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treatment efficiency including reaction kinetics and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food processing wastewater by using an ejector-type aeration system (ETAS) in activated sludge process.
The oxygen transfer efficiency in ETAS can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depth of reactor. However, the optimum air velocity was found less than 1.82 m/hr at a superficial liquid velocity of 634 m/hr. The ETAS process showed higher organic material removal efficiency than that of the existing activated sludge process under hydraulic detention time ranged from 6 to 12 hours.
This process, which can maintain MLVSS highly, is able to have high organic material removal efficiency at short HRT and deal with variable organic material loading.
60종(種)의 약용식물과 식용작물을 대상으로 항종양활성등의 생리활성을 조사함으로서 약용식물과 식용작물의 유용적인 측면의 확인뿐만 아니라 나아가서 새로운 생리활성물질 탐색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실험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약용식물 및 식용작물에 대한 80% EtOH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종양효과를 보면 PKC법에서는 명아주(73.4%) 및 antibleb형성억제력검정에서는 검정콩이, PLC법에서는 검정콩(91.9%), MTT법에서 50%의 억제력을 나타내는 농도(IC50)가 검정콩과 쑥의 경우 각각 4.7μg/ml을 보였다.
Effective synthetic antioxidants such as butylated hydroxyanisole(BHA) and butylated hydroxytoluene(BHT)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food industry, but they are suspected to be toxic and carcinogenic effect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safely available natural antioxidants such as ascorbic acid, -tocopherol, -carotene, flavonoids and selenium is essential. In particular, flavonoids, 2-phenyl-benzo--pyrones, are polyphenolic compounds that occur ubiquitously in food of plant origin. flavonoids occur in foods generally as O-glycosides with sugars bound usually at the C\ulcorner position. And variations in their heterocyclic ring gibes rise to flavones, flavonols, flavanones, flavanols, catechins, anthocyanidins, chalcone and isoflavones. Vegetables, fruits, and beverages are the main dietary sources of the flavonols, primarily as quercetin, kaempferol, and myricetin and the corresponding flavones, apigenin and luteolin. These flavonoids have biological activity such as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thrombotic, antimutagenic, anticarcimogenic antiallergic and antimicrobial activity effects in vitro and in vivo. Flavonoids posses strong antioxidant activities acting as oxygen radicals scavenger, metal chelators and enzyme inhibitor. The antioxidant activity of flavonoids is determined by their molecular structure and more specially, by the position and degree of hydroxylation of the ring structure. All flavonoids with the 3`, 4`-dihydroxy(ortho-dihydroxy) posses marked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increases with the number of hydroxyl groups substituted on the A-and B-rings. There is as yet no certainty about the effect of the presence of a double bond between C\ulcorner and C\ulcorner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flavonoids.
60종(種)의 자생 약용식물과 식용작물을 대상으로 항산화활성의 생리활성을 조사함으로써 약용식물과 식용작물의 유용성 측면의 확인뿐만 아니라 새로운 생리활성물질 탐색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실시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생 약용식물 및 식용작물에 대한 50% EtOH 추출물을 이용하여 TBA법. DPPH법에 의하여 1차 활성검정 결과 처리방법에 따라 활성값에 차이가 있으나 TBA법에서는 검정콩의 추출액이 87.3%, DPPH법에서는 까마중 추출액이 80.6%로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두가지 방법에서 동시에 활성이 높은 것은 검정콩을 비롯하여 10종 이었다. SOD활성정도도 검정식물에 따라 큰 차이가 있으나 검정콩이 53.5%로서 가장 높은 SOD활성을 나타내었으며 SOD종류는 Cu/ZnSOD, FeSOD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u/ZnSOD만을 함유하고 있는 잔대는 SOD활성 정도가 10.37%로서 실험 대상식물 중 가장 낮은 활성을 보였다.
구약감자 5개 수집종에 대한 생리 생태적 특성을 요약하면 경장, 경태는 일본 수집종이 가장 컸고 분지수는 국내수집종인 제천종이 각각 3.1개 3.6개로 가장 많았다. 출하일수는 일본수집종 및 중국수집종이 60일로 제천수집종에 비해 3-5일 빨랐다. 출하율은 일본종이 90%로 금산, 제천종보다 5-10% 높았다. 엽면적은 일본수집종이 가장 넓었으며, 광합성 능력도 엽면적이 넓은 일본수집종이 전기간에 걸쳐 가장 높았다. 엽록소 함량은 관행(자연광) 대비보다 차광율이 높을수록 엽록소 함량이 높았다.
The actual status of production, management and export of 96 traditional food processing companies which supported by the government in Kyungpook province were investigated. Governmental support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farmhouse income, employment and depreci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a bit, but it was supported mostly to unexperienced party. Technologies for food processing developed in institute and college were little. 42 percent of packaging design was developed by service commission, but the agency was very limited. Total export price in 1996 was 2.3 billion Won, but it was decreased in 1997. The responce to the prospect of traditional food processing work, 37.5 percent replied that this work can bring up as exportable product, but ambiguious response was a little. To settle a weakness of farming food processing work, the establishment of special marketing comapny was required and this company should accomplish marketing advertizing and exporting business.
