies to promote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the film and television industry and the core values of society.
In recent years, China has produced many excellent animation films. In this paper, we will explore the animation films: Monkey King: Hero Is Back, Big Fish and Begonia and Da Hu Fa.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se films, we will be able to discover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Specifically in the aspect of animation script creation, the director pursued a stylized film creation and make a bold adaptation to the original stories. Regarding the animated character creation, the main characters are highly personalized and humanized. There are also many breakthroughs in the audio-visual language of animation. Domestic animation is no longer for children but also a viable entertainment option for adults.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ckaging material on the growth of rootstock of Liriope platyphylla.
Methods and Result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wo types of packaging material, 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and functional film on the growth of the tubers of L. platyphylla, at 5℃. During the 16-weeks of storage period, the ratio of loss and decay of the tubers was examined at intervals of 4, 8, and 16 weeks to detect the quality of the plant. After 16 weeks of storage, the treated tubers were own. Subsequently, plant height and the number of leaves were recorded. The results revealed that functional film at 5℃ was the ideal material for the storage of L. platyphylla tubers. The rate of loss was the highest (57.42%) with a onion net and the lowest (22.12%) with a functional film. Similarly, the rate of tuber decay was highest (8.20%) using onion net and the least (4.60%) when the functional film was used.
Conclusions: Thus, the use of the functional film proved to be the most effective in the storage of L. platyphylla tubers when compared with the LDPE.
본 연구에서는 용사기법에 의해 콘크리트 표면에 금속피막을 형성하는 새로운 마감 의장기법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콘크리 트의 함수율 변화에 따른 금속피막의 부착성능에 대하여 실험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선재의 색은 용사 후에도 변하지 않는 것을 알 있었고, 콘크리트 부착강도 기준인 2.5 MPa를 확보하기 위한 하지 콘크리트의 함수율을 10% 이하로 관리하면 금속피막의 부착강도눈 확보되 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콘크리트와 금속피막의 부착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표면강화제에 의한 콘크리트 표면강화와 함께 금속피막 을 봉공처리제로 봉공하는 것이 매우 유효한 것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poly(3-hydroxybutyrate-co-3-hydroxyvalerate) (PHBV)/graphene oxide (GO) nanocomposite films containing various content of GO were prepared using solution casting method. The effect of GO content on Young’s modulus and dispersion of GO in PHBV matrix was investigated. Also, the thermomechanical properties, oxygen transmission rates and hydrolytic degradation of PHBV/GO nanocomposite films were studied. The addition of GO into PHBV improves the Young’s modulus and decreases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The improvement can be mainly attributed to good dispersion of GO and interfacial interactions between PHBV and GO. Furthermore, PHBV/GO nanocomposite films show good oxygen barrier properties. PHBV/GO nanocomposites show lower hydrolytic degradation rates with increasing content of GO.
