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6

        181.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의 목적은 SonoVue를 이용하여 장비 간 MI 값 및 시간 변화에 따른 관계를 유추해 보고, 신호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비교 장비 모두 MI 값 증가에 따라 초기에 강한 신호 값을 보였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장비 간 신호 값은 RS85A의 MI 0.1의 조건의 10분경과를 제외한 모든 조건에서 신호 감소를 보였다. 장비 간 비교에서 EPI Q7, RS85A, E9순으로 높은 값이 나왔고, RS85A와 E9의 SNR과 CNR의 정량적 평가에서 모두 p-value<0.05 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EPIQ7에서의 MI 값의 SNR을 제외한 CNR과 시간에 따른 SNR, CNR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를 통해 조영 증강 초음파 검사에 있어 낮은 MI 값 (MI<0.5)이더라도 장비 간 신호 강도 차이가 있으므로 MI 값과 시간을 조절하여 검사하는 것이 권고된다.
        182.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array 코일을 이용한 검사 시 코일의 위치변화에 따른 신호강도를 측정하여 영상의 신호강도가 급격히 저하되지 않는 기준 방향과 거리를 제시함으로써, 동일선상에 코일들이 위치하지 않았을 경우 신호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개선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두 부분으로 나눠져 있는 array 코일에 multi-purpose MRI 팬텀을 위치시킨 다음 array 코일의 앞부분을 상, 하, 좌, 우 네 방향으로 중심에서 2 cm씩 10 cm 까지 이동하며 영상을 획득한 후 신호강도를 측정하여 비교평가 하였다. 연구결과, T1, T2 강조영상 모두 상 방향을 제외한 하 방향과 좌, 우 방향의 위치변화가 2 cm 이내인 경우 기준 신호강도인 중심의 신호강도와 유의한 차이가 없어 동일한 신호강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array 코일을 이용한 검사 시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동일선상에 코일들을 위치시킬 수 없을 경우 상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의 위치변화를 중심에서 2 cm 이내로 설정한다면 위치변화로 인해 신호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184.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늘어나는 CT 조영제 주입 검사만큼이나 환자의 심리적 불안감은 물론 검사자인 방사선사 또한 조영제 부작용과 혈관 외 유출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조영증강 CT 검사 시에 무선신호기를 사용하여 조영제 사용에 대한 환자와 방사선사의 불안감과 두려움 등의 심리적 불안해소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고자 CT 검사 후에 무선신호기에 대한 환자와 방사선사의 만족도조사를 설문을 통해 실시하였다. 또한 무선신호기를 사용함으로써 CT 검사 시 발생할 수 있는 조영제 부작용에 대한 방사선사의 신속한 대처와 혈관 외 유출 예방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실험대상은 2017년 8월~11월 4개월간 전남에 소재한 C대학병원을 방문하여 CT를 시행한 20세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CT 검사 시행 후 연구에 동의하는 환자 90명을 설문조사하였다. 그 중 남자 57, 여자 33명이다. 방사선사는 CT실에서 근무하며 무선신호기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무선신호기를 사용 전 환자 만족도는 6.01±0.88, 사용 후 환자 만족도는 8.20±1.06으로 사용 전보다 만족도가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용 후 방사선사 만족도는 8.46±1.06으로 환자만족도 평균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두군 모두 만족도가 8점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무선신호기 사용에 따른 심리적 안정 기여도는 과거 부작용 유경험자에서 8.98±0.65, 무경험자 8.00±1.21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무선신호기의 호출로 방사선사의 신속한 대처를 하는데 도움을 주고 환자와 방사선사에게도 불안감으로부터 심리적 안정을 주어 검사만족도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185.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large extracellular domain of glycoprotein hormone receptors is a unique feature within the G protein-coupled receptors (GPCRs) family. After interaction with the hormone, the receptor becomes coupled to Gs, which, in turn stimulates adenylyl cyclase and the production of cAMP. Potential phosphorylation sites exist in the C-terminal region of GPCRs. The experiments described herein represent attempts to determine the functions of the eel follicle-stimulating hormone receptor (eelFSHR). We constructed a mutant of eelFSHR, in which the C-terminal cytoplasmic tail was truncated at residue 614 (eelFSHR-t614). The eelFSHR-t614 lacked all potential phosphorylation sites present in the C-terminal region of eelFSHR. In order to obtain the eelFSHR ligand, we produced recombinant follicle-stimulating hormone (rec-eelFSHβ/α) in the CHO-suspension cells. The expression level was 