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nglish medium instruction (EMI) classes aim to foster active discussions and communicative interactions in English between instructors and students. However, many Korean students in these classes struggle due to their limited English proficiency. This paper examines the challenges faced by Korean EFL students in EMI environments, highlighting the necessity for support in both English and their native language to facilitate effective learning. It also identifies teaching strategies that have proven effective in helping these students navigate language barriers. The findings indicate that participants had difficulty developing their writing skills for assignments in EMI settings and encountered limited opportunities to communicate their understanding of course material with instructors. To address these challenges, it is important to assess students’ language skills and find a balance between Korean and English. Implementing flexible teaching methods can enhance the learning experience, making it more effective and supportive. By providing multiple approaches to learning, such as interactive activities or peer support, learning gaps can be bridged and overall educational outcomes enhanced.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use of {ne} and {je} in Korean dramas from the 1990s and 2010s in terms of gender and discourse situations. The research focuses on how male and female characters use {ne} and {je} differently in public and private contexts for each era, and how these patterns have changed over time.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1990s, men primarily used {je} in public settings and alternated between {ne} and {je} in private contexts, indicating a context-dependent usage pattern. Women, on the other hand, mainly used {je} in both public and private situations, but {ye} appeared more frequently in public settings, showing that women also adjusted their usage according to the context. Second, in the 2010s, men used both {ne} and {je} regardless of the discourse context, while women predominantly used {ne} across contexts. Third, compared to the 1990s, the use of {ne} in public situations increased for both men and women in the 2010s, indicating a notable change, while no change was observed in private settings.
Mesenchymal stem cells (MSCs) have emerged as a promising therapeutic resource for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PNS) and central nervous system (CNS) that is attributable to their capacity for neuronal differentiation. Human dental pulp stem cells (hDPSCs), which exhibit MSC-like traits, can differentiate into neuron-like cells and secrete critical neurotrophic factors; however, their therapeutic potential in peripheral nerve injury remains unexplor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generative effects of hDPSC transplantation following sciatic nerve injury (SNI) in rats. Transplantation of hDPSCs, STRO-1+ hDPSCs, or CD146+ hDPSCs after sciatic nerve transection in rats upregulated the levels of β3 tubulin, a marker of immature newborn neurons. Furthermore, the levels of glial cellderived neurotrophic factor, insulin-like growth factor 2, and the neuroregenerative factor NeuroD1 were upregulated. Motor dysfunction in rats with SNI was restored, as demonstrated by significantly higher sciatic functional index scores compared with the sciatic nerve transection group without transplantation. Transplantation of hDPSCs into injured peripheral nerves results in the upregulation of neurotrophic factors, differentiation into immature neurons, and promotion of motor function recovery. This approach holds promise as a valuable therapeutic strategy for repairing injured peripheral sciatic nerves, potentially providing a solution for nerve damage in both the PNS and CNS.
Periodontal disease has been implicated in the progression of various systemic diseases, including chronic kidney disease (CKD). Recent evidence suggests that infection of Porphyromonas gingivalis , a major periodontal pathogen, may also contribute to vascular calcification in patients with CKD. In the present study, antibody array analysis of serum samples from CKD mice administered with oral P. gingivalis revealed significant alterations in protein expression profiles, with notable interleukin-7 (IL-7) upregulation. We demonstrated that P. gingivalis infection enhances the inorganic phosphate-induced calcification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VSMCs), a pathological process that is characteristically accelerated in CKD. Notably, IL-7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upregulated in the P. gingivalis -stimulated calcification of VSMCs. Moreover, IL-7 knockdown in VSMCs markedly attenuated the P. gingivalis -stimulated calcification of VSMCs and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osteogenic markers, including alkaline phosphatase and 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2.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L-7 plays a crucial role in P. gingivalis -stimulated vascular calcification, potentially providing new therapeutic targets for preventing vascular calcification in CKD patients with periodontal infection.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다 사용에 대한 우려가 증가함에 따라, 스마트폰 의존과 과다 사용이 정신 건강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의존과 자살 시도 간의 관계에 대한 직접적인 실증 연구 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공백을 메우기 위해,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 외로움, 그리고 자살 시도 간의 관계를 검토하고자 한다. 2023년 질병관리청의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800개 중⋅고등학교의 52,880 명의 학생을 분석한 결과, 스마트폰 의존도가 높은 청소년들은 지난 1년간 외로움과 자살 시도를 보고할 가능성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로움은 스마트폰 의존과 자살 시도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져, 스마트폰의 과다 사용이 사회적 고립을 촉진하여 자살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일상 스트레스는 중요한 조절 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의존, 외로움, 자살 위험 간의 연관성은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가진 청소년에게서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외로움과 스트레스와 같은 심 리사회적 요인이 스마트폰 사용과 정신 건강 위험 간의 연관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부각시킨다. 본 연구 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다 의존을 방지하고, 사회적 관계 강화를 중시할 필요성을 제안하며, 특히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해 더욱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강조한다.
