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759

        3401.
        199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uthors carried out a field experiment to confirm the effect of underwater sound on the luring of fish schools in a setnet in the coast of Cheju Island. The effects of the acoustic emission on the luring of fish schools were observed using a manufectured underwater speaker in the setnet, and pure sound, of which frequency was 600Hz and the source level was 126dB, was emitted on and off at 5 minutes intervals in the set net during the night of ,July 29 and ,July 31. So we had recorded behavior of fish schools by the telesounder with two channel and shape of the setnet by underwater video camera and analyzed them. When the flood and ebb currents were around the setnet, the nets rised to the surface of water and it happened occasionaly at the stand of tide. Therefore, it was in the state that fish schools feel constraint to enter into the setnet, and was required a new design of the setnet stand up to strong tidal current. As the pure sound, of which frequency was 600Hz was emitted for the luring of fish schools in a setnet, the catch ammounts of fish, the young horce mackereWI'rachllrlls japonicus), was increased 4~6 times than not emitted.
        4,000원
        3402.
        199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uthor examined the response of Armorclad rockfish, Sebastes hubbsi [MATSUBARA]to the surface attracting lamps (0.5W, 0.8W, 1W) line in the experimental water tank (550L×58W×73Hcm). The attraction rate was investigat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rvals of lighting and putting out hour (1,5 minute) when each of the attraction lamps was gradually switched off after they were switched on all at o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otal distribution rate of fish in the illuminated section was 61.6%(mean 12.3%) in case of 1 minute interval, and 41.0%(mean 8.2%) in case of 5 minutes interval. 2. Mean distribution rate of fish at the illuminated section : ①Distribution rate at interval of 1 minute were 12.7% in 0.8W, 12.4% in 0.5W and 11.9% in 1 W respectively. ②Distribution rate at interval of 5 minutes were 9.0% in 1W, 8.6% in 0.8W and 7.0% in 0.5W respectively. 3. Attraction rates of the last section showed a little increasing as illuminating time elapsed. A difference of attraction rates according to lighting source in 1 minute interval was bigger than that in 5 minute interval. 4. Attraction rate of fish in only last section switched on : ①Attraction rate at interval in case of 1 minute were 52.0% in 0.8W, 46.7% in 0.5%W and 45.3% in 1W respectively. ②Attraction rate at interval in case of 5 minutes were 32.0% in 1W, 24.0% in 0.8W and 14.7% in 0.5W respectively.
        4,000원
        3403.
        199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obtain the most favourable classification system for fishing gears, the problems in the existing systems were investigated and a new system in which the fishing method was adopted as the criterion of classification and the kinds of fishing gears were obtained by exchanging the word method into gear in the fishing methods classified newly for eliminating the problems was established. The new system to which the actual gears are arranged is as follows ; (1)Harvesting gear \circled1Plucking gears : Clamp, Tong, Wrench, etc. \circled2Sweeping gears : Push net, Coral sweep net, etc. \circled3Dredging gears : Hand dredge net, Boat dredge net, etc. (2)Sticking gears \circled1Shot sticking gears : Spear, Sharp plummet, Harpoon, etc. \circled2Pulled sticking gears : Gaff, Comb, Rake, Hook harrow, Jerking hook, etc. \circled3Left sticking gears : Rip - hook set line. (3)Angling gears \circled1Jerky angling gears (a)Single - jerky angling gears : Hand line, Pole line, etc. (b)Multiple - jerky angling gears : squid hook. \circled2Idly angling gears (a)Set angling gears : Set long line. (b)Drifted angling gears : Drift long line, Drift vertical