산업발달로 인한 화석 연료의 급격한 사용으로 기후변화와 연료고갈 문제가 대두되고 있어 폐기물자원화 및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선행되어온 연구들은 바이오매스나 플라스틱의 대체연료 가능성 연구들로 국한되어 진행되었다. 폐플라스틱 필름의 경우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현재 발생되는 폐플라스틱 필름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많은 폐플라스틱 필름의 발생량에 비해 절반정도를 웃도는 재활용처리 비율은 다른 폐플라스틱 필름 처리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열분해를 이용한 오일 및 화학원료 생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플라스틱 필름의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 및 열중량분석기를 통한 동역학분석과 파이롤라이저-가스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반응 생성물 분석하여 폐플라스틱 필름의 열분해 공정 도입 가능성을 추가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현재 배출되는 폐플라스틱 필름류의 열분해 특성과 어떤 성분이 생성되는지 알아보고 공정설계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폐플라스틱 필름의 열분해 특성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는 대학에서 ‘음악의 이해’, 혹은 ‘서양음악의 이해’ 등의 명칭으로 개설된 교양과목으 로서의 ‘음악’에 관한 영화를 활용한 교수법을 다룬 것이다. 이 연구에서 칭하는 ‘대학교양음악’이란 인류문화와 함께 성장해 온 음악의 저변에 대한 고찰을 다루는 ‘음악 입문과목’으로서, 서양음악에 관한 역사, 감상, 이론 등이 유기적으로 어우러져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접근으로 교양교육이 이루어 져야 함을 상징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교양교육으로의 음악’이라는 거시 목표 아래, 그 첫 걸음을 ‘영화’의 활용에서 찾고 있다. ‘영화 속 클래식’이라는 학습동기의 제공은 자칫 고루할 수 있는 클래식 음악에 대한 집 중도를 잃지 않게 하면서 교수자가 원하는 학습목표로의 도달을 용이하게 한다. 바로 이러한 점이 학습자들에게 클래식 음악으로 자연스럽게 입문하는 계기를 제공해 줄 수 있는 것이며, 궁극의 목표 인 음악을 폭넓게 즐기는 방법, 즉, 교양으로서의 음악교육에 도움이 될 방법을 찾아가는 길인 것이 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영화 《캐논 인버스》를 대상으로, 영화구도와 삽입된 클래식들의 음 악 교육적 관점 분석에 근거한 실제 강의 모형을 구축하였다. 이러한 ‘대학교양음악’의 구상을 통한 학습목표의 성취가 일차적으로는 합리적인 ‘대학교양음악’을 이끌 것이며, 나아가 대학의 효과적인 교양교육으로 이어질 뿐 아니라, 장기적 안목에서 국가와 사회가 지향하는 교양교육으로서의 이상을 실현하게 되는 하나의 대안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입자 침전법으로 제작된 HgO와 PbO 기반 영상 센서의 유방촬영 영역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두께에 따른 HgO와 PbO 필름의 물리적 특성과 x선에 대한 양자 효율을 측정하였으며,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입자 침강법을 이용하여 인듐 주석 산화물로 코팅 된 투명 유리기판 위에 대면적 다결정 박막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단결정의 효율과 비슷한 양자 효율을 얻기 위하여 필름의 두께와 제작 조건을 변화시켜 최적화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차후 대면적 a-Si:H 패널에 적합한 대면적 필름의 제작 기술과 최적화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작물의 멀칭재배에 활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비닐의 생분해 특성과 작물 재배에 따른 특성 변이를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천연고분자인 벼 부산물(왕겨와 쌀겨)을 이용하여 상업적으로 이용이 가능하고 생분해가 가능한 멀칭 비닐을 제조하였다. 2. 생분해성 멀칭 비닐의 특성 검정을 위한 표준 생분해도 측정결과 셀룰로오스 대비 75%의 생분해가 되어 친환경 기준을 충족함을 확인하였다. 3. 생분해성 멀칭 비닐의 기계적인 특성은 기존 멀칭비닐과 비교해서 인장강도와 인장력에서 우수함을 보였고, 파단점 비후 비교에서도 생분해성 비닐은 지속적인 힘을 유지시켜야 늘어나는 특성을 보였다. 4. 작물을 대상으로한 시험에서 기계화도 가능하며, 인장강도와 인장력을 통한 분해력 비교에서 작물에 따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장강도와 인장력에 차이를 보임을 관찰할 수 있었고, 작물의 토양 피복도가 생분해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작물의 멀칭재배에 활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필름의 개발과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천연고분자를 이용한 생분해가 가능한 필름의 제조를 위해 벼 부산물인 왕겨와 쌀겨를 이용하여 생분해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2. 