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연구개발스톡과 6개의 지식스톡(특허의 질적 가치)이 기업의 시장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포함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기업의 시장가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토빈Q 모형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402개 기업의 미국특허등록 108,851건(연 도관측치 2,795건)의 특허를 분석하였다. Hall모형의 확장 모형 분석결과, 연구개발스톡/자산, 청구항스톡/특허스톡, 인용스톡/특허스톡 등이 기업의 시장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수준이 높진 않지만 피인용스톡/특허스톡, 발명자스톡/특허스톡 등 도 기업의 시장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특허경영시대에 특허의 질적 수준 고도화와 특허의 가치 제고를 위한 정책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한국의 현행 규제영향분석과정이 기술규제의 중요한 특성들을 반영 하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기술규제영향평가 차원에서 규제영향분석의 적절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기술규제에 대한 분석 틀을 도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정부부처가 제출한 규제영향분 석서의 적절성에 대한 분석⋅평가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규제의 기술적 타당성], [국내 기 술규범 부합성], [국제 기술규범 부합성], [적합성평가의 타당성]의 관점에서 각 부처가 현행 규제영향분석서에 기재한 사항을 객관적 사실, 대체분석 가능, 전문가적 판단가능 등을 고려 하여 “적절”하다고 판단된 경우는 23.4%에 불과하였고, 각 부처별로도 특별한 차별성은 없었다. 규제 속성에 따른 규제영향분석서의 적절성을 검토해 본 결과, 사회적 규제와 간접적 규제들의 속성을 갖고 있는 기술규제에 대한 규제영향분석서의 적절성이 다소 높았다. 종합하면 실질적 의미의 기술규제영향평가를 수행하기에 현재 우리나라 규제영향분석서 수준은 상 당히 미흡한 편으로 나타났다. 즉, 각 부처가 기술규제를 도입하면서, 해당 규제의 기술적 속성에 대한 이해가 완전하지 않은 것일 수 있다는 것이다. 과학기술적 근거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규제영향분석서는 해당 기술규제에 대한 타당성을 과장하여 여타의 규제 대안에 대 한 진지한 검토를 저해하는 한편, 글로벌 경쟁체제에서 기업과 국민의 경쟁력 확보를 방해하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을 것이다.
Among the Vietnamese customs of early 20th century, besides the documentation written in Sino, there were also not a small number of documentation written in Nôm. To use Nôm script was with a clear purpose for “the ease of the people’s reading and understanding”. Nevertheless, there was a fact that in these documentation written by Nôm, Sinowas also appeared quite a lot. Sino script was used in many levels: word, Phrase, Sentence,Paragraph. Why Sino still appeared in Nôm documentation, while the editors themselves wanted to use Nôm for the readers’ easy understanding, and furthermore in the history context of Vietnamese society, it was the period of Sino declining? In addition to the too great impact of Sino language in Vietnamese language, were there any other reasons for that? Through the studying, the writer has found that the 4 said above levels were not used randomly, instead each level was used in one or some specified cases. The use of Sino in here was formed by 2 reasons: Habit; The fact that Sino was still psychologically more respected than Nôm, this was not erased in the conception of the editors.
본 연구의 목적은 ‘곤느빌 이야기’가 프랑스의 남방대륙 탐사와 지도에 미친 영향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먼저 ‘곤느빌 이야기’의 시대적 배경이 되는 16세기의 프랑스의 아메리카 탐사와 포프리니에르가 주장한 제3세계의 탐사 계획에 대해 살펴보았다. 17세기에 폴미에는 곤느빌의 탐사를 언급하면서 프랑스가 제3세계를 탐사하여 식민지로 만들 것을 주장했으며, 일부 프랑스 지도에 곤느빌의 땅이 그려졌다. 남방대륙이 표시된 세계지도와 과학이론을 근거로 18세기까지 곤느빌의 땅을 찾기 위한 프랑스의 탐사가 이어졌으며,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이전에 곤느빌의 땅을 지도에 표시하지 않았던 왕실지리학자 부아쉬 역시 곤느빌의 땅을 표기했다. 곤느빌의 땅은 대체로 앵무새의 땅 동편에 그려졌지만, 제임스 쿡의 항해 이후에는 지도상에서 사라졌다. 곤느빌의 땅은 지도가 사회적 구성의 산물이라는 것을 확인시켜주는 전형적인 사례이다.