line, etc. \circled3Dragged angling gears : Troll line. (4)Shelter gears : Eel tube, Webfoot - octopus pot, Octopus pot, etc. (5)Attracting gears : Fishing basket. (6)Cutoff gears : Wall, Screen net, Window net, etc. (7)Guiding gears \circled1Horizontally guiding gears : Triangular set net, Elliptic set net, Rectangular set net, Fish weir, etc. \circled2Vertically guiding gears : Pound net. \circled3Deeply guiding gears : Funnel net. (8)Receiving gears \circled1Jumping - fish receiving gears : Fish - receiving scoop net, Fish - receiving raft, etc. \circled2Drifting - fish receiving gears (a)Set drifting - fish receiving gears : Bamboo screen, Pillar stow net, Long stow net, etc. (b)Movable drifting - fish receiving gears : Stow net. (9)Bagging gears \circled1Drag - bagging gears (a)Bottom - drag bagging gears : Bottom otter trawl, Bottom beam trawl, Bottom pair trawl, etc. (b)Midwater - drag gagging gears : Midwater otter trawl, Midwater pair trawl, etc. (c)Surface - drag gagging gears : Anchovy drag net. \circled2Seine - bagging gears (a)Beach - seine bagging gears : Skimming scoop net, Beach seine, etc. (b)Boat - seine bagging gears : Boat seine, Danish seine, etc. \circled3Drive - bagging gears : Drive - in dustpan net, Inner drive - in net, etc. (10)Surrounding gears \circled1Incomplete surrounding gears : Lampara net, Ring net, etc. \circled2Complete surrounding gears : Purse seine, Round haul net, etc. (11)Covering gears \circled1Drop - type covering gears : Wooden cover, Lantern net, etc. \circled2Spread - type covering gears : Cast net. (12)Lifting gears \circled1Wait - lifting gears : Scoop net, Scrape net, etc. \circled2Gatherable lifting gears : Saury lift net, Anchovy lift net, etc. (13)Adherent gears \circled1Gilling gears (a)Set gilling gears : Bottom gill net, Floating gill net. (b)Drifted gilling gears : Drift gill net. (c)Encircled gilling gears : Encircled gill net. (d)Seine - gilling gears : Seining gill net. (e)Dragged gilling gears : Dragged gill net. \circled2Tangling gears (a)Set tangling gears : Double trammel net, Triple trammel net, etc. (b)Encircled tangling gears : Encircled tangle net. (c)Dragged tangling gears : Dragged tangle net. \circled3Restrainting gears (a)Drifted restrainting gears : Pocket net(Gen - type net). (b)Dragged restrainting gears : Dragged pocket net. (14)Sucking gears : Fish pumps.
        4,000원
        3404.
        199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described on relation between the catches of tuna and the distribution of water temperature of eastern fishing ground of Tropical region in the Pacific Ocean. The data of catches and water temperature used in this paper were based log book which # 27 CHENG RONG(Gross tonnage : 399 ton) had been worked eastern fishing ground(Lat : 09˚N- 14˚S, Long : 115˚- 149˚W)from January to October, 1991. The obtained result are as follows : 1. On the relation between the catches and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bigeye tuna was higher catches at Lat 4˚- 9˚N, Long 135˚- 139˚W area in the equatorial counter current region where surface water temperature was range of 27.5℃ to 27.9℃, yellowfin tuna was higher catches at Lat 4˚- 9˚S, Long 145˚- 149˚W in the south equatorial current region where surface water temperature was range of 28.0℃ to 28.4℃ and albacore tuna was higher catches at Lat 10˚- 14˚S, Long 120˚- 124˚W area in the south equatorial current region where surface temperature was range of 26.5℃ to 26.9℃ 2. On the relation between catches and distribution of vertical water temperature, bigeye tuna was higher catches at the water temperature of 10℃ to 12℃ on depth layer between 300m and 360m, yellowfin tuna was higher catches at the water temperature of 15℃ to 19℃ on depth layer between 180m and 280m and albacore tuna was higher catches at the water temperature of 12℃ to 14℃ on depth layer between 280m and 310m. Above the result, it seemed that bigeye tuna distributed deeper layer than yellowfin and albacore tuna.
        4,000원
        3405.