2-3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transient expression of eelFSH in attached CHO-K1 cells. The molecular weight of the rec-eelFSHβ/α protein was identified to be approximately 34 kDa. The cells expressing eelFSHR-t614 showed an increase in agonist-induced cAMP responsiveness. The maximal cAMP responses of cells expressing eelFSHR-t614 were lower than those of cells expressing eelFSHR-wild type (eelFSHR-WT). The EC50 following C-terminal deletion in CHO-K1 cells was approximately 60.4% of that of eelFSHR-WT. The maximal response in eelFSHR-t614 cells was also drastically lower than that of eelFSHR-WT. We also found similar results in PathHunter Parental cells expressing β-arrestin. Thus, these data provide evidence that the truncation of the C-terminal cytoplasmic tail phosphorylation sites in the eelFSHR greatly decreased cAMP responsiveness and maximal response in both CHO-K1 cells and Path-Hunter Parental cells expressing β-arrestin.
        186.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recombinant equine chorionic gonadotropin (rec-eCGβ/α) exhibits both folliclestimulating hormone (FSH) and luteinizing hormone (LH)-like activities in rat LHR- and FSHR-expressing cells. In this study, we analyzed signal transduction by eelFSHR and eelLHR upon stimulation with rec-eCGβ/α and native eCG. The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cAMP) stimulation in CHO-K1 cells expressing eelLHR was determined upon exposure to different doses (0–1,450 ng/mL) of rec-eCGβ/α and native eCG. The EC50 values of rec-eCGβ/α and native eCG were 172.4 and 786.6 ng/mL, respectively. The activity of rec-eCGβ/α was higher than that of native eCG. However, signal transduction in the CHO PathHunter Parental cells expressing eelFSHR was not enhanced by stimulation with both agonist rec-eCGβ/α and native eCG. We concluded that rec-eCGβ/α and native eCG were completely active in cells expressing eelLHR, similar to the activity in the mammalian cells expressing LHRs. However, rec-eCGβ/α and native eCG did not invoke any signaling response in the cells expressing eelFSHR. These results suggest that eCG has a potent activity in cells expressing eelLHR. Thus, we also suggest that rec-eCGβ/α can induce eel maturation by administering gonadotropic reagents (LH), such as salmon pituitary extract.
        187.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운산업은 파생적 수요의 특성으로 대외적 요인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 하지만, 공급 측면은 이러한 수요의 변화에 즉각적으로 대 응할 수 없는 특성 때문에 해운산업은 호황과 불황을 거듭하게 된다. 그러므로 정부는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조기경보모형을 구축해 시 장을 모니터링하고 다가올 위험을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신호접근법을 사용해 조기경보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위기지수는 BDI를 사용해 정의하였으며 금융, 경제, 선박 등 다양한 선행지수를 활용해 종합선행지수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종합선행지수가 해운분야의 실제 위기지수와 비교해 4개월의 시차를 두고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QPS(Quadratic Probability Score)가 0.37로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188.
        201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꿈의 암치료기라고 불리는 중입자 치료는 환자의 암세포에 입사하여 암세포만을 사멸하고 사라지는데 이때 중성자 및 감마선이 발생되어 치료실 내 영상장비, 그 밖의 전자장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중입자 치료시설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약 2,000억 원 가량의 예산이 필요하며 구축기간도 5년 이상 소요된다. 따 라서 구축 전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치료실 내 선량 분포에 대해 관찰하여 적절한 대비를 하 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툴인 FLUKA를 이용하여 중입자 치료 시 치료실 내 선량분포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1분 치료 시 치료실 내에는 약 0.1 mSv에서 2 pSv 정도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파악되었다.