천연고분자를 이용하여 개발된 생분해성 필름의 기계적인 특성은 기존 멀칭필름과 비교해서 신장율은 낮으나 인장강도는 2배 이상 강함을 보였다. 그리고 파열점 비교에서도 멸칭필름은 뚜렷한 파열점이 존재하고 그 이후에는 같은 힘을 주어도 계속 늘어난 반면, 생분해성 필름은 서서히 늘어나며 점차 힘을 증가시켜야 늘어나는 특성을 보였다. 3. 생분해성 필름에 대한 유해성분 용출시험에서 중금속 들이 검출되지 않았고, 국내 친환경 인증 기준이 정하는 생분해성 수지의 함량기준에 충족하였다. 4. 작물을 이용한 토양 분해력 시험에서도 3 개월 이후에 서 대부분 분해됨을 보여 일반 농업 현장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최근 하나의 원천 콘텐츠가 다른 형태의 다양한 콘텐츠로 제작되는 사례가 빈번하다. 그러나 한번 성공한 콘텐츠가 다른 형태의 매체로 제작 되었을 때 과연 성공 할 수 있을까? 이에 대한 정확한 답을 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왜냐하면 다른 콘텐츠로 변환 되었을 때 해당 콘텐츠 특성에 대한 분명한 이해가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렇듯 성공한 게임 원작 영화가 극소수인 상황속에서 이러한 성공 요인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영상과 서사적 측면에서 성공한 게임 원작 영화의 공통된 성공요인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결과 성공한 게임원작 영화는 영화적인 임팩트를 위한 단순화, 압축, 제거 등을 통해 스토리텔링에 성공한 각색이 있으며, 게임 아바타의 재현에 대한 충족감과 성공한 게임 본연의 매력 포인트를 잘 찾아 영화 문법에 잘 녹아들게 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본 연구는 성공한 게임 원작 영화의 사례를 통해 게임 원작 영화의 성공 요인을 분석하여 앞으로 제작될 영화들의 실패할 확률을 줄이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가소제로서 솔비톨 혼합물의 첨가가 분리대두단백 필름의 수분흡습특성, 수분투과도, 색, 인장강도 및 신장률, 그리고 용해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솔비톨 혼합물은 액상형과 결정형의 상태로 다양한 비율로 혼합하여 첨가하였고, 가소제로 글리세린을 첨가한 대조구 필름의 물리적 특성과 비교하였다. 솔비톨이 첨가된 필름은 대조구 필름에 비해 높은 인장강도를 갖는 반면 낮은 수분투과도 및 신장률을 보였다. 한편 솔비톨 첨가 형태에 따른 영향은 필름
원예치료 수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영화 13편을 선정하여 그 내용을 원예치료 교육자료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비밀의 화원’과 ‘4월의 유혹’은 원예치료의 역사와 의의 측면에서, ‘녹색카드’와 가위손‘은 원예치료의 현황과 위상에 대한 교육 자료로 활용하기에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 그레이스’는 원예를 통한 직업적 재활을 설명하는데, ‘자연의 아이들’은 외로움, 고향에 대한 향수 등 노인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원예치료 방안을 모색하는 자료로 활용하기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비’는 후천성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심리상태 및 그에 대한 원예치료 효과에 대한 교육자료로 활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나타났다. ‘레옹’은 ‘의존성 성격장애’의 특징과 그에 대한 원예치료의 적용에 대한 교육자료로, ‘남자가 사랑할 때’는 알콜중독의 원인, 증상, 치료단계에서 원예의 역할에 대한 수업보조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라벤다’는 원예치료 영역의 하나인 ‘아로마테라피’와 허브에 대한 교육자료로 활용하기 좋을 것으로 나타났다. ‘프렌치키스’, ‘미스터플라워’ 및 ‘나도 아내가 있었으면 좋겠다’는 꽃과 숲의 효과, 특히 남녀 사이에서 꽃의 역할에 대한 수업자료로 활용하기에 좋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홍화씨 가공제품의 산패방지 및 품질 향상을 위하여 가식성 필름을 코팅하여 저장 중의 물리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가식성 필름 용제로 코팅한 홍화정의 색도 변화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명도 L 값과 적색도 a 값은 조금씩 증가하였으며 황색도 b 값은 감소하였다. 코팅한 홍화정의 수분함량의 변화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약간의 증가보였으나 큰 변화는 없었다. 산가는 저장온도에 관계없이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가식성 필름 용제로 코팅한 홍화정
식품의 저장성 및 안전성 향상을 목적으로 필름이나 용기형태의 항균 기능성 포장재를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으며, 아울러 새로운 고분자 및 항균 소재 탐색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존의 합성 고분자뿐만 아니라 생고분자에 각종 항균제를 첨가 또는 혼입하여 제조한 식품 포장용 항균성 필름이 최근 들어 주목받고 있는데, 이러한 항균성 필름은 담체로 사용된 고분자는 물론 항균제의 종류, 이들의 상호작용에 따라 항균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