        199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volume backscattering strength and species composition of midwater trawling catch was analyzed biological and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anchovy shoal, using a high resolution echo - sounder at the south region of East sea of Korea. 1) In the survey site A of Lat.35˚55'N, Long.129˚45'E, the anchovy shoal of small to middle size with the horizontal range of 10~25m and large size with the horizontal range of 40~50m were distributed together. However in the survey site B of Lat.35˚38'N, Long.129˚40'E, the anchovy shoal was observed to be mainly small size which about 78% of the detected shoal. Another was that the anchovy shoal with the vertical range of 2~8m occupied about 68.6% in the survey site A and that of 6~12m occupied about 42.5% in the survey site B. The mainly the site A and B were found to be 10~50m super (2), 64.5% and 20~80m super (2), 66%, respectively. 2) The volume backscattering strength in the site A and B were observed to be -44.0~ -28.0dB, respectively. In the site A, the backscattering strength of -40.0~ -30.0dB was analyzed about 41.4%. 3) Most of total anchovy shoal was concentrated in the water layer of 50~100m in depth with 15.3~18.5℃, 34.0~34.3‰ in the survey site A and 14.2~16.4℃, 34.1~34.2‰ in the survey site B. 4) Mean total length(TL) and body weight(BW) of anchovy in the survey site A were 9.9cm and 4.4g respectively, with TL-BW relationship of BW=0.0007TL3.65super (3.85). In site B, mean total length(TL) and body weight(BW) were 11.2cm and 8.7g, with TL-BW relationship of BW=0.0023TL3.36.
        4,000원
        3406.
        199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ull scal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to compare some important factors tested in the model experiment. The results obtain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changing aspect of mouth performance of the full scale net was almost coincided with the results obtained by the model experiment. The vertical opening(H) and the opening area(S) can be expressed as a function of the towing velocity(V) as H=48.78. e0.38V(unit: m, k't) S= 1,443 .e-0.25V(unit: m2V, k't) 2. The changing aspect of working depth of the full scale net was almost coincided with the results obtained by the model experiment. The depth(D) can be expressed as a function of the towing velocity(V) and the warp length(L) as D=92.49.V1.37(unit: m, k't, L= 150m) D= 12.07+0.32. L (unit: m, V=2k't) [)= - 7.90+0.22 . L (unit: m, V=3k't) 3. Some problems were found to operate A - type full scale net by common bottom pair trawlers. The problem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Entangling of wing and square head ropes while net casting.(2) Man power needed and time spent for net hauling by common bottom trawlers increased considerably.( 3) Tearing of nettings caused by over -load of tension and entangling of net pendant while net hauling. To solve these problems, the trawlers are favorable to be equipped with variable pitch propeller and llet drum. While the net is favorable to be constructed with trifurcated net pendant in stead of quadrifurcated net pendant used at present.
        4,000원
        3407.
        199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wing tension of the model nets were determined by the load cell(O~20kg, 20DBBP) in front of W〈lrp with the combinations of towing velocity, warp length and the distance between paired boats. Towing tension of the full scale net was determined by the load cell( 0 ~ 6ton) in front of warp with the towing velocity. The results obtain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hanging aspect of towing tensions of the model nets A and B varied by the same tendency in the range of O.356-2.019kg and O.352~2.117kg, respectively, depend on the operational factors. Among the factors, the towing velocity was the most influential. The tensions(T) can be expressed as a function of the towing velocity(V) as TmA = 1.57 . V1.86 (unit: kg, mlsec) TmB= 1.58 . V1.90 2. The towing tension of the full scale net was almost coincided with the results obtained by the model experiment. The towing tension(T) can be expressed as a function of the towing veJocity(V) as T=479V1.75(unit: kg, k't)
        4,000원
        3408.
        199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산업분야의 생력화와 조업공정의 단축으로 새로운 활로를 개척할 수 있는 방안으로 보조기계들의 유압화 및 대형화에 사용되는 후벽 유압실린더는 작동응력 거동의 분석과 파손예측의 정확성이 강구되어야만 기계고장으로 인한 해난사고의 개연성을 미연에 감소시킬 수 있다. 균일한 내압을 받는 대형선박용 유압실린더를 수치해석적 방법인 경계요소법을 사용하여 각종 응력 해석의 시도는 엄밀해나 유한요소법의 결과와 비교적 양호하게 일치하고 있다. 축대칭 형상에 대한 반경방향 응력이나 원주방향 응력의 BEM 해석결과는 단일절점과 이중절점 모두 최대 25MPa의 압축응력이나 최대 52MPa의 인장응력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재료의 허용응력내에서 작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중절점 형상함수(double node shape function)를 사용하여 원통형 형상의 구조물에 대한 수치계산 결과의 정확도를 높힐수 있었으며 입력데이터의 증가는 오차감소에 기여하였으나 프로그램의 실행시간(run-time)을 증가시켰다. 코너에서의 트랙션벡터의 불연속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이중절점의 사용은 영역 내부해의 안정성을 확보하였고 경계부근에서의 내부해의 발산을 제거하기 위한 이중지수형 적분법 사용은 해석결과의 오차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4,300원
        3409.