        189.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BA는 식물에서 비 생물학적 스트레스 내성에 관여하는 중 요한 식물 호르몬이다. 애기장대의 group A bZIP 전사인자는 ABA 신호전달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벼에서는 group A bZIP 전사인자의 기능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우리는 벼에서 group A bZIP 전사인자인 OsABF3 (Oryza sativa ABA responsive element binding factor 3)를 연 구하였다. 이를 위해 벼의 다양한 조직과 다양한 스트레스(가 뭄, 염분, 저온, ABA, 산화 스트레스)에 따른 OsABF3 발현 패턴을 분석하였다. 또한 maize의 원형질체에서 GFP fusion 벡터를 사용한 세포 내 위치 분석을 통해 OsABF3가 핵단백질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Yeast one-hybrid 실험을 통해 OsABF3의 Cterminal 부분이 ABREs에 결합한다는 것과 N-terminal 부분 이 하위 유전자의 transactivation 하는데 필요하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그리고 T-DNA가 삽입된 OsABF3의 homozygous 돌연변이체가 야생형과 과발현체에 비해 발아와 발아 후 단계 에서 고농도의 ABA에 대한 민감도가 더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종합해 볼 때 OsABF3는 ABA의 의존적인 경로를 통해 비 생물학적 스트레스에 반응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전사 조절자이다. 또한 OsABF3의 transactivation을 측정하는 실험에 있어서 억제 domain이 존 재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190.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모바일 게임 플랫폼에서 게임 품질에 대한 정보의 비대칭을 해결하기 위해 게임이용자들이 사용하는 시그널에 대한 질적 연구이다. 시그널 이론을 바탕으로 인터넷 문화기술지 방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로 시그널 유형에는 플랫폼 기반의 소비자 참여도가 높은 시그널, 플랫폼 기반의 소비자 참여도가 낮은 시그널, 게임회사 기반의 소비자 참여도가 높은 시그널, 게임회사 기반의 소비자 참여도가 낮은 시그널이 있다. 시그널을 이용한 게임 이용자들의 의사결정의 특징은 첫째, 순위와 다운로드 수는 게임이용자들의 판단의 기준이 되며 둘째, 게임 마케팅 플랫폼은 또 하나의 시그널이 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게임이용자가 선호하는 시그널은 게임이용 목적이나 행태에 따라 다르다는 것이다.
        191.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차량용 강우센서는 강우에 따라 와이퍼의 동작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따라서 강수의 많고 적음을 대략적으로 판단하여 와이퍼의 속 도단계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하지만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강우센서의 성능이 개선됨에 따라 와이퍼의 속도단계 결정 외에 강우량의 크기를 좀 더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입자로 인한 빛의 산란을 이용한 강우계측 방법을 이용하였다. 센서에서 광 신호를 보내고 전면부 유리창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광신호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물방울 입자가 커지면 빛의 산란으로 센서의 광 감지량이 줄어들 게 된다. 강우량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강우센서의 검지면적과 검지채널을 기존 강우센서에 비해 크게 확장하였다. 또한 센서의 감지 신호 (Signal)를 강우량으로 환산하기 위하여 실내 강우발생 실험 장치를 이용하여 와이퍼의 속도단계(W)에 따른 특정 강우(R) 발생시 센서 감지량(S) 과의 관계를 이용한 W-S-R 관계식을 개발하였다. 이 관계식을 통하여 차량 강우센서의 신호체계를 실제 강우량으로 환산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 다면 차량관측망이 강우측정망이 되어 실제 강우측정망보다 고해상도의 강우정보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92.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반영한 감성 컴퓨팅 게임을 개발하였다. 생체 신호 측 정을 위해 GSR(Galvanic Skin Response), FSR(Force Sensing Resistor), 온도 센서(Infrared Thermometer)를 장착한 마우스를 제작하였다. 해당 마우스를 통해 게임을 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비침투적으로 측정한다. 측정된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처리되어 사용자의 긴장도를 3단 계로 구분하며 구분된 긴장도는 반영되어 NPC(Non-Player Character)의 정서 반응과 스토리 분기의 변화를 가능하게 한다. NPC의 반응과 스토리 분기의 제작을 위해 Live 2d, Inkle Script 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이용한 감성 컴퓨팅 게임 제작에 하나의 방법론을 제시한다.
