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국에서 중요한 소비 계층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 대도시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경제 발전, 교육수준, 제품품질, 기술연구, 생활수준, 민주 체제의 요소로 국가이미지를 측정하여 한국의 국가이미지가 중국 소비자의 식품, 의류패션, 생활용품, 음악제품, 자동차, 가전제품의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국가이미지가 중국 소비자들의 제품별 구매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자제품을 제외한 식품, 생활용품, 의류패션, 음악제품, 자동차 구매시 한국의 국가 이미지가 중국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표본 구성의 한계로 인해 본 연구의 일반화에는 주의가 필요 하나 국가이미지의 각 구성 요소가 제품구매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여 국가 차원에서의 국가이미지 구축 전략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또 각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중국시장에서의 브랜드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SWAT 모형을 이용하여 설마천 혼효림 유역(8.54 km²)을 대상으로 RCP(AR5)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수문순환 영향을 평가하였다. 모형의 불확실성을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해 설마천 유역의 2007년부터 실측된 유량, 증발산량 및 토양수분을 이용하여 모형의 보정(2007~2008) 및 검증(2009~2010)을 수행하였다. 모형의 보정 및 검증 결과 유출량의 R²가 0.74∼0.91로 분석되었고, 증발산량은 0.56∼0.71, 토양수분은 0.45∼0.71로 분석되어 토양수분으로부터 증발산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유출까지 영향을 미치는 물수지 현상을 잘 재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미래 기후자료로 AR5 RCP 4.5, 8.5 시나리오에 대한 모의결과 값을 이용하였고, 사용된 모델은 한반도 전망자료를 지역기후모델을 이용하여 역학적 상세화하여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HadGEM3-RA 모형이며 오차 보정하여 사용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 분석 결과 두가지 시나리오 모두 미래 기온은 0.9∼4.2℃ 상승하고, 강수량은 7.9∼20.4% 증가하였다. 또한 미래 유출량은 0.6∼15.7% 증가한 반면에 유출률은 3.8∼5.4% 감소하였고, 증발산비는 4.1∼6.8% 증가, 토양수분은 4.3∼5.5%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프리미엄 아이스크림 전문점 브랜드의 이미지 연구이다. 소비자가 브랜드 이미지에 대해서 받는 인상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측정이 되고 있지만 브랜드를 보고 판단하는 소비자들의 심리학적인 분석은 미흡한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페르소나라는 개념을 사용하였다. 브랜드 페르소나란 소비자들이 브랜드의 이미지를 마치 특정한 사람처럼 생각하고 은유한다는 것이다. 이는 실제로 사람들이 편하게 사물을 인식하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신과 유사한 것을 더 좋아한다는 심리학의 유사성의 법칙이 브랜드 페르소나에 있어서도 역시 동일하게 적용되는지를 본 연구에서는 알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들은 브랜드를 사람과 같이 은유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이 브랜드 페르소나 조사를 통하여 나타났다. 그리고 소비자들은 자신들과 유사한 연령과 성별 그리고 성격을 지닌 브랜드 페르소나에 대한 호감이 상대적으로 상이한 인성유성을 가진 다른 브랜드 페르소나에 비교하여 더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특정 브랜드 페르소나와 고객의 세그먼트 간에 유사한 인간적 특성을 가졌을 때 더 호감을 가질 것이라는 유사성의 법칙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조군이 없고 실험기간이 짧아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제한점이 있으나 원예치료가 요양시설 노인의 우울증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유의함을 나타냈다. 이는 원예치료 활동을 통해 자신이 심은 식물의 변화되는 모습을 관찰하고, 또 다른 생명을 직접 돌보는 역할을 통해 자긍심과 자신감을 가지고, 정서적으로 안정을 찾게 되어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도 요양시설 노인들에게 다양한 원예치료 활동을 제공하여, 우울감소를 통한 심리적 안정뿐만 아니라 신체적, 사회적으로도 건강하고 풍요로운 노후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대상자의 수가 적고 연구기간이 짧아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제한점이 있으나 원예치료프로그램이 우울증이 심한 중년여성들에게 매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표현 및 정서적 사회적 측면에서도 원예치료 참여전보다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났고, 사전, 사후 검사지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우울감이 감소하고, 표정이 밝아지고, 보다 적극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해졌다.
원예치료 프로그램 중 흙을 손으로 만지거나, 색깔 있는 돌이나 모래들을 식물들과 함께 연출하면서 신체활동과 정서적 활동을 통해서 우울감이 감소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프로그램시 만든 작품을 자신이 아닌 다른 누군가에게 선물을 주고 싶어 하고, 그런 반응들을 기회로 의사소통의 통로를 마련하여 가정과 사회 및 직장에서 중년여성들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타인과의 관계형성에 유대감이 강화되었고, 사회성이 향상되었다.