        199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각종 환경 조건에서 진동 캐비테이션 침식-부식 시험 장치에 의해 연강(SS41)의 캐비테이션 침식-부식 손상 거동에 관한 연구를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해수 중에서 캐비테이션 침식-부식 손상 거동은 중앙부와 테두리 부에서 거의 비슷한 정도로 발생하여 성장되지만, 증류수 중에서는 테두리부에서 손상이 먼저 발생한 다음 중앙부에도 손상이 점차 일어난다. 2) 비저항이 낮은 수도수 중의 캐비테이션 침식-부식 손상은 초기에는 비저항이 높은 증류수중에서의 것보다 증가하지만 시간이 경과하면서 CaCO 하(3)의 피막 형성에 의해 둔화된다. 3) 케비테이션 침식-부식 손상 특성은 잠복기, 증가기, 감소기 및 안정기의 4단계로 구분된다.
        4,000원
        3410.
        199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압 펌프, 유량조절 밸브(오리피스)등을 주된 구성 요소로 하는 구조가 간단하고, 운전.관리가 용이한 유압식 풍력.열 변환 장치를 개발하였다. (2) 실험 결과로부터 본 장치의 에너지 변환 효율이 매우 높음을 확인하였다. (3) 출력 에너지가 열 에너지이므로 온수 탱크를 사용하여 쉽게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4) 본 장치는 대량 생산되는 유압 부품들만을 사용하여 구성이 가능하므로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신뢰성이 우수한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4,200원
        3411.
        199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전압형제어에 의한 유도전동기의 토크 속응제어법의 메카니즘이 기술되어 졌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펄스전압 인가에 의한 과도토크 소거원리를 전류레벨에서 해석함과 동시에 직관적 이해를 돕기 위해 벡터표현을 이용하여 제안 방식의 이론적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이상의 검토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압형제어에 있어서는 임펄스를 인가함으로써 스텝응답을 실현할 수 있다. (2) 유한 미소정정시간 δ를 매개로 정식화를 행함으로써, 토크의 스텝응답을 실현할 수 있는 이론적인 전압해 및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한 전압해를 동시에 구할 수 있다. (3) 토크 속응제어를 δ이후의 과도전류가 0으로 되는 전압지령에 의해 실현하므로 펄스전압인가에 의한 스파이크 전류는 발생하지 않는다. (4) 전동기 정수가 불변 또는 실시간으로 동정된다면, 제안방식은 제어지령을 결정함에 있어서 전류정보에 직접 의존하지 않고도 피드포워드적으로 전압지령의 연산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어 시스템 구성의 간략화와 동시에 제어정도가 전류정보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는 제어계의 구축이 가능하다
        4,000원
        3412.
        199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uthors have been studying about and electro-magnetic compass with a three axis magnetic sensor in order to provide and accurate ship's magnetic heading which the compass deviations can automatically compensated in the compass itself, and the theory how to derive the poisson's coefficients from ship's magnetism measured with three axis magnetic sensor. This paper describes on the analysis of deviation derived from the measured values that obtained to measure the various magnetic fields at the compass position of the M. S. ARA, training ship of Cheju University with three axis magnetic sensor at Cheju near sea from 25th, Oct, to 13th, Nov. in 1994.
        4,000원
        3413.
