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22

        601.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국어 동사 유의어 具有와 擁有를 중국어 말뭉치자료 BCC와 CCL의 통계를 활용하여 결합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具有의 주어는 사람과 사물 모두 사용이 가능한 반면, 擁有의 주어는 사람 위주이며, 국가, 정부, 시 등과 자주 결합한다. 具有의 목적어는 주로 성격, 성질, 속성 관련 명사이고, 擁有의 목적어는 구체적 명사 및 사람, 추상명사와도 결합된다. 具有의 목적어에는 사람이 올 수 없는 반면 擁有의 목적어에는 사람이 올 수 있다. 둘째, 정도부사와 부정부사와의 결합 을 살펴본 결과는 ‘不’은 具有 및 擁有와 결합되며, ‘沒有’와 ‘沒’의 경우 具有보다 擁有와의 결합비율이 높았다. 정도부사 ‘最’와 具有의 결합 비율이 가장 높았고, 擁有는 정도부사와의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유의어의 동태조사와의 결합을 살펴본 결과는 모두 ‘了’와의 결합비율이 높았다. ‘擁有+過’는 결합되지만 ‘具有+過’는 결합되지 않았다.
        6,900원
        602.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고는 『史記』중「本紀」,「世家」,「列傳」의 대화문을 대상으로 하여 그라이스(Grice)의 대화협력원리 이론을 통해 화자의 화용양상을 살펴보았다. 협력원리로 화자의 대화를 분석해 보면 화자의 의도가 표면적 사전중심의 의미만이 아닌 이면의 함축적 정보에 의해 청자에게 효과적인 메시지가 전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함축은 화용론에서는 특히 중요한 개념이다. 기존의 통사론과 의미론이 문장 혹은 표면적 연구에 머물러 있었다면 화용의 관점에서는 발 화를 통해 화자가 상대방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의도에 더 큰 비중을 둔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기존의 연구와 번역에서 청자에 해당하는 독자에게 제공된 表謙副詞 “竊”과 “伏”의 부족한 함축적 정보를 알아보고 고전원문의 직역이 아닌 자연스러운 한국어 번역으로써의 대안을 살펴보는 것이다.
        5,500원
        603.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에 유입된 한자어는 국어화한 보통명사, 고유명사, 새로운 개념어, 그 외 개별 음역 차 용어로 나눌 수 있다. 이들 중 국어화한 보통명사는 한국 한자음으로 표기하고, 개별 음역 차 용어는 단어마다 특유의 독음법이 정착하였다. 반면 고유명사와 새로운 개념어는 한국 한자 음과 중국 원지음을 기반으로 한 표기라는 두 가지 독음 방법 사이에서 혼란을 겪고 있다. 한자는 다른 외국어와 달리 국어의 영역에 있었으나 현대에 와서 외국어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한자어의 독음에 대한 논쟁은 이러한 인식 차이에서 기인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에 서 중국에서 유입된 한자어를 분류하고 그 독음 표기가 가지는 문화적 의미를 분석한다.
        4,900원
        604.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자는 우리 민족이 수천 년간 사용한 지식의 보고이자 유산이다. 우리의 음(音)과 훈(訓) 으로 이미 한국어에 녹아든 소중한 자산으로 우리의 의식구조, 문화 형성과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광복이후 한국어의 순수성에 중점을 둔 이상주의와 언어실상에 기반을 둔 현실주의의 대립은 문자정책의 혼란을 야기했고, 그 결과 젊은 세대의 언어문자 생활과 국어 능력에 큰 장애가 되었다. 이에 필자는 한국과 중국의 상용어를 중심으로 한국 한자어가 지 닌 의미 범주의 변화, 문체의 차이, 감정 색채의 차이, 자순의 변화, 한국 고유 한자어의 생성 등등의 여러 특징들을 살펴보고, 한글세대의 언어 능력의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한자에 대한 몇 가지 편견을 중심으로 한국에서 한자병용이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를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4,900원
        605.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일본에서 중국 지명과 인명을 어떻게 표기하고 읽는지에 대해서 한자문명의 공통자산으로서 한자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먼저 일본어 안에는 음성언어가 한자를 중심으로 한 문자언어와 상호보완적인 의존관계에 있음을 확인한다. 그리고 한자가 일본어 안에서 시니피앙(signifiant)으로서 갖는 위상과 기능을 검토하고 그것이 중국 고유명사를 어떻게 적고 읽을 것인지를 결정하는 문제와 직결됨을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근대 이후 일본에서 중국의 인명과 지명을 어떻게 표기하였으며 그것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하는 역사적 경위를 살펴본다. 또한 동아시아 한자 문화권 안의 서로 다른 언어권 간에 지명과 인명을 차용할 때에 한자음을 취할 것인가 현지음을 취할 것인가라는 문제의 성질에 대해서도 고민해 본다.