향후 원예프로그램이 좀 더 창의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어 각 대상에 맞게 지속적인 치료활동으로 이루어진다면 직장생활을 하는 중년여성들뿐만 아니라 가족들에게도 매우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에서는 강섬유와 FRP 시트에 의한 충격 저항성능 향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고속 충격하중을 받는 2방향 RC 슬래브에 대한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였다.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으로는 충격해석에 탁월하다고 알려진 LS-DYNA를 사용하였으며, 실험결과와의 비교를 위하여 핀란드 VTT 연구소에서 수행한 고속 충격 실험과 동일한 조건으로 해석을 수행하였다. 2100×2100×250 mm의 RC 슬래브에 강 (steel)발사체를 통해 충격하중을 가하였으며 발사체의 무게는 47.5kg, 속도는 134.9m/s였다. 본 연구에서는 별도의 재료부재에 대한 충격실험을 통해 해석에 사용할 재료 모델을 검증하였다. 본 해석에서는 SFRC의 비선형적 연화 현상을 모사하기 위해 elastic-plastic hydro model을 적용하였으며, 보통콘크리트와 FRP의 재료모델을 모사하기 위해서 concrete damage model과 orthotropic elastic model을 각각 사용하였다. 해석 결과, 제안된 해석 기법은 충분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으며, 보강 재료와 보강 기법의 유효성을 평가하는데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강섬유와 FRP Sheets 보강방법은 고속충격하중에서 우수한 충격 저항 성능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Concrete floating structures will experience the surface erosions by wave and floaters’ impacts. However, because there exists no standard test method in Korean Industrial standards (KS) related to this issue, proper evaluations have not been able to be performed. To re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developed a testing apparatus and evaluation methods referring to ASTM C 1138, and series of marine concrete mixtures were evalu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and analyse the environmental impact of construction stage by apartment houses structure using main materials. For this purpose,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apartment houses, by setting the evaluation model and using 6 kinds of main materials,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about 6 environmental category was performed
The impact factor of general road bridges is typically calculated according to Korea Highway Design Code(KHDC) or Design Guidelines For Cable-Supported Bridges in Korea. Above design codes define the impact factor as the function of span length or effective span length. But calculated impadt factors from this function are different to the measured values of long-span bridges such as cable-stayed bridge, suspension bridge. There are several methods to estimate the impact factor of cable supported bridges. In this study, the impact factor of cable-stayed bridges is estimated from dynamic load tests and compared to calculated values from the various design codes.
According to 10CFR50.150, all applicants for new nuclear power plant designs after July 13, 2009
must perform a design-specific assessment of the effects on the facility of the impact of a large, commercial aircraft using realistic analyses. The purpose of the work described in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safety of the APR+ nuclear power plant with respect to the impact by a large commercial aircraft using the missile-target interaction analysis method.
Recently, air-coupled impact-echo (IE) tests for rapid damage detection in concrete structures have been popularly employed, but they typically require an acoustically shielded, high sensitivity, pre-polarized air-pressure sensor. In this study, two types of air-coupled sensors (condenser and dynamic microphones) and one contact sensor (displacement sensor) are evaluated with regard to characterization of delamination damage in a concrete slab using the IE method. The contact and contactless IE tests were carried out over a simulated slab with artificial delaminations. Results show that even the dynamic microphone successfully captures impact-echo signals in a contactless manner and without acoustic shielding.
Vibration resonance tests offer an efficient NDE method to identify and characterize shallow
(near-surface) delamination defects that afflict RC structures. However, efficient implementation of effective modal analysis methods for this purpose is hindered by practical testing limitations. This paper studies vibration resonance data from square, rectangular, and circular near-surface delamination defects in concrete using air-coupled impact resonance test.
In this study, we aimed to consider the inspection without destroying the specimen using the Impact Echo Method of nondestructive test using stress wave in an objective manner for detecting defects in concrete members.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slab member using Impact Echo Method under the influence of the result of the stress wave, the average error in the 7.49% confirmed the applicability. In addition, we can check the possibility of data acquisition and construction of concrete structure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diagnosis system
Part of the domestic construction practice and non-destructive inspection technology world level is often inadequate to provide the test results to serve as a basis for evaluating the safety of the structure. Therefore, in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legislation nondestructive inspection in Japan, estimates the size of the column using a technique reverberation impact manufactured column member or this purpose. 3% maximum error rate, the result was 1% minimum error rate. The average error rate is 1.6%, revealed as well as the size of the columns that have been measured
본 연구는 기업 이미지를 형성하는 요소인 ‘안정성’, ‘신뢰성’, ‘친근성’, ‘명성’, ‘사회공헌’을 바탕으로 기업 이미지의 구성요인인 ‘이미지 연상 강도’, ‘이미지 호의성’, ‘이미지 차별성’이 개별 브랜드 신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으며 기업 이미지가 소비자 대안평가 시 지각된 위험과 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개별 브랜드 신뢰가 소비자의 브랜드 대안평가 시 지각된 위험을 낮춰주는가와 실제 구매의도를 높여주는가를 연구하였다. 가설 검증은 증권회사 자산관리서비스를 이용하는 거래고객 263명의 설문을 토대로 구조방정식모델을 통해 실증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개별 브랜드 가치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기업 이미지의 제고가 선행되어야 하며 브랜드 신뢰를 바탕으로 소비자 대안평가의 상대적 우위를 점유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향후 자산관리서비스 시장에서 증권회사와 고객과의 관계 형성에 이용될 수 있는 브랜드 관리의 구성적 모델을 제공하고 보다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형태로 발전시킬 수 있는 평가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성가족부는 2011년 10월부터 온라인게임에 대한 셧다운제를 실시하였다. 셧다운제는 게임 과몰입을 방지하고 청소년의 수면권을 보호하는 것을 정책 목표로 내세웠지만, 셧다운제가 과연 청소년들의 게임 과몰입을 해결할 수 있는지, 정책의 실효성 있는 집행이 가능한지에 대해 많은 반론이 존재하였다. 본 연구는 게이머와 비게이머간에 셧다운제 정책 효과에 대한 인식 차이가 존재하는지, 그리고 셧다운제의 실시가 게이머와 비게이머의 정부 신뢰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었는지를 살펴보도록 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게이머는 셧다운제에 대해 부정적으로 보고 정부신뢰가 감소되었으며, 비게이머들은 셧다운제를 긍정적으로 보고 정부신뢰가 증가되는 효과가 존재하였다. 즉 셧다운제는 비게이머들이 정책효과를 믿으면서 실시한 정책으로, 막상 정책대상자들인 게이머들은 정책 효과를 인정하지 않는 성격을 지니는 정책으로서의 특성을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