        199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위협광에 의한 어류의 행동제어개발을 위하여, 스트로보광에 대한 전갱이와 잉어의 명순응과정을 조사하였는데, 스트로브광의 섬광빈도는 전갱이의 경우, 1.7, 5, 10, 25, 430Hz의 5단계, 잉어의 경우는 1.7, 5, 25Hz의 3단계로 하였다. 안구표본의 채취는 조사전과 조사직후부터 1, 5, 10, 30분 경과마다 행하였고, 채취한 각 표본은 종단조직절편을 만들고 현미경 관찰을 행하였다. 망막의 순응율은 원추체지수를 구하여 나타내었다. 조사시간에 따른 평균 순응율은; \circled1 전갱이의 경우, 광조사전의 27%가 1, 5, 10, 30분 경과 시마다 각각 42.6%, 49.8%, 59.8%, 83.1%로 증가하였다. \circled2 잉어의 경우, 광조사전의 28.4%가 1, 5, 30분 경과 시마다 각각 51%, 54.9%, 91.3%로 되었다. 명순응과정은; \circled1 전갱이의 경우 430Hz, 25Hz, 5Hz, 1.7Hz, 10Hz의 순으로, \circled2 잉어의 경우는 25Hz, 5Hz, 1.7Hz의 순으로 대략 빨랐다.
        4,000원
        3414.
        199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건착망의 침강 운동특성을 구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그물감의 재료가 다른 세 종류의 건착망을 수중 총중량(60g)이 동일하게 되도록 발돌의 양을 조절하여 제작하고, 침강특성을 해석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건착망은 그물실의 직경 및 발의 길이가 같은 폴리프로피렌계(밀도 0.91g/cm3) 및 폴리에스터계(밀도 1.38g/cm3)의 매듭 없는 그물감을 사용하여, 뜸줄의 길이를 420cm, 그물의 폭을 86cm가 되도록 제작하고, 이 그물들을 각각 PP, PA 및 PES 그물이라고 하였다. 회유수조의 수로상에 투망장치를 설치해서 정지상태의 수중에 투망하고, 측면에 설치한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 녹화하였다. 그리고, 그물에 표시한 측정점의 좌표를 화상해석장치로 읽고 실험치를 구하였다. 여기에는, 건착망의 수직방향의 침강운동을 나타내는 미분방정식을 구하고 Runge-Kutta-Gill법에 의한 연립 미분방정식 해법을 이용하여 수치해석을 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그물 아랫자락의 침강속도는 PP 그물이 가장 빠르고, PA 및 PES 그물 순으로 늦게 나타났다. 2. 그물감의 저항계수 KD는 계산결과 KD=0.0614의 관계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3. 그물다발의 저항계수 CR은 계산결과 CR=0.91의 관계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4. 건착망 투망후 경과시간에 따른 그물 아랫자락의 도달수심에 대한 실험치와 계산치는 매우 잘 일치하여 meas.=0.99cal.의 관계였다.
        4,000원
        3415.
        199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건착망의 침강에 관한 동태해석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그물감의 재료가 다른 세 종류의 건착망을 총중량(수중중량 60g)이 일정하게 되도록 발돌의 양을 조절하고, 이것들의 침강특성을 구명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건착망은 그물실의 직경 및 발의 길이가 같은 폴리프로피렌계, 폴리아미드계 및 폴리 에스터계의 매듭 없는 그물감을 사용하여, 뜸줄의 길이 420cm, 그물의 폭 86cm가 되도록 제작하고, 각각 PP, PA 및 PES 그물이라고 하였다. 회유수조의 수로상에 투망장치를 설치해서 정지상태의 수중에 투망하고 측면에 설치한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 녹화하였다. 그리고, 그물에 표시한 측정점의 좌표를 화상해석 장치로 읽고 실험의 측정치을 구하였으며, 이를 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PP 그물의 그물다발은 항시 수면 부근에 있고, 발돌에 작용하는 침강력에 의해 그물감이 전개해 간다. 2. PES 그물의 그물다발은 뜸줄과 발줄 사이의 부분, 즉 그물 폭의 거의 중간에 있다. 3. 그물 아랫자락의 평균 침강속도는 PP 그물이 10.7cm/s로 가장 빠르고, PA그물이 9.7cm/s, PES 그물이 9.2cm/s의 순으로 늦게 나타났다. 4. 투망할 때 작용하는 수평방향의 운동력은 무시 가능한 범위의 값이었다.