        5,100원
        606.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어떤 주장을 두고 그것을 비판적으로 종합하는 일은 인문학의 사회적 책무다. 그 책무를 다하려는 이 작업은 따라서 ‘중국어 원지음 표기와 한국어 정체성 보존’이라는 구체적 문제에 접근하는데 어떤 방법이 더 타당할지를, 또 이를 토대로 어떤 제언이 가능할지를 이론적으로 탐색한다. 주된 방법론적 틀은 수렴과 분기의 변증법적 관계설정으로 삼는다. 궁극적으로는 문화적 고정성과 유동성의 모순을 한쪽으로 환원·포섭하려는 이론 생산 및 논의 주체의 욕망을 들여다보려 애씀과 동시에 그것이 생성시킬 벡터의 정당성은 다름 아닌 대중문화의 향유 주체인 대중과 일상적 언어생활의 영위 주체인 언중의 억눌린 욕망이 해방되는 장을 상 정할 때 비로소 획득될 수 있다는 주장을 내어 놓으면서 또 다른 비판적 종합을 기다린다.
        5,800원
        607.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중국의 외국어 수용 방식에 대한 고찰이다. 논의는 수용 방식에 따라 중국어 어휘 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와 반대로 중국화를 통해 중국어 어휘로 잘 정착하는 경우를 나누어 다루고 있다. 부정적 기능을 하는 어휘는 일시적으로 어휘의 공백을 채우기 위해 생겨났지만 언중의 호응을 얻지 못해 사멸하는 경우와 여러 가지 변체로 인해 언어생활에 혼란을 일으키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중국화를 통해 잘 정착하는 어휘는 대체로 중국의 공식 서사체계인 한자의 본질인 표의 기능의 장점을 최대한 살려 언중에게 오래도록 애용됨으로써 토착화에 성공하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비록 중국의 사례에 대한 논의지만 음역어의 남용으로 정확한 맞춤법조차 알기 어려운 우리 언어생활에도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이다.
        5,500원
        608.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untries of Northeast Asia have close ties and wide range of links in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geography. These countries have abroad humanistic foundation.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o strengthen the regional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under the vision of building the community of a shared future for mankind. This is conducive to safeguarding peace and stability in Northeast Asia, safe guarding the overall interests of Northeast Asia, promoting the common development of Northeast Asia, and realizing the “the Beltand Road” initiative. The idea of building the community of a shared future for mankind opensa new way of thinking for regional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focus in gon strengthening economic cooperation an destablishing cooperation mechanisms; strengthening mutual trust of political security and maintaining regional peace and stability; dealing with non-traditional security issues and curbing extremism; building a common concept and deepening regional identity. Therefore, building the community of a shared future for mankind and promoting regional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can realize the overall realization of regional integration in Northeast Asia.
        4,600원
        609.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중국의 국제질서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시진핑 시기 중국의 외교정책데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중국 외교의 ‘변화’와 ‘지속’이라는 측면을 밝히고자 하였다. 전체적으로 시진핑 시기의 중국은 대외적으로 소위 핵심이익과 관련된 의제를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저비용의 안정적인 국제관계를 지향해 가야 하는 입장에 있다. 따라서 큰 틀에서 중국은 기존 지도부시기와의 연속성을 보여주고 있으나 조정적 국면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즉 시진핑 시기는 과거 어느 시기보다도 강한 자신감으로 피동적 대응에서 선명하고 적극적인 태세로 전환 하였다. 이것은 우선 외교목표 설정의 명확성에서 나타났다. 시진핑 시기의 중국은 인류문명 공동체와 신형국제관계 구축을 내세워 ‘중국 특색의 대국외교’를 제기 및 전개하고 있다. 둘째는 기존의 상호신뢰 강조에 비해 공동이익을 강조하였다. 셋째, ‘적극적인 유위관(積極的有 爲觀)’ 즉 역할론 강조이다. 향후 중국의 이러한 ‘분발외교’는 주변국가와의 ‘친(親), 성(誠), 혜 (惠), 용(容)’의 신뢰여부, 일대일로를 비롯한 글로벌 전략에서 강대국과의 이익의 조화여부 및 역내 문제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관건이 될 것이다.
