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58

        681.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팔수(Elaeocarpus sylvestris va. ellipticus Hara)를 기주로 하여 담팔수깍지벌레(Protopulvinaria mangiferae (Green))의 발육속도 및 증식능력을 조사하였다. 본 깍지벌레의 1령약충기부터 산란전성충기까지 발육소요일수는 온도가 상승할수록 짧았으며, 발육한계온도는 11.7, 유효적산온도는 1000.0일도 이었다. , 항온, 60-70% RH조건하에서 부화율은 각 온도구 모두 99% 이상으로 높았다. 산란전성층까지의 생존율은 에서 82%, 에서 60%이었으며, 1령약충(neonate crawler)기의 사망률이 가장 높았다. 성충체로부터 1령약충의 이탈기간은 에서 50일 에서 33일간 이었으며, 이 기간 중 총이탈약충수의 50%이상이 분산기간 초기에 발생되었다. 발육기간 및 영별생존율 및 출생수를 이용하여 산출한 순번식율(), 평균세대기(T) 및 내적자연증가율은()은 에서 각 132.6, 76.2, 0.064/암컷/일로 구 보다 높았다.
        4,000원
        683.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온도가 살충제의 저항성과 감수성계통, 복숭아혹진덧물의 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핵형이 정상인 감수성 계통(URY-O)과 저항성 계통(ABURABI : 유일) 및 핵형이상(AI, 3 전좌)으로 저항성인 O-RY 계통을 사용하였다. 에서의 약충 기간은 저항성과 감수성 계통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에서는 감수성 인 URY-O 계통은 8.3일간에 성층이 되었었음에 비하여 저항성인 O-RY 계통은 조사기간인 20일까지 약충상태로서 성충으로 발육하지 못하고 사망하였다. 감수성인 URY-O 계통과 저항성인 ABURABI 계통의 산자수는 에서 서로 차이가 없었으나, 저항성인 O-RY 계통의 산자 수는 에서보다 1/10밖에 자충을 낳지 못하였다. 또한 충체중은 에서 URY-O와 유일은 각각 0.22와 0.27 mg/♀이었으나, O-RY는 0.16 mg/♀로서 차이가 컸다. 가수분해활성(n mol/IS min/female)이 19인 O-RY(-)9t 88인 O-RY(+)는 , sub-strain의 산자수는 각각 3.4마리와 0.8마리로서 에스테라제 활성이 높은 O-RY(+)계통이 에스테라제 활성이 낮은 O-RY(-)계통보다 새끼수를 적게 낳았다.
        4,000원
        684.
        199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중앙공원과 불곡산에 이르는 중심녹지축의 연결로 Ecobridge지역의 생태적 공간조성을 목적으로 야생조루종조성, 식물군집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야생조루종조성분석 결과 Ecobridge 지역에서는 까치, 박새, 참새 3종 23개체만이 출현하였고 중앙공원 산림에서는 3종과 꾀꼬리, 제비 5종 37개체가 출현하였다. 자연환경이 양호한 불곡산에서는 15종 72개체가 출현하였다. 식물군집구조분석 결과 중앙공원과 불곡산 산림은 리기다소나무, 잣나무 등을 식재한 인공림과 신갈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등 참나무류를 중심으로 형성된 자연림, 인공림에서 참나무류로의 2차천이가 일어나고 있는 반자연림으로 나뉘어졌다. Ecobridge지역은 아교목층이 형성되지 않은 교목층 위주의 단순식생으로 지역주민의 이동공간으로 이용되고 있었다. 종다양성은 불곡산 산림→ 중앙공원 산림→Ecobridge지역순으로 낮은 값을 보였고, 유사도지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생태적인 공간조성에 있어 종다양성이 높은 불곡산의 다층적인 식생구조를 도입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되었다.
        4,800원
        685.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밀양에서 끝동매미충 개체군의 월동상채에 관한 정확한 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월동하는 끝동매미충의 영기구성 현황은 월동초기인 12월 5일에 4령약충이 약 77~79%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약 15~17%의 3령약충과 약 3%의 5령약충이었다.이러한 끝동매미충의 영기구성 비율은 월동중 채집시기와 함께 2령약충과 3령약충의비율이 상재덕으로 감소하고 5령약충의 비율이 서서히 증가하여 이듬해 2월 20일에는 5령약충의 비율이 13~16% 였으며, 월동후기인 3월에는 5령약충과 성충의 비율이 점점 증가하였 3월 19일에는 5령약충이 약 70-71%였고, 4월 8일에는 성충의 비율이 약 47~50%를 차지하였다. 끝동매미충의 두 월동기간 시기별 영기수성 현황을 수치로 환산한 평균령기는 월동초기인 12월 5일에는 각각 약 3.91령기와 3.86령기였으며, 이듬해 2월 20일에는 각각 4.11령기와 4.07령기, 3월 19일 에는 각각 약 4.75령기와 4.79령기였고, 4월 8일에는 각각 약 5.42령기와 5.45령기였다. 한편 끝동매미충의 시기별 영기구성 및 평균령기는 두 월동기간간에 큰 차이는 없었으나, 끝동매미충이 월동에 들어가는 초기(11월 12월상순)의 기온과 월동후기(3월)의 기온에 따라 끝동매미충의 영기구성에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끝동매미충의 채집기간 평균령기를 비교한 발육지수의 값이 대체로 1.0이상의 값을 나타내어 월동중에도 끝동매미충은 발육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끝동매미충의 월동장소별 채집밀도는 보리밭보다 휴반에 서 현저히 높았다.