1995년 WTO 체제가 출범한 이후 전통적인 무역장벽 이외에 기술규정, 표준 및 적합성평가절차 등과 같은 비관세 기술장벽이 국가 간 교역의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무역기술장벽의 제거에 필요한 기술기반을 마련하기 위하여 국가측정표준기관 (NMIs) 간에 체결된 국제도량형위원회 상호인정협정(CIPM MRA)의 이행이 한국의 교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국가측정표준의 동등성에 관한 자료인 CMC 를 대용변수(proxy)로 중력모형을 활용하여 실증분석한 결과, CMC는 한국의 교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득이 높은 국가의 CMC가 낮은 국가에 비하여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와 같이 무역의존도가 높은 국가의 경우, 공공재로 인식되고 있는 국가측정표준의 확립과 향상을 위하여 지속적인 자원투입을 하는 것이 경제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시 연구자가 이전기술의 사업화 과정에 참여 하여 이전된 기술의 발명 과정에서 습득한 노하우를 전수하는 것이 사업화 성공에 미치는 영향 을 분석하였다. ETRI(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의 2014년 기술 이전 계약건중 설문조사에 응답한 204건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종속변수가 범주형 변수일 때 특정 사건의 발생(성공 또는 미성공) 가능성을 예측하는 통계기법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기술이전이후 사업화 지원의 강도가 이전된 기술의 사업화 성공 여부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공연구기관중 최대 규모의 기술이 전 및 사업화지원 실적을 보유하고 있는 ETRI의 사례를 통한 실증분석 결과라는데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정부 및 공공연구기관의 중소기업 지원 정책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LS-DYNA 971 을 이용하여 내빙 구조 선박과 빙산 모형 간의 충돌 시험을 수행 후 북극해 운항 선박의 내빙 능력을 분석하였다. 국제선급연합회(IACS)의 Unified Requirements for Polar ship(URI) 규정을 바탕으로 FEM 선박 모형에 내빙 구조를 적용하였으며, 빙산 모형에는 Elastic-perfect plastic 물성과 Tsai-Wu 항복 곡면을 적용하였다. 또한 실험 결과 비교를 위하여 내빙 구조를 갖추지 않은 일반 선박 모형과의 충돌 시험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일반 구조 선박의 구형 선수에 빙산 모형에 의해 움푹 들어간 약 1.8 미터 깊이의 선체 손상이 발생하였으나, 내빙 구조 선박의 충돌에서는 약 1.0 미터 깊이의 선체 손상만이 발생하였다. 또한 일반 구조 선박과 충돌한 빙산모형은 원형의 상태를 거의 유지한 반면, 내빙 구조 선박과 충돌한 빙산 모형은 내빙 구조의 구형 선수에 의해 빙산이 일부 파괴되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impact on self-satisfaction of shopping tendencies and purchase behaviors for luxury goods.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survey method using questionnair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emale consumers from 20 to years old with a high pusrchasing capability for luxury goods. Using the statistics program SPSS 21.0,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ne-way ANOVA, and multiple-regression analysis were executed.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below. For shopping tendency depending on ages, pleasure pursuit tendency showed insignificant difference in 40~50s, but significant difference in 20~30s. For the self-satisfaction, the interpersonal satisfaction showed the difference by age group, which was much higher in the respondents in 30~50s than those in 20s. Individuality pursuit tendency and rational shopping tendency had impact on self-satisfaction and rational shopping tendency on interpersonal satisfaction in 20s. Pleasure pursuit tendency and rational shopping tendency had impact on self-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and pleasure pursuit tendency on the economic satisfaction in 30s. Pleasure pursuit tendency had impact on self-satisfaction and economic satisfaction and rational satisfaction on interpersonal satisfaction in 40s. Pleasure pursuit tendency and rational shopping tendency had impact on self-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in 50s. High quality had impact on self-satisfaction and economic satisfaction and practicality on interpersonal satisfaction in 20s. High quality had impact on self-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in 30s. High quality had impact on interpersonal satisfaction in 40s. High quality had impact on all elements of self-satisfaction for the respondents in 50s, practicality had negative impact on interpersonal satisfaction.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wo different feeding systems on blood metabolites in Holstein heifers and analyze the economic impacts of the feeding systems. The following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eding system on blood metabolite changes in Holstein heifers and analyze the economic impacts of the two systems. In experiment 1, the effects of two different feeding systems on cortisol, progesterone, and estradiol in Holstein heifers were examined. In experiment 2, the effects of two different feeding systems on the body weights of Holstein heifers and profitability of the two feeding systems were studied. Results showed that the pasture-raised heifers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 in the levels of blood cortisol (p<0.05) and increases in the levels of progesterone and estradiol (p>0.05) when compared with heifers raised in indoor feeding system. The average daily gain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indoor-raised heifers (0.73 kg/day) as compared to pasture-raised heifers (0.58 kg/day). Also, 25.2% more profits were obtained from the pasture feeding system as compared to the indoor feeding system. These results together would be useful in the investigation of feeding system and growth performance in dairy cattle.
