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龍崗秦簡 第11~22簡, 第68簡, 第181簡의 내용에 대해 해독을 시도하였다. 이 14매의 죽간이 담고 있는 대략의 내용은 禁苑과 관련한 秦법률인 秦苑律에 대한 기록이다. 秦苑律은 상당히 엄격하게 시행되었는데 금원의 출입과 관련하여 위법 행 위를 한 자는 무거운 형벌에 처해졌음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해독 작업을 통해 秦代 사회와 법률, 언어와 문자에 대해 한층 더 깊게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고 는 龍崗秦簡 第11~22簡·68簡·181簡의 기존 연구에 충분한 예증을 찾아 보충하거나 誤釋 부분에 대해서는 정정 의견을 제시하는 등, 기존 연구 성과를 토대로 문자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보다 심도있는 고찰을 진행하였다.
“Grassroots literature” is different from “elite literature” and “popular literature”. The main bodies of elite literature and popular literature are intellectual elites or professional writers, while “grassroot literature” mainly refers to the works created by amateur writers out of hobbies. In addition to this meaning, the “grassroots” writing of Chinese in Quebec also emphasizes the process of reflecting things, expressing thoughts and feelings, convey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realizing communication through description. The collection of works studied in this article is a collection of novels published by the Quebec Chinese Writers Association in Quebec. It can be found that the intended readers of these two works are Chinese living in Canada. There are imaginations of each other in the works, and they have a strong local presence. Therefore, their attitude towards life is assimilated and actively involved in local life. This kind of local awareness is not to get the mainstream society's identification with oneself, but to love Canada from the heart.
In 1950-60s, anti-communism prevailed in Thailand. In order to effectively implement anti-communism, Thai government had anti-Chinese measures and censorship system. During that time, many Chinese Newspapers and publishers were forced to close , and some Sino-Thai writers were sent to prison. For continuing the development of Sino-Thai literature, writers had published works abroad, and Hong Kong was the main publishing place due to loose immigration policy and publishing conditions. Because of the British colonial policy and the Cold War structure, Hong Kong not only became a Chinese publishing base, but also a place of imagination for the West and consumer culture. This study tries to focus on three important and representative Sino-Thai novels, which were Chen Din’s Ladies of Sampeng Lane, Shih Qing’s Bo Zhe, and solitaire novel Feng Yu Yaowarat which were written by nine authors, discuss what kind of cultural conditions and resources does Hong Kong provide to Sino-Thai literature, and how does Sino-Thai novels respond to or imagine Hong Kong in their stories? This study regards Sino-Thai literature as a kind of Chinese literature (Hua-wen-wen-xu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ontext of ‘pure Chinese’ and full of small and different Thai characteristics. Moreover, at the story level, these three novels reflect the rich faces of Sino-Thai communities, and at the publishing level, they represent the successful attempts of Sino-Thai literature to break through the predicament during the Cold War. 저
The first thing that the word “memory” brings to mind is a kind of pure, internal phenomenon of the human body. However, memory is not something that can only be explained by the body’s autonomous ability or control system, but is rather a more external issue. Jan Assmann considered that while it was the individual who had the memory, this memory was under the influence of society. Memories exist and persist in interaction. People’s memories contain not only the content exchanged during interactions, but also what is placed in the frame of collective memory. “Cultural memory” is a term increasingly used in literary studies. This paper selects the literary genre of novels characterized by fiction storytelling, elaborating on how the overseas Chinese writers revealed cultural elements in collective memory through three short Chinese literary stories serialized in the 1960s. It also shows the new relationship between these cultural elemen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hese novels positively contributed to the recollec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overseas Chinese population, by using collective memory as the core transmission method. 저
샤오헤이(小黑)는 대표적인 1990년대 말레이시아 화인 화문 작가이다. 본고의 분석 대상은 그가 단기간에 가장 많은 작품을 발표하고 평단의 주목을 받았던 1990년대 대표작이 수록된 여정의 종결이다. 샤오헤이 작품의 가치는 다종족·다문화 사회라 는 환경적 자원을 활용하여 ‘화인이라는 집단적 자아’를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었 다는 데 의미가 있다. 왜냐하면 이러한 작업은 말레이시아 화인이 물려받은 한정된 문화적 유산을 곧이곧대로 복제하지 않고 재구성하고 전유하여, 국가 공용어가 아닌 소수언어(minor language)인 화문으로 창작해야 하는 열악한 환경 속에서 이뤄낸 것 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샤오헤이의 자기 공동체 속에서 이방인-되기는, 말레이 시아 화문 문학이 기존의 정체성 즉, 상상된 중국 문화 정체성에 자신을 동일시하는 것과 달리, 화인들의 고통과 역사적 체험을 공유하지만, 그러면서도 보다 개방적인 변혁을 구상하고자 하는 일면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일례가 된다. 이것이 바로 ‘작 은 문학(small literature)’ 즉, 뛰어난 거장이 부재하고 문화적 유산이 곤궁한 환경에서 창작된 문학이 가지고 있는 의의이다.