        6,000원
        610.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류를 바라보는 두 개의 시선이 있다. 한국 문화산업의 성공신화로서 한류와 중국 문화안 보의 대상으로서 한류이다. 그리고 우리가 외면해 왔던 사실, 이 두 개의 시선은 반비례 관계 의 함수이다. 2016년 한국 내 사드배치 결정으로 촉발된 중국정부의 비공식적인 한류 규제정책 ‘한한령(限韓令)’은 1990년대 후반부터 중국정부의 한류에 대한 일관된 인식을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우리 문화산업의 성공신화인 한류는 중국 문화안보의 대상이었다. 중국의 문화안보 에는 타국 문화산업에 대한 ‘방어’와 중국문화산업의 대외적 ‘확산’이라는 두 측면이 있다. 이를 통해 한류는 중국정부에 의해 서구문화 확산에 대한 방어기제로 수용되었으며, 중국문화 산업의 대외적 확산을 위한 가이드 역할까지만 허용된 것이었다. 이처럼 우리 문화산업 성공 신화에 적혀 있지 않은 중국 문화안보의 시선을 전제하여야만, 단순 소비자에서 자본의 투자 자로, 그리고 통제자로서 한한령을 발동한 중국을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한류의 지속성장을 위한 탐색의 첫걸음이다.
        5,800원
        611.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nreasonable carbon BRICS appear in the process of economic growth in the emission of the negative externalities of the typical characteristics, needs under the government strong interference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In this paper, we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quality and economic development of the BRICS by using the semi parametric regression model, and explore the effective path to promote the coordinated development of economy and environment in the BRIC countries by introducing relevant control variables to determine the main influencing factors of EKC. The results show that: most of the BRIC countries in the environmental quality and economic growth in the presence of decoupling phenomenon; due to the industrial structure, urbanization and energy consumption and other aspects of the existence of irrational phenomenon to reduce the environmental quality; The promo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helps to improve environmental quality and promote economic development. The policy recommendations of this research is that the BRIC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quality of economic development and energy saving and emission reduction work, and should adopt the strong low-carbon technology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financial investment, promote the construction of ecological civilization, strengthen international cooperation, strengthen supervision and law enforcement efforts and other measures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4,500원
        612.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과 베트남에서 관료부패가 만연하고 있다. 이는 관료부패가 유일 정당인 공산당과 정부의 공신력을 와해시킬 뿐만 아니라, 나아가서 사회주의 국가 체제에까지 치명적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심각한 문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글은 동일한 공산당 일당 체제의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과 베트남에서 발생하고 있는 관료부패의 실태를 최근 발생한 주요 사례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에 대한 원인을 도출해보는 한편, 이를 상호 비교해 봄으로써 그것들이 갖는 공통점이 무엇인지를 고찰한다. 그리고 그로부터 궁극적으로 두 나라의 관료부패가 갖는 확연한 특징이 무엇인지도 파악해 본다. 이를 위해 필자는 관련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참고하는 것은 물론, 중국과 베트남의 공직부패 사례를 관련 조사 결과, 보도자료 등을 통해 종합, 분석하는 서술적 방법을 취한다.
        5,400원
        613.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sed on the relevant theories of campus culture, this paper takes the construction of universities in minority areas in China as well as the actual situation of the universities in the ethnic minority areas in China and the campus culture of neighboring countries as examples. The multi-cultural background of campus culture in ethnic minority areas is comprehensively analyzed. Through a large number of facts investigation and data research, the challenges, problems and measures to deal with campus culture construction are discussed and studied effectively. And make positive efforts to promote the construction of campus culture in ethnic minority area. Yanbian region is the main inhabited area of Korean nationality in China, which is located in the east of Jilin Province, bordering with Russia, North Korea, South Korea and Japan. It is the meeting point of the regional economy, population, and geographical center of gravity of Northeast Asia, and it is the hub for air, sea and land transport in Asia and Europe. Yanbian University is the only comprehensive university with distinct national characteristics in Yanbian area. Taking Yanbian University as the research object, it has certain representativeness to carry out the campus cultural construction under the multi cultural background, and also has certain reference function to the campus culture construction of the comprehensive universities in other ethnic regions. The conclusion will provide reference for strengthening the construction of campus culture in ethnic minority areas.