        193.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verify the displacement estimation method which is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displacement and strain, static and dynamic field test are performed on the real bridge structures. Static and dynamic displacements estimated by using strain signal are well agreed with measured one by LVDT.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displacement estimation method using strain signal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displacement measurement of bridge structures, which are crossing the river/road/railway or have high clearance.
        194.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minimum threshold for the signal to noise ratio (SNRmin) has to be set in the data processing system of wind profiler radar (WPR). The data collection rate and the accuracy of the WPR wind vector depend on the SNRmin. The WPR at Uljin is operated with an SNRmin of 1 dB which is a relatively large threshold. We found that the accuracy and the continuity of the WPR wind vector with height were directly related to the variability of the SNR and vertical gradient of the squared refractive index. We investigated a quantitative method for determining a new SNRmin for the WPR at Uljin and it was evaluated with radiosonde data. The accuracy and continuity of the wind vector from an SNR of less than 1 dB, began to decrease at an altitude of 3.5 km. Most of the SNR values were less than –3.5 dB in altitudes higher than 3.5 km. We retrieved high-accuracy wind vectors at altitudes over 3 km where measurements were deficient with an SNRmin of 1 dB.
        195.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뇌줄기 확산강조영상검사 시 뒤틀림을 줄이기 위한 SS-TSE 기법의 신호대잡음비 감소를 수치 적으로 정량화하여, 낮은 신호대잡음비로 인한 SS-TSE 기법의 문제점을 지적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20 15년 7월부터 10월까지 뇌줄기 확산강조영상검사를 검사한 3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기존의 SS-EPI 기법 과 SS-TSE 기법을 적용하여 기법별 숨뇌의 신호대잡음비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b=0 영상의 신호대잡음 비는 새로운 SS-TSE 기법(314.41±42.96) 적용 시 SS-EPI 기법(514.84±48.97) 보다 38.9% 감소하였으며, b=1,0 00 영상의 경우도 SS-TSE 기법(117.33±14.04) 적용 시 SS-EPI 기법(208.65±25.70) 보다 43.8%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미세 병변을 진단하기 위한 뇌줄기의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 검사 시 뒤틀림을 줄이기 위해 SS-TSE 기법을 적용할 경우 신호대잡음비가 저하됨으로 기존의 SS-EPI 기법이나 MS-EPI 기법을 병행하여 검사하는 것이 진단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196.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has been considering cable stayed bridge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purpose . To monitor the bridge, 6 different locations (like 2 points from deck, 2 points from pylon, 1 points from side span and 1 points from girder) were introduce to find the satellite signal received from the GPS antenna. According to the World Geodetic System 1984(WGS-84) coordinate system, the GPS station signal was measured in the 6 observed points. After that, Statistical moment analysis is applied to assess the condition of those 6 position of this long span bridge. Finally, the Statistical moment analysis results clearly indicate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long span bridge at 6 different locations. The time series statistical moments really able to detect the damage condition and localization of the long span bridge.
        197.