건국 70여 년 동안 세계가 주목하는 성과를 거둔 중국의 변화 중에서도, 특히 5년 마다 어떤 계획과 새로운 목표를 내놓을 것인지에 대해 각국 정부와 학계는 이를 집 중적으로 분석하고 연구하는 것을 중요한 과제로 삼는다. 2021년은 중국의 ‘제14차 5 개년 규획’이 시작되는 해다. 이 5년간의 발전 과정에서 중국은 ‘국내 대순환을 주체 로, 국내와 국제 이중 순환이 상호 촉진하는 새로운 발전 구도’의 발전 모델을 제시 했다. 본문은 ‘쌍순환’이라는 새로운 발전 구도가 제기된 배경, 중국에서 ‘쌍순환’을 실행함에 있어서 존재하는 문제점과 대책, 중한 양국이 제14차 5개년 규획 기간 중 이행 가능한 협력의 방향을 논술하였다. 중국의 ‘쌍순환’이라는 새로운 발전 구도는 중한 양국의 협력에 넓은 지평을 열게 할 것이다. 중한 양국은 손을 맞잡고 함께 발 전하여 세계 경제의 빠른 회복과 발전을 위해 기여해야 한다.
코로나19 이후 중국경제의 잠재적 리스크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그 가운데 하나가 부동산 리스크이다. 중국의 중소도시는 신도시 개발 붐과 함께 팔리지 않는 주택재고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를 중국 사회에서는 유령도시라 부른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유령도시인 간쑤성의 란저우신구를 통해 유령도시의 현황을 파악하고 유령 도시 해소를 위한 지방정부의 정책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었다. 연구결과, 주택 재 고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인구유입을 위한 장책의 보완과 거주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청일전쟁 후 국방건설에서 뚜렷한 특징 가운데 하나는 서양을 모델로 배우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일본을 새로운 모델로 삼으려는 노력이 있었다는 사실이다. 짧은 기간 동안에 일본의 제도를 참고해 군사 기구를 재정비하거나, 일본에서 새로운 군 함이나 무기를 구입하거나, 일본인 군사 교습을 초빙해 중국의 군사학교에 파견한 일 등이 그것이다. 청국 관신(官臣)들은 일본 측 요청으로 일본군 군사훈련을 관람했 을 뿐만 아니라 병기공장과 군사학교를 참관하면서 학제, 설비, 교과 내용 등을 파악 하였다. 그들이 방문한 군사와 교육 관련 기관단체의 소개와 설명이 동유일기(東遊日 記)에 고스란히 담겨있다. 따라서 동유일기는 청국인의 일본 시찰 뿐만 아니라 일본유학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본문에서는 우선 군사 시찰(육군, 해군) 현황을 간단히 살펴보고, 군사 유학(육군, 해군)을 중심으로 정리 분석하였다.