        4,000원
        614.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ow to make a Korean student who learns Chinese know China in no time? In this article, the author studies the Chinese cultural factors in four Chinese textbooks of the Korea high school, investigate the choosing, presenting and explaining of the cultural factors in language textbooks, also combines the experience of compiling the textbooks and teaching Chinese as second language pedagogy, the author proposes that ten central culture subjects should be put up in the basic Chinese textbooks, centering on the culture subjects, picking over some cultural factors which must have the representativeness, closing to students’ life, inspiring the interest in learning and the strong spirit of the times, all these would be presented in the way of culture pictures and vocabulary, adding some statements to further articulate the culture content, to help the students set up a full and actual cultural cognitive frame, and the culture pictures should be typical, multifarious and authentic, and the presentation modes should be in Korean, Pin Yin and Chinese character throughout the text, the statement should be simple and clear. This article emphasizes in the basic Chinese textbooks, and the high school Chinese textbooks should be more about matching the choosing, presenting and explaining of the local culture vocabulary, to help the students who learn Chinese accumulate local culture vocabulary and culture statement.
        6,600원
        615.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북아해역에서는 근대 이전에도 문화적 교류가 빈번하여 중국의 전통학문인 한학이 한반도와 일본에 수용되었다. 도쿠가와 막부시절 일본에 본격적으로 소개된 주자학은 조선과 중국본토를 통해서 들어와 짧은 시간에 큰 성장을 이루었고, 또 난학으로 대표되는 서양학문도 수용되었다. 이후 메이지시대를 맞이한 일본은 국민국가의 이데올로기로서 국학을 필요로 했고, 이 국학의 탄생과정에 서학과 한학이 길항하게 되었다. 근대 학문으로서 국학을 정립하려 했던 일본 지식인들은 근대 이전에 수용한 한학과 어떤 관계를 설정해야하며 또 어떤 내용을 담아야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에 놓이게 된다. 이것은 근대 학문으로서 일본에 중국학을 정립 하는 문제와 연결되었고, 이 과정에서 서구의 시놀로지를 참조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일본 중국학의 성립과정을 역사적으로 점검하고 현재 일본에서 중국학은 무엇을 지향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는 우리의 향후 중국학에 대한 전망에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5,500원
        616.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詞의 風格은 蘇軾에 와서 일변한다. 晩唐이래로 이어져 오던 婉約한 사풍이 소식에 와서 豪放하고 淸新한 풍격으로 바뀐다. 이렇게 사풍이 변하게 된 뒤에는 소식의 정치적 처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자신이 쓴 詩가 문제가 되어 ‘烏臺詩案’이란 筆禍를 겪게 된 소식은 시를 대신하여 詞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토로했다. ‘시를 쓰듯 사를 쓴다(以詩爲詞)’는 평가는 여기에서 나왔다. 소식은 당시 文人士大夫들의 관심의 대상이 아닌 사를 통해 貶謫으로 인한 복잡한 감회를 사를 통해 거침없이 쏟아내었다. 폄적으로 인한 여러 가지 복잡한 자신의 심경을 豪放하고, 淸麗하고, 超脫한 풍격의 사로 노래했다. 결과적으로 소식의 폄적은 전통의 婉約한 풍격의 사와는 다른 새로운 풍격의 사를 탄생시켰고 이는 다시 당시 문단에 영향을 주어 송대 詞風의 변화를 이끌었다.
        5,500원
        617.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本稿는 曾鞏의 시인으로서의 위상을 평가하는 단계의 일환으로, 그의 詠史詩 작품을 분석 대상으로 삼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曾鞏의 詠史詩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주제별로 크게 역사 인물에 대한 褒貶, 역사 사건에 대한 평가로 분류할 수가 있다. 曾鞏은 詠史詩 속에서 諸葛 亮, 管仲, 鮑叔牙, 伯夷, 叔齊 등의 忠臣과, 揚雄, 顔回, 子貢, 子思 등의 학자, 陶淵明, 李白 등 의 문인을 비롯한 역사 인물을 평가함으로써 北宋 당대에 교훈으로 삼고자 하였을 뿐만 아니라, 역사 인물의 인생역정을 반추하면서 자신을 省察하고자 하였다. 또한 曾鞏은 역사 사건과 역대 왕조의 파란만장한 흥망성쇠를 詠史詩의 중심 제재로 삼고, 객관적으로 평가함으로써 以史鑑今하고자 하였다. 曾鞏 詠史詩의 특징으로는 역사 인물이나 역사 사건을 짧은 편폭 속 에서 함축적으로 簡明하게 사실적으로 묘사한 점을 꼽을 수 있겠다.