This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aimed to develop and evaluate an academic Korean curriculum for immigrant students in grades 5~6, analyzing its effects on students’ academic Korean achievement and examining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ing academic Korean during the process. For this purpose, the collaboratively developed academic Korean curriculum was reviewed, and the academic Korean achievement of immigrant students was quantitatively analyzed through three assessments. Additionally,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student interviews and teacher discussions regarding their experiences with the curriculum.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developed curriculum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students’ academic Korean proficiency and their learning in other subjects. However, learning difficulties and elevated levels of anxiety during the course were common among students, regardless of their achievement levels. The teachers involved in the collaborative process proposed several strategies for more effective academic Korean teaching, such as expanding individualized support and strengthening connections with students’ families and homeroom classes. The significance of this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lies in its empirical demonst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Korean teaching, an area that has not been extensively covered in existing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힌두교와 신지학의 융합은 현대적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심오한 틀을 제공합니다. 이 글은 수천 년 된 관행에 뿌리를 둔 힌두교 환경 윤리와 모든 생 명의 통일성과 신성함을 강조하는 신지학의 가르침 사이의 생태-영적 시너지를 탐구 한다. 신지학자와 같은 선구적 작품에 대한 자세한 검토를 통해 이 글은 이러한 전통 이 지속 가능한 삶, 자연에 대한 경의, 환경 관리에 대한 영적 책임을 옹호하는 방식 을 밝힌다. 브릭샤 로팬(나무 심기)과 강 숭배와 같은 힌두교 관행은 자연과 지속 가 능한 농업에 대한 신지학 명상과 공명하여 공유 가치의 실제적 적용을 보여준다. 이 논문은 신학적 분석, 텍스트 해석 및 환경 윤리를 통합하는 학제간 방법론을 사용하여 이 영적 동맹의 변형적 잠재력을 탐구한다. 이 전체론적 접근 방식은 영적 지혜와 윤 리적 책임에 기반한 행동을 옹호하는 글로벌 환경 정책의 변화를 요구한다. 고대의 가 르침과 현대의 생태적 요구를 종합함으로써, 이 논문은 지구를 신성한 신탁으로 존중 하고 인간과 환경 사이의 조화를 촉진하는 지속 가능한 삶에 대한 설득력 있는 비전 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신설 과목인 「도시의 미래 탐구」가 학교 현장에서 성공적으로 안착하고 지리교과의 심화과목이자 진로 선택 과목으로서의 정체성을 살리기 위한 방안으로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웹 기반 GIS 플랫폼을 개발하고, 교수・학습 모듈을 디자인하는 것이다. 이 플랫폼은 데이터 전처리, 시각화, 공간 분석을 위한 통합 도구를 제공하며, HTML과 JavaScript로 설계되어 저사양 기기를 포함한 다양한 교육 환경에서도 활용 가능하다. 본 연구는 또한 「도시의 미래 탐구」교육과정에 부합하는 교수・학습 모듈을 개발하고, 지리탐구의 수업 실행 방식을 제안하였다. 학습자는 ‘도시’라고 하는 시민성의 공간을 과학적 인식, 개인적 반응, 비판적 사고를 통해 온전히 이해하게 되고, 도시의 역동성과 공간 불평등을 탐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본 연구는 공공데이터와 지리정보기술을 통합한 본 연구는 지리교육에서 디지털 리터러시를 증진하고 비판적 탐구 역량을 강화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Qi Family Tree Bone Inscription refers to the Xia dynasty king list, and the deciphered bone names match the names of the Xia kings recorded in the classics. First, this bone inscription is authentic according to Sarah Allan and Kuang Yu Chen’s recent study of the engraved strokes of script viewed under microscope. Secondly, this paper introduces the interactive events between Xia Si (夏姒) people and Shang royal people in the Shang bone texts, such as the Shang conquest of the Xia Si, using the Xia people to serve the Shang King affairs, resettling the Xia people north and letting them fight others. This paper specifically interprets the bone scripts of Xia Si to mean that Xia indicates lowland for farming, and Si is the family name of the Xia recorded in the classics. The script for Si (surname) is derived from the image of a silkworm, as the Si are a silkworm totem people. Another decoded script for Xia is a river name, Xia (river) is named after “canal digging and irrigating”. Third, this paper deduces that the Xia people were living in the Jiang Xia (now Jiang Han or Jiang and Han rivers) plains, the Shijiahe site is the ruins of the Xia or Pre-Xia, and a large number of the Shijiahe red pottery figurines for dances were unearthed,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Xia dance and music recorded in the classics. The unearthed jade statues of deities look like silkworm moths, which corresponds to Xia Si being a sericulture tribe. After the Shijiahe culture, the Xia people built a last capital at Panlongcheng (or Panlong City), near the Xia River outlet. Because the classic Poem for the war epic named Shang Hero (殷武) says, “Got there the hero Cheng Tang (達彼殷武), went to conquer