본 연구는 대학입학전형 사교육 영향을 평가함으로써 공교육을 촉진 또는 저해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공교육 정상화를 도모하는 전형방법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K대학교 재학생 34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응답자의 72.3%는 사교육 경험이 있으며 지역별로는 서울시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정시전형이나 논술우수자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은 사교육 의존도가 타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수학 과목은 타 과목보다 사교육 유발요 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교육에 많이 노출되어 있는 수능과 논술에 대한 대학입 학 전형방법의 개선과 함께, 고교생활 가운데 학습의 결손을 막을 수 있는 적극적인 대책이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사고의 위기가 국내 해양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새로운 사고 위기는 세계 해상운송에서 새롭거나 드물게 또는 예측하지 못한 사건들로부터 유추한 것으로 사전 연구에서 46명의 전문가를 통해서 식별한 것이다. 새로운 해양사고의 위기를 식별하기 위하여 해양안전심판원(KMST)의 통계 데이터를 계산에 사용하였고, IMO의 공식안정성평가기법인 위기지수(RI) = 빈도지수(FI) + 심각성지수(SI)의 개념을 계산에 적용하였다. 통계적인 사고 데이터로부터 FI와 SI의 가중치를 계산한 후 가장 순위가 높은 시나리오를 식별하고 새로운 사고 위기와 시나리오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장 순위가 높은 시나리오의 근본적인 원인은 “첨단기술 개발”이었고, 그 결과 “화물 작업 시간 단축”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전 연구에서 46명의 전문가에 의해 식별한 “영업 경쟁” 및 “선원 문제” 등과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셜 비디오 플랫폼 환경에서 동영상 기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동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와 타인 들 간의 관계가 사용자의 긍정적 감정과 사회적 소속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해당 연구에서는 사 회 충격 이론(Social Impact Theory)과 자기 점검 이론(Self-Monitoring Theory)이라는 심리학 이론을 토대로 동영상 기반의 새로운 상호작용 수단을 활용한 대안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동영상 기반의 소셜 비디오 플랫폼 환경을 구축 하여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ANOVA 분석 결과, 동영상을 보는 환경에서 타인의 모습이 실시간으로 보일 때, 또는 나 자신의 얼굴이 화면에 함께 제시될 때, 그렇지 않을 때 보다 사용자는 긍정적인 감정과 사회적 소속감을 더 크게 느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위의 두 조건이 동시에 제공될 때가 그렇지 않을 때보다 사용자들이 느끼는 긍정적 감정의 증가 폭이 더 컸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궁극적으로 새로운 소셜 비디오 플랫폼의 형태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수온 상승에 따른 조류 등 이취미 물질의 증가, 미량 유해물질의 검출로 인해 기존 여과 공정으로 시민들의 수질 기대조건을 충족할 수 없기 때문에 오존+활 성탄 등의 고도정수처리 공정의 도입이 활성화되었으며, 이미 대도시, 광역단위 에는 고도정수처리 공정 도입이 완료된 상황이다. 대부분의 국내 정수장의 여과 공정은 급속 모래여과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년간 막여과 공정이 등장하여 여과 공정에 따른 후단 오존+활성탄 공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서울시 Y 정수장에 설치된 고도정수처리 파일럿 플랜트 를 활용하여 고도정수처리 공정에 모래여과수와 막여과수가 유입되었을 경우 수질 및 제거율의 변화와 활성탄 표면 변화를 관찰하였고 이를 통해 막여과 정수처리 공정 도입 필요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종사원들의 동료관계가 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영양사, 조리사, 조리원들을 대상으로 동료관계와 생활의 질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의 주 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종사원의 생 활의 질 33개 문항을 요인분석 실시하여 위탁급식운영 병원 급식종사원들의 생활의 질은 직원몰입, 직무조절, 직무환경, 가정-일 관계, 직원 및 경력만족으로 총 5개 요인으로 구분 되었다.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7개 요인으로 제시되었으나 직 원몰입(Employee engagement)과 직무조절(Control at work) 의 문항이 같은 성분으로 구분되었으며, 직무환경(Working condition)과 직업 및 경력만족(Job and Career satisfaction) 이 같은 성분으로 구분되었다. 병원위탁급식 종사원들의 동 료관계에 관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 9문항 중 협력 적인 동료관계와 경쟁적인 동료관계로 분류되었다.