        4,900원
        618.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rue Record of the Joseon Dynasty’ (1392-1863) is a historical document of the Joseon Dynasty which lasted 519 years with rulings of 27 kings in Korean history. This article examines this document to show how kings and bureaucrats of the Joseon Dynasty perceived works of Su Shi, a famous writer from the Song Dynasty. As a writer of the Song Dynasty, Su Shi had a negative view on the Goryeo Dynasty (918-1392) although his works were regarded as the best writings by the Goryeo and Joseon scholars. All the Joseon bureaucrats read and learnt Su Shi’s works. Naturally, the Joseon bureaucrats of the royal palace often cited Su Shi’s writings. Many of the Joseon bureaucrats memorized Su Shi’s “A suggestion recommendation to Shenzong Emperor.” This contained some details of bureaucrats’ suggestions to their emperor regarding state administration. For instance, one of the most cited phrase was that it was important duty of bureaucrats to raise their formal counsel to the emperor. Also, Su Shi was often cited whe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various national events’ proceedings. Beside these, Su Shi’s view point and ideas had a great influence on Joseon bureaucrats. However, Since the Joseon Dynasty was the center of Neo-Confucianism, however, the idea of Su Shi was somewhat rejected. For this reason, some bureaucrats expressed their explicit objection against Su Shi’s works. On the contrary thinkers such as Wang Anshi and Zhu Xi, who were loyal to the kingship, were respected. It was found in this article that quotations of Wang Anshi and Zhi Xi were used much more frequent than Su Shi’s quotations in conversations between kings and their servants. In this regard, it can be said that the Joseon Dynasty bureaucrats knew about Su Shi’s works, but they had an antipathy toward his ideas.
        4,200원
        619.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서유기』이전 출간되어 나온 관련 문헌을 통하여 사오정 형상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고, 이어 『서유기』속에 묘사된 그의 형상과 특징을 분석하여 그의 역할과 의미를 고찰한 논문이다. 이전 문헌을 통하여 사오정 형상의 변천 과정을 살펴본 뒤, 이어 사오정의 이름과 거주지 유사하, 형상, 생애 등을 고찰하여 그의 내력과 특징을 개괄했다. 그리고 마지막으 로 『서유기』 스토리에 나타난 사오정의 특징과 역할 그리고 오행의 上生相剋說에 나타난 그의 특징과 역할을 분석하여 『서유기』에서 그가 차지하고 있는 위치를 확인하고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사오정은 공성(空性)에 대해 깊은 각성을 보여주지는 않지만 계율을 잘 지키는 승려로서 스승의 가르침을 잘 따르고 사형제 간의 형제애를 중시하며 구성원 사이의 조화와 화합을 도모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5,200원
        620.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의 제6세대 감독 중에서 왕차오는 노동자와 사회 주변인의 삶을 다루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의 영화에서 이들의 결말은 비극으로 귀결된다. 프랑스의 영화평론계에서는 그의 세 편의 영화, <안양의 고아>, <낮과 밤>, <럭셔리 카>를 ‘비극 삼부곡’이라 칭한다. 이는 영화에서 나타나는 비극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인물이나 내용, 주제에서 뚜렷한 유사성과 연속성을 가지고 있다는 전제에서 명명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지만 이 글은 단순하게 영화에 서 나타나는 주인공 혹은 주인공과 관련 있는 인물의 비극적인 삶이나 죽음을 재차 ‘비극적’ 이라고 언급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의 영화는 비록 비극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지 만 희망을 염원한다는 것을 밝혀내기 위한 목적이라고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비극 삼부곡’ 에서 나타나는 서사적 은유를 분석하고자 한다. ‘갓난아기’와 ‘강’, ‘江城’ 등의 은유적 장치 분석을 통하여 왕차오 영화에서 나타나는 주제와 특징, 즉 생존과 가족, 윤리와 속죄, 욕망과 귀향 등의 서사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그가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을 파악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종극적으로는 현대 중국에 대한 왕차오 감독의 온기어린 시선을 마주하게 될 것이다.
        4,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