        2015.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하나인 여성호르몬 에스트로젠은 난소에서 생성되어 혈관을 통해 표적 세포에 도달하여 단순확산에 의해 표적세포 내로 들어가, 표적세포의 핵 내에 존재하는 전사인자인 에스트로젠 수용체를 통하여 표적 유전자의 전사 활성도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그 기능을 나타낸다. 1960년대 후반에 에스트로젠 수용체 알파가 분리되고, 1996년에 스웨덴의 Gustafsson 그룹에 의해 에스트로젠 수용체 베타가 발견되면서 연구에 많은 진척을 가져왔다. 에스트로젠 수용체 연구분야에 에스트로젠에 대한 연구는 생식기능 이외에도 심혈관 질환, 뇌질환, 골다공증 등과 같은 만성 퇴행성 질환 및 유아 청소년의 발달과도 연관이 되어 있어 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체 중에서도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다. 분자적 수준에서의 에스트로젠 수용체의 작용기전의 이해는 에스트로젠에 의한 많은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큰 역할을 하고 있으며,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환경 호르몬에 의한 건강 관리 문제에도 사회적으로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에스트로젠 수용체 전사 조절 기전과 에스트로젠과 구조가 유사한 환경 호르몬의 작용 기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환경 호르몬의 스크리닝 기법과 국소적인 여성호르몬 합성을 통한 내분비 교란 등을 통하여 환경호르몬이 유방암, 전립선암, 조기폐경, 성조숙증에 미치는 최근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자 한다.
        198.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immediate early gene c-fos has long been known as a molecular marker of neural activity. The neuron's activity is transformed into intracellular calcium influx through NMDA receptors and L-type voltage sensitive calcium channels. For the transcription of c-fos, neural activity should be strong enough to activate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signaling pathway which shows low calcium sensitivity. Upon translation, the auto-inhibition by Fos protein regulates basal Fos expression. The pattern of external stimuli and the valence of the stimulus to the animal change Fos signal, thus the signal reflects learning and memory aspects. Understanding the features of multiple components regulating Fos signaling is necessary for the optimal generation and interpretation of Fos signal.
        199.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PS 모듈을 탑재한 모바일 단말기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코드의사거리를 측위에 사용하므로 반송파 위상을 사용하는 GPS 수신기에 비해 정확도가 낮다. 특히 다중경로신호는 반송파 위상 수신기에 비해 측위 결과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므로 다중경로신호를 검출 하여 측위에서 제거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다중경로신호의 검출을 위해 위성의 신호세기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초기 분석을 수행하였다. 개활지환경에서 GPS 위성의 고도각이 증가함에 따라 신호세기가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주변에 장애물이 있는 지역에서는 시선방향에 차폐요소가 있는 위성의 신호세기가 감쇄되어 기록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현상이 GPS 위성이 동일 궤도를 지날 때에도 반복되어 발생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위성의 재현시간을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GPS 위성 신호세기 변동 특성은 위성이 궤도상 의 동일 위치를 지날 때에도 거의 완벽하게 재현되었고, 이 현상이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관측 환경에 의해 거의 완벽히 재현되는 결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신호세기를 이용한 다중경로신호의 검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200.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광역보정시스템은 GPS와 같은 위성항법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정확성, 무결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고안된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 는 개발된 의사위성 기반의 광역보정시스템의 전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고, 후처리 기반으로 상용 수신기에 대하여 성능 테스트를 수행하는 실험 방법 및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정정보 생성을 위하여 총 5개의 NDGPS 기준국에서 수집되는 데이터가 활용되었으며 이를 광역기준 국, 중앙처리국 소프트웨어에서 처리하였다. 생성된 보정정보는 SP3, IONEX 데이터와 비교하여 정확도를 테스트하였다. 상용 수신기 실험에서 는 사용자의 RF 신호를 수집, 보정정보를 생성하였으며, 이후에 RF신호와 보정정보가 실린 의사위성 신호를 동시에 방송하여 테스트를 수행하 였다. 테스트는 3대의 상용수신기를 활용하여 수행되었으며 MSAS, GPS 단독 측위 수신기와 비교하여 성능을 검증하였다. 각 수신기의 위치 해 출력 결과로부터 위치오차를 비교하였으며 보정정보를 적용함으로써 향상된 위치해가 출력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