The social changes in the Yuan Dynasty had a decisive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Chinese literati's seal cutting art. The Yuan Dynasty under the Mongols' rule had a big blow to the entire Han culture, and many aspects including the traditional social hierarchy, order, and concepts were obviously impacted (Fu Haibo & Cui Ruide 1998). Affected by this influence, the art of literati seal cutting realized aesthetic consciousness. The practice of literati seal cutting has also transitioned from the initial design of the seal surface to the whole process of design and production. And these changes are directly related to the change of people's mentality under the social background of the Yuan Dynasty. This article is mainly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mainly discusses the current mainstream views in the academic circles about the formation time of literati seal cutting art, and reveals the rationality of the formation of literati seal cutting in the Yuan Dynasty through analysis. The second part mainly discusses the root cause of the formation of literati seal cutting in the Yuan Dynasty. This article believes that the real factor that promoted the formation of the seal cutting of the literati in the Yuan Dynasty is the change of the people's mentality under the background of the changes of times. When the literati participated in the practice of seal cutting, there was no ideological burden, and it was possible to realize whether they were doing this as a career or merely responding to their inner aesthetic appeal. The appearance of seal cutters, seal cutting theories, and seal cutting works indicate the formation of the true sense of the art of seal cutting by literati
The new type of comprehensive Life Encyclopaedia that appeared in the Ming Wanli years were close to the folks and life, and the enthusiastic publishing lasted for two to three hundred years and preserved the first-hand information on social life at that time. owadays, such books are scattered all over the world, and it is particularly inconvenient to search for them. Therefore, the academic circle lacks research results on the overall investigation of their origin and evolution, which causes some difficulties for researchers to use such literature.By systematically combing the editions of Life Encyclopaedia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ifferent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content changes of Life Encyclopaedia in different time periods, and reveals that after the late Ming Dynasty, Life Encyclopaedia gradually form a unified form from the initial diversified editions. In order to control the cost and increase the sales volume, the volume of such books is decreasing gradually.In terms of content, the Life Encyclopaedia use has been constantly changing its specific content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imes and needs, and in the reign of Emperor Qianlong of the Qing Dynasty, Emperor Guangxu of the Qing Dynasty and the early years of the Republic of China, the content of the book was revised three times.
중국 인터넷문학은 20여 년의 발전 동안 문학을 넘어 애니메이션, 영화, 드라마, 게임 등의 원천 텍스트의 IP로 발전해 왔다. 특히, 2020년 중국 인터넷문학의 대표기 업인 ‘웨원그룹’을 둘러싼 일련의 사건들은 관련 업계의 조정과 전환을 노정한다. 20 20년 연초에 방영된 <2019웨원창작문학풍운성전>은 단순한 온라인 구독에 의존했던 운영 방식에서 벗어나 판권운영을 통한 수익 창출이 중국 인터넷문학 업계의 성장동력이 되었음을 보여준다면, 2020년 4월 말부터 5월 초까지 온라인을 뜨겁게 달군 웨원그룹의 고위경영진 사퇴와 ‘신계약’ 논쟁은 인터넷문학 업계의 경영방침 변화가 표면화되어 일어난 갈등으로, 인터넷문학 창작, 이용 환경의 변화와 이용자의 세대교 체 등과 연관되어 있다. 이는 웨원이란 대형 플랫폼에 대항해 작가와 이용자들은 목 소리를 내어 창작과 소비의 결정권을 수호한 사건이었으며, 플랫폼 역시 이에 반응 해 중국 인터넷문학의 묶은 문제점을 해소하고 새로운 도약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했다.
21세기를 시작으로 세계 각국은 고유의 문화산업 모델을 구축하기 시작했으며, 문 화상품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국가 간 유통과 소비가 증가하였고, 한 나라의 문화산업 발전 수준은 국가의 소프트 파워를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가 되었다. 한·중 문화 교류 과정에서 한류는 중국에서 많은 인기를 얻었다. 반면 중국의 문화콘텐츠는 한국의 주류문화로 인식될 수 없는 상황에서 한류의 성공은 중국 문화산업의 육성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현재 중국의 외적 하드파워와 비교하면 중국의 소프트 파워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중국 정부도 미디어 산업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이것은 또한 중국의 TV 드라마 저작권의 대규모 수출에서 볼 수 있으며 중국의 문화산업이 발전하는 과정에서 한국 진출과 수용에 대한 담론은 필요하다.
