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3

        21.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elon thrips, Thrips palmi Karny (Thysanoptera: Thripidae) is a worldwide polyphagous pest. The management of this pest have mainly relied on chemical agents. However, the overuse is harmful to the environment and results in insects resistance. Therefore, alternative eco-friendly control methods that have different mode of action, such as biological control, are necessary to overcome the current issue. In this study, we isolated entomopathogenic fungi from Korean soil, and characterized them via morphological and molecular techniques and pathogenicity assay against Tenebrio molitor larvae. The isolated fungi were screened for virulence against T. palmi under laboratory conditions and the results were used to establish a thrips-pathogenic fungal library. The highly virulent isolates were selected and further characterized for optimum culture conditions and application as biopesticide in the field.
        22.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lobal biopesticide market was estimated to become about 4% of the total crop protection market in 2015, mainly due to variability of their efficacy, narrow spectrum or difficulties in long-term storage. Therefore, many people focus on overcoming these issues as a big trend. Suggested solutions include the investigation of synergy between microorganisms, the use of genetic engineering, improving the pesticide life shelf, etc. As a result, biopesticides market has grown by more than 17% over the last decade. In this context and aiming to develop new entomopathogenic fungi–based pest management tools, we constructed a fungal library by isolating insect pathogenic fungi from soil. A total of 581 isolates belonging to 35 species were isolated and characterized. Beauveria bassiana was the most abundant, representing 38.55% of the total strains, followed by Metharizium anisopliae (22.55%) and bubillosa (8.6). …% of the total isolates were highly virulent against Tenebrio molitor killing most of the treated insects in 2 to 3 days.
        2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red imported fire ant (Solenopsis invicta) is a species of ant native to South America. The fire ant was inadvertently introduced into USA, Australia, New Zealand, and other Asian countries including China and Taiwan. Since the first report of the fire ant in port city of Busan, Korea in 2017, it was found in many other cities of Korea in following year. To obtain the molecular information of this invasive species, total RNA was extracted from the abdominal segment of the ants collected in Incheon, and subjected to transcriptome sequencing. By using Illumina sequencer platform, 101 base pared-end sequencing generated 2 × 50,064,081 of raw reads to obtain 2 × 45.95 Gbase of quality filtered nucleotide sequences. The in silico cDNA library was constructed by Trinity de novo assembler followed by TransDecoder ORF finder and CD-HIT clustering program to streamline the library. The final version of cDNA library contains 20,442 contigs with protein coding capability. To survey the virome of this ant, these contigs were searched against the viral reference sequences from NCBI RefSeq database with BLASTN program. As a result, contigs which showed high sequence identities with several RNA viruses including previously reported SINV-2 were found from the fire ant. This virome information might give an idea of a shift of virological environment of this newly found ant isolate or population in Korea.
        2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rips is one of the serious insect pests in many economic crops, in which general managements rely mainly on chemical insecticides. However, the overuse of chemicals led to the development of insect resistance and environmental residual issues. Therefore, thrips management requires the consideration of alternative strategies which are less harmful to the environment and working on different target points. In this work, we isolated entomopathogenic fungi from soil, and identified them with morphological and molecular biology methods, followed by a preliminary virulence assay against Tenebrio molitor larvae. Selected fungal isolates were adjusted to 1×107 conidia/ml for an indoor virulence assay against thrips adults, and highly virulent isolates were added to a thrip-pathogenic fungal library.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efficacious isolates were investigated comparing to a previously commercialized fungal isolate. This entomopathogenic fungal library could be used as a valuable resource for developing effective strains to control thrips in agricultural fields.
        26.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hitefly has a broad host range of more than 600 species, and 40 biotypes have been reported worldwide. Among the various ecological types, B and Q are the most problematic. Especially, Biotype Q, which causes serious damage in the green house, mediates more than 40 kinds of viruses, including Tomato yellow leaf cull virus (TYLCV). The development of resistance to whitefly, adverse effects on non-target organisms, and strengthened legal regulations are making chemical control difficult in application. For these reasons, the use of alternative strategies is needed to suppress the Biotype Q whitefly population. Entomopathogenic fungi were investigated and developed to control hard-control insect pest, such as whitefly. These fungi are natural pathogen of their invertebrate host and contribute to the regulation of their host population in the environment. In addition, these agents are typically harmless to humans and non-targeted organisms and do not adversely impact the environment. Therefore, in this study, we screened pathogenic fungi against whitefly using our entomopathogenic fungal library, and virulence tests were conducted with conoidal suspension (1×107conidia/ml) in laboratory conditions. As a result, 10 isolates showed 80-100% mortality at 5 days after treatment. We will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fungal isolates and evaluate their potential as insecticides against whitefly. The selected isolates against the high mortality of whiteflies can be effectively used in integrated pest management programs for whiteflies.