        4,000원
        3416.
        199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1994년 8월 1일부터 10월 5일 사이에 대변항을 중심으로 조업하고 있는 근해 멸치유자망 어선의 멸치유자망 표류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멸치유자망에 GPS 3개를 설치하여 유자망의 흐름을 측정하고, 조류계로 유향.유속을 측정하여 어구의 표류상태와 이들 상호간의 관계에 대해 검토,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육상 고정점에 대한 GPS의 95% 확률원 오차는 대변항에서 79.8m였고 표준위치로부터 평균편위거리는 21.0m였다. 2) 대변항에서 GPS의 PDOP와 HDOP의 평균값은 각각 3.5, 1.9로서 비교적 안정된 측위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Lat 35˚ 41.5'N에서 35˚ 43.5'N, Long 129˚ 30.1'E에서 129˚ 31.2'E 사이의 어장에서 그물의 뻗친 방향은 190˚ 였고 투망이 완료된 시점네서 전체 어구의 방향은 200˚ 였다. 양망 당시 어구의 전개된 형태는 직각으로 휘어진 모양이며 투망 완료 후 양망이 시작될 때까지 그물 전체는 170˚ ~ 180˚ 방향으로 표류하였다. 평균표류속도는 0.82kt였다. 4) Lat 35˚ 44.0'N에서 35˚ 45.2'N, Long 129˚ 33.0'E에서 129˚ 34.0'E 사이의 어장에서 그물을 뻗친 방향은 20˚ 였으며, 투망 완료시 어구의 전개는 20˚ 방향이고 양망 당시 어구의 전개된 형태는 N에서 S로 바뀌었는데, 투망 완료후 양망이 시작될 때까지 평균적으로 210~220˚ 방향으로 표류함을 알 수 있었다. 평균표류속도는 0.75kt였다. 5) Lat 35˚ 44.9'N에서 35˚ 46.0'N, Long 129˚ 34.0'E 사이의 어장에서 그물 뻗친 방향은 35˚ 였으며, 투망 완료된 어구의 형태는 50˚ 였고 양망 시작시 그물의 방향은 E에서 S방향으로 바뀌었다. 그물은 330˚ ~ 340˚ 방향으로 표류하였다. 평균표류속도는 0.63kt였다.
        4,300원
        3417.
        199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현재 국내에서 일부 사용되는 쌍끌이 중층망어구어법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망고를 보다 크게 하는 것, 망목에 뜸이 걸리는 것, 네트드럼에 감기는 어구 부피를 줄이는 것 등의 해결방법으로 카이트(kite)의 적용을 검토한 것이다. 중층망의 모형에 카이트를 부착하여 회류수조에서 모형실험을 통하여 유속에 따른 어구의 저항 및 전개성능을 비교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체저항은 지수함수곡선의 모양을 보여 유속이 낮을 때는 저항의 증가폭이 작지만 유속이 클 때는 저항의 증가폭이 커지며, 카이트망의 저항이 중층망의 0.68~0.72배로 작다. 2. 망고는 지수함수곡선의 모양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며, 유속 1.3m/sec 이하에서는 카이트망의 망고가 중층망보다 작지만 1.5m/sec 이상에서는 크며, 유속이 커질수록 그 차이도 커진다. 망폭은 유속 2.0m/sec 이하에서는 유속이 커짐에 따라서 다소 커지나 그 이상에서는 거의 같으며, 카이트망과 중층망은 거의 같다. 3. 망구모양은 모두 유속이 커짐에 따라서 납작해지는 타원형모양을 이루며, 망구면적은 유속이 커짐에 따라서 지수함수곡선의 형태로 작아진다. 여과량은 로그함수의 곡선 형태를 보이고 있는데, 유속 1.3m/sec 이하에서는 카이트망의 여과량이 중층망보다 적지만, 1.5m/sec에서는 카이트망의 여과량이 중층망보다 약 3%, 2.0m/sec에서는 약 11%, 2.5m/sec에서는 약 16% 더 많다
        4,000원
        3418.