By comparing the Northeast “Errenzhuan” with Chinese traditional opera, this paper studies the content, performance form and ontological attributes of the ”Errenzhuan“ art. On this basis, it expounds Errenzhuan's challenge against Chinese opera traditions in the development process. We believe that ”Northeast Errenzhuan“ belongs to a category of Chinese opera.In terms of ideological content, the Chinese Errenzhuan does not follow the moral constraints of the Chinese traditional opera culture, and manifests itself as a challenge to the traditional order and morals.In terms of artistic expression, it possesses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operas such as fictitiousness and stylization. However, its distinctive regional cultural characteristics make it constantly break through the inherent framework of traditional Chinese opera. In terms of content and theme, ”Northeast Errenzhuan“ broke through the moral constraints and cultural aesthetics of traditional opera. In terms of artistic expression, boldly realistic and emphasizing interaction, overturning the fixed performance mode of traditional opera. The main purpose of ”Erren Zhuan“ for the challenge and innovation of traditional opera is for its own survival and development. 저
이 글은 1980년대 중국 문학이 아이트마토프의 작품을 수용하는 각종 양상과 차이 를 분석함으로써, 1980년대 중국 문학이 당시의 중국사회를 어떻게 이해하고 추동하 려 했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왕멍이 아이트마토프에게서 배운 것은, 문혁의 흔적이 뚜렷이 남아 있는 1980년대의 중국이 명징한 정치 인식과 정치로부터의 거리두기가 교차하는 지점에 대한 문학적 시험이었다. 장청즈는 소수민족적 풍토, 인도주의라는 동질감으로 아이트마토프를 수용했으며, 츠쯔젠은 현실 생활에 대한 아이트마토프의 시적인 시선에 주목했다. 루야오는 긍정적인 태도, 인도주의를 수용하면서도 고난에 대한 진지한 자세, 노동존중이라는 1950년대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전통을 견지한다. 1980년대 아이트마토프의 중국 수용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자장과 개혁의 여명이 중첩되는 시기라는 1980년대 중국 사회의 중층적 성격, 전환기적 성격에서 기인한다.
수췬(舒群)의 소설 「조국 없는 아이(沒有祖國的孩子)」는 일제가 식민지화 하고 있 는 조국을 버리고 간도-만주라는 이상향으로 새로운 삶을 찾아 떠나 힘들게 살아가 는 고려인(조선인)-궈리(果里)의 삶을 중심으로 묘사하고 있다. 소설의 배경인 간도- 만주의 공간은 유토피아가 아닌 소외와 낯설음의 공간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푸코의 ‘헤테로토피아’의 개념을 적용하여 공간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만주국 시기 일본은 페스트와 아편중독이라는 문제 해결을 위해 격리소와 집단부 락과 같은 공간을 설계한다. 이러한 공간은 표면적으로는 대다수 시민의 안전보장과 전염병 확산 방지, 중독자에 대한 치료 등을 내세우고 있었지만 실제로 그 기획 의 도나 운영 방식에 있어서는 제국주의 이데올로기의 폐쇄성과 폭력성을 다분히 드러 내는 곳이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사실을 토대로 만주국 시기 발생했던 전염병, 아 편중독과 같은 중대한 사회문제와 관련된 사항들을 되짚어보고 이를 통제하는 과정 에서 중국인과 조선인들의 민족적 위치가 어떻게 재편성되고 있는지에 주목한다. 특 히 구딩(古丁)과 현경준의 작품에 등장하는 ‘격리소’와 ‘보도소’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그 속에 내재한 제국주의 식민 이데올로기의 허상과 모순점에 대해 고찰한다
1924년 발표된 루쉰의 소설 「축복(祝福)」에는 유교와 민간신앙이라는 두 가지 전 통적 가치체계가 등장한다. 그리고 현대지식인을 대표하는 ‘나’는 이 두 전통적 가치 에 대해 관찰자적 입장에서 비판적인 시선으로 서술한다. 그러나 유교와 민간신앙 모두로부터 배제되어 절망한 샹린댁이 ‘나’에게 영혼과 지옥의 존재에 대해 묻는 순 간부터 ‘나’는 「축복」의 관찰자가 아니라 주인공이다. 샹린댁의 질문은 도와달라는 신호와 마찬가지였지만 ‘나’는 철저하게 외면한다. 뿐만 아니라 영혼의 존재에 대해 확실히 말하지 않으면서도 자신은 ‘축복’ 제의 속에서 천지신명의 존재를 느끼며 위 안을 얻는다. ‘나’는 샹린댁의 도움 요청을 외면함으로써 샹린댁의 비극에 책임이 있 는 가해자 중 한 사람이 된다.