        27.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형공간을 대상으로 시선추적 실험을 실시하고, 성별에 나타난 동공의 주시특성을 분석하였다. 시선추적 실험 시간의 흐름에서 생겨나는 동공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성별 주시행태를 객관적이면서도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틀을 제시했다. 나아가 동공의 크기가 안정적으로 변하는 시간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정리하였는데 성별에 따른 시지각 정보 획득 시간의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여자가 남자보다 1~2초 정도 늦게 관심과 흥미요소를 시각정보로서 받아들이기 시작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초기 「1초→2초」에서 남자는 도약, 여자는 고정에서 동공크기가 확대되었다. 또한 고정 주시에 국한하여 성별 변화율을 보면 9초를 전환점으로 해서 9초 이하 시간에서는 여자가, 9초 이후 시간에서는 남자의 동공크기가 더 커졌다. 즉 1-8초 시간에서는 여자가, 10-15초 범위에서는 남자가 상대적으로 더 큰 동공확대를 통해 시지각 정보를 획득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주시시간의 시간의 변화에 따라 여자의 동공크기가 더 크게 확대된 것에서부터 여자의 경우가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관심이나 흥미가 있는 요소를 더 많이 주시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했다.
        4,600원
        28.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현재 국내에 서식하는 곤충병원선충에 대한 라이브러리 사업이 계획되고 있다. 이 과정 중에 현재까지 Steinernema와 Heterorhabditis 속에 속한 12 분류군을 정리하고 있다. 이 가운데 7 분류군이 증식되었고 4 분류군이 선충과 공생세균의 동정이 실시되고 있다. 이들 4 분류군은 모두 Steinernema 속한 종으로 판단된다. 이들 Steinernema 선충의 감염태는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5 령 유충에 대해서 차등성있는 살충력을 나타내어 유전적 차이를 암시하였다.
        29.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에 서식하는 곤충병원선충 유래 공생세균에 대한 라이브러리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 과정 중에 현재까지 4 분류군의 공생세균이 감염된 곤충의 혈림프로 부터 분리되었다. 생화학 특성 분석 결과 이들 세균은 모두 장내세균의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이들 모두는 파밤나방에 대한 높은 살충력을 지녔으며 Xenorhabdus 속의 균주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이들의 종 동정은 16S rDNA 서열을 바탕으로 확인하였고, 이러한 동정 결과는 이들 세균의 성장에 이용되는 탄소원 특성으로 뒷받침하였다. 현재까지 동정 결과는 X. bovienii 한 종이 이들 공생세균에 포함되어 있다.
        30.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elon thrips, Thrips palmi Karny (Thysanoptera: Thripidae) is a serious insect pest of various crops in the world. The management of this pest mainly have relied on chemical agents. However, the overuse of chemical agents for long times causes insect resistance, and negative effects on environment. Therefore, alternative control methods, such as biological control, that are less harmful to the environment and have different mode of action are needed to control this pest. In this study, we isolated entomopathogenic fungi from Korean soil, and characterized them via morphological and molecular identifications and pathogenicity check against Tenebrio molitor larvae. The isolated fungi were subjected to virulence assay against T. Palmi with a conidial suspension of 1×107 conidia/ml in laboratory conditions. This entomopathogenic fungi library would be a good resource to select effective strains for the control of T. palmi in fields.