In order to develovpment of new sterilizing method applied to food industry, effects of ozone treatment on microorganisms, associated with food hygiene were investigated. Microorganisms were immersed in water and sparged with ozonised air(ozone concentration, 3mg liter-1) at an air flow rate of 5 liter min-1. When organisms were treated with benzoic acid and sorbic acid of 0.4∼1.0g/, respectively, they were not dectable perfectly. Sodium benzoate had an effect on Penicillium islandicum. When bacteria were sparged with ozonised air, Pseudomonas aeruginosa completely inhibited at 60 minutes, and the killing Aspergillus flavus and Penicillium islandicum. Also, all of bacteria were inactivated after immersed with ozonated water for 10minutes, but two fungal species were not effective.
본 실험은 건강식품과 민간요법으로 수요가 증가되는 구약감사 국내 수집종인 금산종과, 외국수입종인 일본 및 중국종에 대한 성분분석을 통하여 건전한 식품문화를 정착시키고 품종개량에 대한 기초정보를 얻고자 이들 각각에 대한 성분분석을 실시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체 분석결과 구약감자 mannan의 주함량인 탄수화물은 금산, 일본수집종에서 15% 비슷하였고, 정분분석에서는 중국 chip과 일본 수집종이 79%로서 금산 수집종, 73%보다 높게 나타났다. 2. 유리당 함량은 금산수집종, 중국 chip, 일본정분순으로 함유량이 높았으나, 아미노산은 일본정분, 중국 chip, 금산수집종 순으로 함량이 높았다. 3. 무기함량은 금산수집종에서 인, 칼리, 철분이 비교적 다른 수집종보다 높은 편이었고, 중국수집종에서 칼슘, 나트륨이 비교적 많이 함유되었다. 4. 가용성 유리당과 아미노산 함량이 많을수록 구약식품의 점도가 저하되었다.
최근 소비자들의 신선한 채소 요구에 따른 수요증가로 볼 때 어린순의 소비는 크게 늘어 날 것으로 보나 국내에서는 무순외에는 거의 개발이 안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약용식물중에서 어린순을 채소로 개발할 수 있는 것을 선발하고자 기초연구로써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실험에 사용된 12종의 식물중에서 가걱은 들깨, 메밀, 무등이 낮은 값을 보였다. 2. 발아율은 전체적으로 낮았으나 그중 무, 소엽, 메밀, 항금 및 들깨가 상대적으로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3. 발아세는 발아율보다 낮으며 그중 소엽, 무, 메밀 및 황금이 상대적으로 높은 발아세를 보였다. 4. 식미특성중 외관상으로 무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5. 맛은 황금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6. 조직감은 메밀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7. 기호도는 소엽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발아의 신속성과 균일성을 높이기 위하여 벼, 보리, 콩 종자에 대하여 몇가지 화학물질처리와 종자의 흡습건조처리를 통하여 종자퇴화지연효과를 검토하였다. 처리한 생장촉진제 및 노화지연제간에 경미한 차이는 있었으나 GA3 가 벼의 발아율을 높인것 외에는 뚜렷한 종자세 개선의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노화종자를 PEG용액에 흡습건조처리할 경우 용액농도가 높을수록 평균발아일수가 길어지고 발아율이 낮아지는 경향이나 발아율 유지의 효과나 발아균일성향상의 효과는 없었다. 저온, 과습 및 삼투조건 등 불량한 환경에 대한 발아반응도 미미하였다. 어느 처리도 종자세 개선에 뚜렷한 효과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GA3 처리가 전체적으로 발아반응이 그 중 좋은 편이었다.
Environmental stresses during culture of food legumes can be classified to the three categories; the climatic stresses, pests, and public pollution. Of the researches on the climatic stresses in Korea, drought injury and lodging injury were studied more comparing with excess water injury, cooling injury, wind injury, frost injury and hail injury. Although many researches have been done on the pests, mainly on the control of pests, a few researches have been done on the basic research. Recently public pollution is considered one of major stresses during culture of crops following rapid development of industry in Korea. A few researches have been done on the air pollution and acid rain. Therefore many researches should do on the environmental stresses during culture of food legumes in the future.