본 고는 한중일 고전문학 속 여성의 향기의 이미지를 분석해 보고, 그 속에 반영 된 당시의 여성관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중일 삼국 모두 초기의 종교적 제례의식에 서 출발한 향기의 문화는 고전문학 속에서는 다양한 이미지를 지니며 여성만의 향기 로 발전시켜 나갔다. 먼저 여성에게 요구되었던 미모(美貌)와 성애(性愛)의 향기로 그려낸 ‘표면적 이미지’, 남성 중심 가부장 사회의 기준으로 재단(裁斷)된 효·열의 가 치를 추구하는 도덕적 향기로서의 ‘내면적 이미지’, 마지막으로 여성의 분신, 영혼의 일부로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거나 초기의 종교적 전통을 계승하여 신과 소통하는 신성성을 지닌 향기로서의 ‘초월적 이미지’가 있었다. 한중일 고전문학 속 여성들의 향기가 가부장 사회의 기준으로 정의되고 강요되는 수동적인 면도 있었지만, 여성들 은 자신들만의 방식으로 미적(美的), 윤리적 그리고 종교적 단계로까지 승화시키며 발전시켜 나갔다.
본 연구는 삼국연의 영어 번역사에서 중요한 위상을 지니는 번역가 브레위트-타 일러의 번역 성취에 대한 고찰이다. 영국인 브레위트-타일러는 1880년 중국으로 건 너가서 40년 동안 중국의 주요 도시에 머무르며 인재 양성과 해관 및 우정 업무에 종사했다. 그는 푸저우선정학당에서 후학을 양성하면서 틈틈이 삼국연의를 번역하 여 홍콩의 영문월간지 차이나 리뷰에 발표했다. 1888년부터 손책의 사망 고사, 좌 자 고사, 초선 고사 등 삼국연의 일부를 번역했으며, 삼국연의에 관한 평론도 썼 다. 그는 영국문화와의 유사성 속에서 삼국연의를 이해하고 받아들였으며, 서양인 의 독서 수월성을 위해 의역과 축약의 번역방법을 동원하여 가독성 높은 완역본을 만들어내었고, 1925년 양장본 형식으로 캘리앤웰시출판사에서 출판하였다.
The traditional Chinese thought of “encourage learning” promotes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the unique Chines encouraging learning proses. As “Guwenzhenbao”, which is still popular today and has influenced the sinological research and academic circles of Korea, China and Japan, Putting Encouraging learning proses in the position of the introduction of the first volume is of great significance to the spread and development of “Guwenzhenbao”. “Guwenzhenbao” as the representative textbook of the time, the first article encouraging learning proses was a literary genre whose main function was to encourage students to learn, which was not only a high concentration of emotion and reason, but also a unique combination of literature and education. The selected essays are mainly written by famous writers of the Tang and Song dynasties. This paper expounds the ideological connotation of persuasion from the three aspects of the scientific system: orientation, content and method of persuasion, and maximizes its effect. As a work of literature, “Guwenzhenbao”'s encouraging learning proses can combine the art of persuasion with the creation of literature. Its vivid character image, flexible theory mode and typical use of imagery form “Guwenzhenbao”'s encouraging learning proses unique literary expression and characteristic, and form a culture of persuading learning in th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In addition, the preamble of “Guwenzhenbao” suggests the study of literature in literary creation, social culture, education and other aspects of the value of The Times can not be ignored.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