        31.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IM 설계에서 라이브러리의 구축 및 활용은 매우 중요하다. 기존 컨텐츠의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설계를 보다 효과적이 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건축분야와 달리 토목분야, 특히 철도시설분야에서는 라이브러리의 구축 및 표준화가 미진하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철도시설분야에 3차원 객체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표준화하고자 한다. 철도시설물 분류체계 및 관련도면을 수집 및 분석한다. 분석된 표준도면의 항목과 분류체계 항목을 매칭하였다. 각 항목별로 라이브러리가 필요한지 여부와 그럴 경우 어떤 소프트웨어가 적절한지를 검토하였다. 사용가능한 소프트웨어는 주로 Civil 3D와 Revit 등으로 나타 났다. 향후 이를 바탕으로 철도인프라 3차원 라이브러리의 속성 항목 및 명세서를 설계하고 라이브러리를 구축할 예정이다
        4,000원
        32.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퓌비 드 샤반느는 1895년-1896년 보스턴 공공 도서관을 위해 벽화 9점을 제작, 설치 했다. 보스턴 공공 도서관에 설치된 <계몽의 천재를 환영하는 뮤즈들>과 <시, 철학, 역 사, 과학> 벽화는 퓌비의 벽화 작품 가운데 미국이 소장하고 있는 유일한 공공 벽화이 며, 프랑스 벽화의 미국 정착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프랑스 아카데미의 중심에 있 던 퓌비 벽화의 개념, 양식, 기법 등은 두 가지 경로로 미국 미술가들에게 전파되었다. 퓌비의 벽화 미술은 첫째, 파리에서 유학한 학생들이 직접 접한 경험과 둘째, 보스턴 공 공 도서관 벽화를 통해 전파되었다. 특히 보스턴 공공 도서관 벽화 구성법은 미국 미술 가들에게 유럽 대륙으로 가지 않더라도 에콜 데 보자르식의 벽화를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면서 인물 구성, 테마의 적용, 알레고리와 상징의 사용 등 많은 영향을 끼쳤다. 미국 벽화가들은 퓌비 벽화의 알레고리 재현 방식을 따랐다. 퓌비의 알레고리 회화 들은 1846년과 1848년 두 차례의 이탈리아 여행을 통해서 본 이탈리아 미술의 영향 때 문이다. 초기 아메리칸 르네상스 벽화가들은 창백한 톤, 평화로운 아카디아 풍경, 주름 옷을 입은 인물 등에서 퓌비의 테크닉을 따라했다. 퓌비는 보스턴 공공 도서관 벽화를 의뢰받았을 때, 벽화를 구성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에 대해 고민했다. 퓌비는 토머스 에디슨이 발명한 전기가 미국에서는 가장 중요 한 요소라고 보았다. 퓌비는 바로 이 전기가 가장 미국적인 발명품이라는데 공감했으 며, 보스턴 공공 도서관 벽화에서 미국의 산업과 테크놀로지를 통한 미국적 가치관을 강화하고자 했다. 미국 벽화가들은 퓌비가 묘사한 테크놀로지 테마에서 고전주의가 아 닌 현실을 묘사할 수 있다는 용기를 얻었으며, 미국의 산업 발전에서 미국적 정체성을 발견했다.
        5,800원
        33.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s various games played by Internet broadcasting jockey “Big Library” who professionally broadcasts video game playing. Due to the rapid developments of new media, the era that Internet BJs independently broadcast on their own channel has dawned and it has become popular. Among diverse genres, currently game has been the most popular in Internet broadcasting. Specifically, this study chooses “Big Library”, one of popular Internet game broadcasting Jockeys as a case study. Big Library has broadcasted video game playing on his own Afreeca TV channel, and he also uploaded those recorded videos on his YouTube channel. By visiting his YouTube channel, it examines 1) Genre 2) Nationality 3) Number of Episodes 4) Number of Hit (Popular Games) of games played by him. Throughout this study, it explores traits of games that Big Library has played, and further discusses the future of the new media industry in South Korea.
        4,300원
        34.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a comparative study on a cookbook published in 1900s titled「Jusikbangmun」, one of collections of the National Central Library, along with other cookery books in Joseon Dynasty in the late 1800s to early 1900s. 「Jusikbangmun」consists of 51 recipes, including 45 kinds of staple foods and six kinds of brews. More than 60% of the recipes deal with staple dishes and side-dishes, whereas the rest deal with ceremonial dishes and drinking. The 「Jusikbangmun」applies a composite method of cooking from boiling and steaming to seasoning with oil spices. The ingredients are largely meats rather than vegetables, which is distinguished other cookery books in the Joseon Dynasty. Only 「Jusikbangmun」deals with such peculiar recipes as ‘Kanmagitang’, ‘Bookyengsumyentang’, ‘Jeryukpyen’, ‘Yangsopyen’, and ‘Dalgihye’. It is estimated that 「Jusikbangmun」was published around the 1900s based on findings that 「Jusikbangmun」is more similar with「Buinpilgi」and「Joseonyorijebeop」in the early 1900s than with「Kyuhapchongseo」, 「Siyijenseo」and「Jusiksieui」in 1800s. Therefore,「Jusikbangmun」is a valuable resource, we can use understand the food culture of the late Joseon period.