맥류의 한발저항성 반응과 정도 그리고 저항생리적 기작을 구명하기 위하여 발아후 10일된 유묘기(본엽 3매시)에 8일간 단수처리를 하여 질산환원효소와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변화 그리고 proline축적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품종의 평균 감소율은 질산환원효소의 활성이 42%이였으며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은 73%였으며, 이에 반하여 proline은 대조구에 비하여 단수구가 무려 10배나 증가하였다. 2. 질산환원효소의 활성감소율을 맥종별로 보면 소맥 < 호맥 < 대맥 < 2조대맥ㆍ과맥의 순으로 소맥이 가장 낮았다. 3.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감소율을 맥종별로 보면 소맥 < 호맥 < 이조대맥 < 대맥 < 과맥의 순으로 소맥이 높고 과맥이 가장 낮았다. 4. 단수구의 proline의 축적색대량을 맥종별로 보면 소맥 < 대맥 < 호맥 < 과맥 < 이조대맥의 순으로 소맥과 대맥이 높았으며, 대조구에 대한 단수구의 증가비는 호맥(13배) > 소맥ㆍ대맥(11배) > 과맥(9배) > 이조대맥(7배)의 순으로 호맥이 가장 높았다. 5. 한발저항성 과정에서 효소적 및 생리적 대사작용의 관점에서 볼 때 소맥 > 호맥 > 대맥 > 과맥 > 이조대맥의 순으로 한발저항성이 강한 것으로 추정된다.
맥류의 한발저항성 반응과 정도 그리고 생리학적 기작을 구명하기 위하여 발아 후 10일된 맥류 유묘기(본엽3매시)에 8일간 단수처리하여 초장 유묘건물중 엽녹소 상대팽압도 단백질 환원당의 변화를 조사분석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품종의 평균 감소율은 초장 14%, 유묘건물중 24%, 엽녹소 31%, 엽상대팽엽도 27%, 단백질 28%였으며 유일하게 환원당만은 대조구에 비하여 단수구가 4배나 증가하였다. 2. 유묘건물중 감소율을 품종별로 보면 호맥이 가장 낮고, 백동, 목포5005, 이조대맥이 가장 높았으며 또한 맥종별로는 호맥<소맥<대맥<라맥<이조대맥의 순이었다. 3. 엽녹소의 감소율이 가장 낮은 품종은 호맥, 청계밀, 을밀이었고 가장 높은 것은 밀양1002, 방사006, 향맥, 사천004였다. 4. 엽상대팽엽도의 감소율이 가장 낮은 품종(22-25%)은 호맥, 청계밀, 동보리 001였고 가장 높은것(30-33%)은 백동과 이조대맥이었다. 맥종별로 보면 호맥<소맥<라맥<대맥ㆍ이조대맥의 순이었다. 5. 단백질의 감소율을 보면 후광, 그루밀, 동보리 001, 목포5005가 가장 낮은 품종(14~17%)들 이었고 이조대맥이(40%) 가장 심하였으며 맥종별로 보면 소맥<호맥ㆍ대맥<근맥<이조대맥의 순이었다. 6. 환원당의 증가비는 호맥과 소맥이 4~5배였고 이맥과 이조대맥이 약 2배 증가되었다. 맥종별 증가를 보면 호맥<소맥<대맥<라맥<이조대맥의 순이었다. 7 한발저항성 과정에서 생리적 대사작용의 관점에서 볼 때 호맥<소맥<대맥<라맥<이조대맥의 순으로 한발저항성이 강한 것으로 추정된다. 것으로 사료된다.며, 이 결과는 대두 종자의 삼투압은 초기초장의 생장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수분흡수와 삼투압간의 상관계수는 고도의 정의 유의성을 보였다(r=.98). Bonus나 Wayne에 비해 Pickett과 Essex는 높은삼투압을 보였으며, 이것은 수분흡수 시험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대두 종자의 삼투압은 건조상태에서 발아능력을 추정하는 하나의 지표가 되리라 생각한다. 약관씩 다르게 나타났지만 대체로 blast nursery 성적과는 반응이 비슷하였다. 6. 정도 저항성 및 이병성으로 나타난 ‘Kanto 51’, ‘Yashiromochi’, ‘Ishikari-shiroke’ 등의 품종들에서는 접확후 병반형 및 병반수의 변이가 매우 심하였다. 급성형(이병성, PG형) 병반을 많이 형성하는 품종들(‘애지욱’, ‘Caloro’, ‘Norin 6’ 등)은 고도의 이병성이었고 저항성 품종들은 대개 병반이 없거나 저항성 병반(hypersensitivity 반응, b 혹은 bg 형)을 나타내었다.. 발뢰까지는 수확기를 지연시킬 수록 건엽수량은 현저하게 증가되었으며 발뢰 이후에는 수확기를 지연시켜도 수량 차이는 인정되지 않는다. Stevioside 함량은 발뢰기에 가장 높았고 이보다 빠르거나 늦게 수확할 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건엽수량과 Stevioside 함량을 고려한 수확적기는 발뢰시부터 개화전까지이고 수원 지방에서는 9월 10일~9월 15일경이었다. 11. 영양계의 Stevioside와 Rebaudioside 함량범위는 각각 5.4~l4.3%, 1.5~8.3%로 변이폭이 크며 Stevioside와 Rebaudioside 함량간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저온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