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종사원들의 동료관계가 생활의 질 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협력적 동료관계가 직원몰입 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동료관계가 직무스트레 스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협력적인 동료관계가 직무스 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료관계가 가정-일 관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협력적인 동 료관계가 직무환경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협 력적인 동료관계를 통해 생성된 심리적 안전감이 직무환경 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동료관계가 일반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협력적인 동료관계 가 일반적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종사원의 직군별(영양사, 조리사, 조리원)로 동료관계가 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본 연구는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종사원들의 동료관계가 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영양사, 조리사, 조리원들을 대상으로 동료관계와 생활의 질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의 주 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종사원의 생 활의 질 33개 문항을 요인분석 실시하여 위탁급식운영 병원 급식종사원들의 생활의 질은 직원몰입, 직무조절, 직무환경, 가정-일 관계, 직원 및 경력만족으로 총 5개 요인으로 구분 되었다.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7개 요인으로 제시되었으나 직 원몰입(Employee engagement)과 직무조절(Control at work) 의 문항이 같은 성분으로 구분되었으며, 직무환경(Working condition)과 직업 및 경력만족(Job and Career satisfaction) 이 같은 성분으로 구분되었다. 병원위탁급식 종사원들의 동 료관계에 관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 9문항 중 협력 적인 동료관계와 경쟁적인 동료관계로 분류되었다.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종사원들의 동료관계가 생활의 질 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협력적 동료관계가 직원몰입 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동료관계가 직무스트레 스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협력적인 동료관계가 직무스 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료관계가 가정-일 관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협력적인 동 료관계가 직무환경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협 력적인 동료관계를 통해 생성된 심리적 안전감이 직무환경 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동료관계가 일반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협력적인 동료관계 가 일반적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종사원의 직군별(영양사, 조리사, 조리원)로 동료관계가 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혁신클러스터인 대덕연구개발특구를 대상으로 혁신클러스터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제도적⋅물리적⋅사회적 구성요인으로 구분하여 고찰한 사례연구이다.
특히 이들 구성요인은 지난 15년간 대덕연구개발특구의 변화와 발전을 통해 성장에 영향 을 미쳐왔으며, 향후에도 지속적 발전에 중요한 영향요인이 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보완적으로 대덕특구의 혁신활동에 있어서의 혁신주체들의 위상 변화 및 환경, 제도 ⋅정책변화 등을 제도적⋅물리적⋅사회적 구성요인 측면에서 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도출된 대덕특구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요인에 대해 AHP분석 방법을 통해 내부 혁신 주체들이 인식하는 중요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대덕특구를 대상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혁신클러스터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요소들을 제시하고 그 중요도를 도출함으로써 지역혁신 및 혁신클러스터 정책적 시사점 을 제공한다.
기업의 생존력과 경쟁력을 위하여 기술혁신을 지속적이고 장기적으로 추구하 고 추진하려는 기업의 전반적인 사고방향을 나타내는 기술혁신지향성의 중요성이 대두하고 있다. 기술혁신지향성이 기업의 지속적인 경쟁우위 확보에 개념적으로나 실무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지만, 기업의 성공적인 기술혁신과 성과를 위한 기술혁신지향성의 역할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현재까지 제한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기술혁신지향성에 대한 기존 연 구의 미비점을 인지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술혁신지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업 내외부 의 핵심적인 요인들을 선택하여, 선행요인들과 기술혁신지향성 및 기술혁신지향성 사이의 상 황관계를 나타내는 연구모델과 가설들을 제안하고 이를 실증분석 하였다. 제안된 연구모델 에서 선택된 기술혁신지향성의 선행요인들은 최고경영자의 기술기능 직무경력과 기능 간 상호통합(cross-functional integration)의 두 내부요인과 환경 불확실성과 경쟁강도의 두 외부 요인을 포함하였고 이 요인들이 결과적으로 기술혁신지향성을 매개로 기업의 기술혁신성과 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이 연구모델에서는 환경 불확실성과 경쟁강도의 두 환경요인이 기술혁신지향성과 기술혁신성과 사이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제시하였다. 86개의 국내 IT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최고경영자의 기 술기능 직무경력, 기능 간 상호통합, 그리고 환경 불확실성이 기업의 기술혁신지향성에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치고 기술혁신지향성이 기업의 기술혁신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또한, 환경 불확실성은 기업의 기술혁신지향성과 기술혁신성과간의 관계를 긍 정적으로 조절하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제시하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의 중요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