Jing Chu in strength (奮伐荊楚, Jing Chu 荊楚is the alternative name of Jiang Xia 江夏).” Another classic Poem for the Shang national epic called Long Growth (長發) says, “The states of Gu and Wei have been conquered (顧韋既伐).” The Gu and Wei are the current Xiangyang 襄陽 and Suixian 隨縣 on the east and west pathways to the Jiang Xia Basin from the Yellow River Basin, based on their ancient names and their sounds being homophonic. After occupying the states of Gu and Wei, the Shang army went south to form a situation of surrounding the Panlongcheng site of the Jiang Xia Plain. Thus, King Jie of Xia gave up the capital and went north to through the Ming Pass (present-day Wusheng Pass 武勝關) to the Huai River Plain of the East People 東夷, and there was the Battle of Ming Tiao in the Ming Pass. Finally, this study introduces an article about the oracle bone script ten classifications or designs, explaining how to decipher a script. The script for names engraved on the bone tablet were deciphered, corresponding to the name of the Xia Emperors in the classics. The meaning of the deciphered characters of the Xia Emperor names is consistent with the deeds of the Xia Emperors recorded in the classics. In the Qi family genealogy, there are inscriptions of the event of an older brother dying and his younger brother assuming the throne, which matches the record in the classics.
The oral microbiome plays a vital role in maintaining oral and overall health and affects immune responses, digestion, and pathogen suppression. While most studies focus on age groups prone to specific conditions, such as dental caries in children or periodontal disease in older adults, limited data exist on preschool-aged children and young adult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mposition and diversity of the oral microbiome between these age groups for enhanced understanding of a healthy oral microbiome. Microbial samples from the supragingival regions of 41 children and 31 young adults in Korea were analyzed using 16S rRNA gene sequencing. Alpha and beta diversity were assessed, and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effect size (LEfSe) identified taxa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abundance between the group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pha diversity were observed between children and young adults however, beta diversity analysis revealed notably compositional differences. At the phylum level, Firmicutes were more abundant in children, whereas Actinobacteria were more prevalent in young adults. Genera such as Veillonella and Lautropia were more abundant among children, whereas Haemophilus and Rothia were more common among young adults. LEfSe analysis identified Veillonella rogosae and Lautropia mirabilis as more abundant in children, whereas Haemophilus parainfluenzae and Rothia dentocariosa were more prevalent in young adults. The observed differences suggest that children’s microbiomes are associated with biofilm development, while young adults’ microbiomes involve biofilm maturation and immune modulat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age-related shift in oral microbiome compositio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monitoring these changes to support long-term oral health.
This study analyzed inductive and deductive instructional approaches for teaching grammar within a Presentation-Practice-Production grammar less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119 Korean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a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class, with approximately half receiving deductive instruction and the other half receiving inductive grammar instruction. The analysis involved comparing learning gains as well as student perceptions of the two approaches via Mann Whitney U tests. The results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erms of the immediate or delayed learning gains for each grammatical topic, nor when all grammatical topics were aggregated. However, the analysis of student perceptions indicated that students found inductive instruction to be moderately more effective, interesting, and easier than deductive instruction. The study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related to instructional practices in foreign language classes that utilize the Presentation- Practice-Production model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concerning deductive and inductive instructional approaches.