        4,000원
        686.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rect effects of green tea catechins(GTC) on vascular smooth muscle tension and ^(46)Ca^(2+) uptake in rat aorta. The methods used in this study are isometric tension measurements using physiograph, Lanthanum method for ^(46)Cac^(2+) (2 uCi/ml) uptake measurement in rat aorta. GTC modified tension induced by 40 mM KCl or 1 uM norepinephrine in rat aorta. Low concentrations of GTC($lt;0.5 mg/m increased tension by 40 mM KCl or 1 tM norepinephrine, individually. However, high concentrations of GTC($gt; 0.5 mg/ml) inhibited tension by 40 mM KCl or 1 uM norepinephrine, individually. GTC increased ^(45)Ca uptake induced by 40 mM KCl in a dose-dependent manner. From these results, GTC has the dual actions in vascular smooth muscle in vitro. Low concentrations of GTC augments tension by K or norepinephrine. However, high concentrations of GTC inhibits tension by K or norpeinephrine. GTC may have Ca^(2+) channel activation action, which may result in unphysiological vasodilation by Ca^(2+) overload in vascular smooth muscle.
        4,000원
        687.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reen tea catechins(GTC) were studied for its inhibitory effect on human platelet aggregation in vitro, for its antithrombotic effect in mice in vivo, and for bleeding and clotting time in rats. The catechins were isolated and purified from green tea, which were composed of (-)-epigallocatechin gallate, (-)-epigallocatechin, (-)-epicatechin gallate and (-)-epicatechin. GTC produced a potent inhibition of human platelet aggreg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against the stimulants such as ADP, collagen, epinephrine and ristocetin in vitro. GTC also prevented death due to the formation of pulmonary thrombosis by platelet aggregates in mice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vivo. GTC increased the bleeding time, whole blood clotting time and plasma clotting time in rats, too. These results suggest that GTC is a promising antithrombotic agent.
        4,000원
        688.
        199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멸구류 포식성 천적인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온도에 따른 벼멸구 알 공격능력과 기능반응의 변화를 20, 23, 26, 29, 32, 등 6개 온도에서 검정하였다. 등검은 황록장님노린재는 산란된지 1일에서 4일된 이런시기의 벼멸구 알을 선호하였으며, 이중 3일된 벼멸구 알을 가장 선호하였다.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벼멸구 알에 대한 포식능력은 Holling의 제2형 기능반응의 Rogers(1972) 진정포식자 모형에 잘 부합되었다. 기능반응의 포식자 탐색율(a)은 까지는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처리시간(Th)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완만히 감소되었다.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벼멸구 알에 대한 온도별, 밀도별 공격위치의 선호성은 일반적으로 저밀도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고밀도에서는 위쪽에 산란된 알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온도가 높아짐에따라 이러한 경향이 더욱 뚜렷이 나타났다.
        4,000원
        695.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포장의 약제저항성 변동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복수아혹진딧물의 Carboxyl esterase(CE) 활서측정에 의한 저항성도의 변동상황을 조사하였다. 비닐하우스에서 고추육묘중 발생한 복수아혹진딧물의 CE활성 측정 결과 약제저항성도는 무처리구가 40이였으나 아세페이트를 처리한구는 78로 약제처리로 인한 저항성도가 38이 증가하였다. 또한 노천망실에서 약제처리를 하지 않고 재배한 케일에 발생한 복숭아혹진딧물의 CE활성에 의한 저항성도는 7월이 24이었으나, 8, 9월의 활성이 계속 증가하여 10월이 83으로서 최고에 달하였다가 11월에는 다시 81에서 79로 약천 떨어지고 있어 약제이외에 저항성도의 자연변동요인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국적으로 18개장소에서 채집한 진딧물의 CE활성을 측정한 결과 저항성도의 평균이 여름은 5014였으며 늦가을인 11월은 8210으로서 여름보다 늦가을인 11월이 32가 높았으며 그중에도 약제를 살포사지 않은 곳 보다 약제살포 회수가 많은 곳일수록 높았다.
        4,000원
        696.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복숭아혹진딧물 방제용약제를 공시하여 1983년부터 4년에 걸쳐 포장에서의 약효와 실내에서 약제감수성을 조사하였다. 마라치온을 포함한 7종의 살충제의 방제가가 현저히 낮았다. 또한 포장에서 계절별로 발생한 개체군에 대한 각 약제의 감수성시험을 실시한 결과 약제에 따라 1~167배의 약제 감수성 차이를 보였다.
        3,000원
        699.
        199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말매미충(Cicadella viridis L.)의 구기에 있는 미각감각기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에서 전구강에 위치한 상인두의 D-sensilla는 10개이며, 상인두 함입부의 양쪽변에서 P-sensilla 8 개가, 하인두의 식도 중간부위에서 H -sensilla가 2개 관찰되었다. D- 및 P-sensilla는 형태적 으로 2군으로 분리되었다. 그리고 D- 및 P-sensilla로부터 유래된 신경다발 1쌍씩은 상인두 뒷면의 큐티클 안에서, H -sensilla로부터의 신경다발 1쌍은 하인두 뒷면의 큐티클 안에서 관찰되었다.
        4,000원
        700.
        199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green tea leaves at different cooking conditions-blanching and frying-were surveyed as a method of utilizing low graded green tea leaves which missed appropriate plucking tim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tein content during cooking. But contents of chlorophyll, tannin, vitamin C and caffeine were decreased during cooking, contents of chlorophyll and caffeine showed a greater decrease in frying than blanching. Content of total amino acid of green tea leaf was 15.8% and blanching showed bigger diminution of its content in comparision with frying during cooking.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