        199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전보에서 어군의 유영공간을 3차원으로 고려하여 제안한 어군행동을 나타내는 수치 모델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치 모델의 잔차에 대한 백색성검정 및 실험과 시뮬레이션에 의한 결과를 비교하는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모형 그물이 없는 경우와 모형 그물이 있는 경우 모두 잔치의 평균이 0에 가까우며, 그 표준편차는 대체로 ±7 이내로서 잔차의 거동이 안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체수가 5마리 이상이고 유속이 20cm/sec 이하인 경우에는 수치 모델에 의한 잔차의 자기상관함수가 95%의 유음수준에서 유음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잔차는 백색잡음의 양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 수치 모델은 대체로 타당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실험과 시뮬레이션에 의한 결과에 대하여 어군의 유영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유영궤적, 수조벽과 개체 사이의 거리, 유영속도, 유영 깊이, 개체상호간의 최근접거리 등을 비교하면, 실험과 시뮬레이션에 의한 결과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으나 대체로 그 경향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어군의 유영공간을 3차원으로 고려하여 유속의 변화에 따른 어군행동의 추정이 어느 정도 가능해짐으로서, 앞으로 보다 발전된 모델링 기법을 도입하면 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러한 일련의 연구에서는 실험의 편의를 위하여 시간의 변화에 따른 유향과 유속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일정 방향의 일정 유속만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적용을 위해서는 환경요인, 공간상의 환경조건 및 어군의 규모에 의한 차이 등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 많이 남아 있다. 현단계에서의 과제는 축양장과 같은 제한된 공간에서의 어군행동의 예측, 제어등이 가능하도록 모델링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4,600원
        3419.
        199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어군행동의 추정 및 제어등을 위한 기초자료의 제공과 어군행동의 모델링 기법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어군행동을 나타내는 수치모델을 작성하고 유속이 있는 실험수조에서 유영하는 무지개송어를 대상으로 개체 및 어군의 3차원 위치 시계열 데이타를 이용하여 어군행동을 나타내는 수치 모델의 파라메터를 최소자승법으로 추정하였다. 어군행동을 나타내는 수치모델의 개체수 및 유속에 따른 파라메터 값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추정한 파라메터 값을 평균이 0이고, 분산이 1되게 파라메터를 표준화하여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체의 전방추진력의 크기를 나타내는 파라메터 a*는 개체수 및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대체로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 개체 사이의 영향력의 크기를 나타내는 파라메터 kb*는 개체수가 많아짐에 따라 대체로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속이 빠를수록 대체로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성군력의 크기를 나타내는 파라메터 kc*는 개체수 및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대체로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 수조의 벽이나 바닥 등에 대한 반발력의 크기를 나타내는 파라메터 |kw+*|는 개체수가 많아짐에 따라 다소 커졌으나, 유속이 빠를수록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수조의 벽이나 바닥등에 대한 유인력의 크기를 나타내는 파라메터 |kw+*|는 개체수에 관계없이 대체로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속이 빠를수록 대체로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6) 저항력의 크기를 나타내는 파라메터 v*는 개체수가 많아짐에 따라 다소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속이 빠를수록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5,400원
        3420.
        199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보일러 및 연소로 등에서의 부유체 환경에서 입자와 벽면 사이의 열전달 현상을 규명하기 위한 수치적인 모델링을 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벽면에 수직 충돌하는 입자에 의한 열전달 현상을 알아보기 위해 2차원 모델을 사용하였다. 입자표면에서 단열된 경계조건과 등온의 경계조건을 사용한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입자가 벽면에 충돌할 때 유체를 매개로한 전도와 입자에 의해 야기된 대류 현상을 비교할 수 있었다. 계산 결과, 입자가 벽면에 충돌하기 직전에는 입자 크기의 반정도의 거리에 도달할 때까지는 입자의 영향이 별로 없고, 충돌하고 난 후에 영향이 많았다. 또한, Pe 수가 작을 때는 유체를 매개로 한 전도가 지배적이며, Pe 수가 증가할수록 야기된 대류의 효과가 점차 증가하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