        5,400원
        36.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Varroa destructor is a devastating ectoparasitic mite which attacks Honeybee, Apis mellifera. V. destructor feeds on honeybee hemolymph, and often harbors small RNA viruses such as the deformed wing virus to transmit these viruses in the infested bee hive. To survey the genes of V. destructor, total RNA was subjected to high-throughput transcriptome sequencing to construct in silico cDNA library by using the Illumina HiSeq 2000 platform. Total of 2×107,748,792 paired-end short reads were obtained and quality filtered reads were subjected to Trinity de novo assembler followed by TransDecoder, and CD-HIT program to make a V. destructor reference cDNA library containing 28,023 of clustered contigs with protein coding capacity. These cDNA sequences will help us to understand the molecular biology of V. destructor.
        37.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화진딧물의 방제에 RNA interference(RNAi)를 이용하여 새로운 시각으로 새로운 방제를 시도하고자 한다. RNAi를 이용하여 목화진딧물의 방제에 이용할 target유전자들을 선발하기 위하여 gateway system을 이용한 목화진딧물 cDNA library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RNAi에 적합한 약 100~400bp의 insert를 확인하였으며, blast search 및 EST database 비교분석 결과, 목화진딧물 관련 유전자임을 확인하였고, 최종적으로 8.4x105 titer의 목화진딧물 cDNA library를 완성하였다. 이러한 cDNA library는 att site를 가지는 TRV(Tobacco rattle virus) RNA2 vector에 LR recombination한 다음 Agrobacterium tumefacience(GV2260)에 transformation하였다. Agro-infiltration을 통하여 RNAi기작이 진단된 오이 에 목화진딧물을 접종하여 섭식시켰다. 섭식을 통한 살충 또는 기피효과를 bio-assay함으로써 target유전자를 선발하는 데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9.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무당벌레는 진딧물, 깍지벌레, 응애와 같은 연조직으로 된 곤충에 대한 천적으로써 생물적 방제인자로 잘 알려져 있는 유익한 곤충이다. 그러나 무당벌레의 유전자 기능은 거의 연구되지 않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RNA interference(RNAi)를 통해 무당벌레의 유전자 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RNAi에 적용하기 위해 gateway system을 이용하여 무당벌레 cDNA library를 제작하였고, 그 결과 4.43x104 titer의 무당벌레 cDNA library를 완성하였다. cDNA library의 임의의 유전자들은 transcription vector인 LITMUS 28i vector의 T7 promoter를 이용하여 dsRNA로 합성한 후, 무당벌레 4령 유충에 주입하여 표현형 변이가 나타나는 개체들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스크리닝으로 성충 시기에 표현형의 변이가 나타나는 임의의 유전자들은 추후에 race를 통해 유전자의 전체 시퀀스를 알아내어 유전자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무당벌레뿐 만 아니라 다른 곤충 내의 유전자 기능 분석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보기술 발전과 함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 같은 터치스크린 기반의 다양한 휴대용 디바이스가 보급 및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기기들은 탭(tab)이나 핀치(pinch)와 같은 단순하고 직관적인 터치 제스처를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기기 사용자의 지도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접근성 및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제스처 라이브러리를 구현하여 터치 제스처, 에어 제스처, 조이스틱 제스처 등이 웹지도 제어에 사용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제스처 라이브러리의 가용성 평가를 위하여 프로토타 입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여 다양한 제스처 인터페이스의 동작이 원활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현한 제스처 라이브러리는 개발자가 사용하기에 편리한 형태의 객체 및 함수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웹지도와의 연동만으로도 다양한 제스처 인터페이스를 갖춘 지도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또한 현재까지 지도 인터페이스로서는 제안되지 않은 형태의 다양한 제스처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향후 HTML5 기반으로 확장하여 모바일 운영체제 비의존적인 라이브러리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