본 연구는 씨릴 터너의 무신론자의 비극에서 주인공인 무신론적 자연주의자 담빌과 기독교의 섭리를 확고히 믿는 샤를몽과 카스타벨라를 대조함으로써 자연주의적 유물론과 전통적 기독교 관점의 도식적인 대결에 초점을 맞춘다. 이를 위한 분석에서, 본 연구는 터너가 구원과 섭리의 주제를 종교개혁 전후 당대의 종교적 담론의 관점에서 어떻게 묘사하고 있는지를 고찰한다. 무신론자의 비극은 종교개혁 이후 르네상스 연극의 특징을 담고 있으나, 선과 악, 심판과 형벌이라는 주제와 관련하여 전통적으로 중세 도덕극에 주로 등장하는 기독교적 심판을 제시하고 있다. 무신론자의 비극은 또한 종교윤리와 신의 섭리라는 개념을 다루며, 무신론자 담빌을 통해 인간의 책임을 강조한다. 르네상스 연극이 중세 기독교 교리를 인문주의 전통 속에서 해석한다면, 본 연구에서는 당시의 섭리적 담론에 대한 논쟁에도 불구하고, 후기 르네상스 작품에서 강조하는 종교적 도덕성과 비교하여 무신론자 담빌의 파멸을 통해 종교개혁 이후 신의 법과 영적 부패에 대한 기독교의 심판을 당대의 시대적, 종교적 담론 안에서 어떻게 반영하는지 비교 분석한다.
이 연구는 일반긴장이론, 사회유대이론, 일반이론에서 제안된 변인들을 사용하여 청소년의 비행지 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아 동ㆍ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8)의 중1 패널의 2018년(1차)∼2022년(5차)의 자료를 결합하여 이산시간 위험모델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일반긴장이론의 긍정적 자극의 소멸, 친구긴장, 사회유대이론의 부모애착, 교사애착, 학업 열의, 참여, 일반이론의 자기통제력이 청소년 비행지속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비행지속을 줄이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청소년의 비행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세 가지 비행이론을 사용하 여 패널데이터를 통해 종합적으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그러나 2차 자료를 활용하 여 각 이론의 하위 변수들을 모두 활용하지 못했기에 검증에 한계가 있다.
일본은 저출산·초고령화, 지역소멸 등 사회적 난제에 대한 대응으로 지속가능 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와 초스마트사회(Society5.0) 전략을 제시 하며 다양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그 방안의 일환으로 일본의 미래 사회 모습을 선제적 으로 보여주는 지역을 선정해서 생활자·사용자인 일반주민들과 함께 문제를 정의하고 대안을 구현(Co-creation)하는 현장 기반 참여형 실험인 리빙랩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오무타, 가마쿠라, 요코하마 3개의 지역을 중심으로 1) 전환의 비전 및 정책 수립 2) 전환의 플랫폼 및 거버넌스 구축 3) 전환 실험 및 리빙랩 활동으로 구분하여 지역 전환을 위한 리빙랩 활동을 살펴보았다. 일본은 지역의 특수한 문제 상황이 반영된 도전과제가 새로운 유형의 산업혁신을 촉진한다는 관점 하에 관련 기술 수요 도출 및 개발·실증, 새로운 산업 및 비즈니스 창출, 마을 만들기 및 지역 재활성화, 돌봄 및 순환경제 등 지속가능한 사회·기술시스 템으로의 전환을 위한 다양한 리빙랩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각 활동을 전환의 관점을 가지고 통합적으로 엮어내고 있으며, 새로운 정책·기술·서비스·산업 형성을 위한 실험의 장으로서 지역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지자체, 기업, 일반시민 간의 공동 창출 노력이 특징이 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자율주행상황에서 주관적인 운전 준비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심리⋅생리적 지표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51명의 연구대상자가 참여하였고, 설문을 통해 운전 경험, 태도, 운전부하, 상황인식 등을 평가 하였다. 자율주행 중 차량 제어권을 인계받아야 하는 시나리오 동안 심전도를 측정하여 심박변이도 지표를 추출하였 고, 주행 종료 후 연구대상자는 자신의 상태를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운전 준비도는 정신적 부하와 부적 상관, 상황 인식과 상황 이해도와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심박변이도 지표인 제곱 평균 근간 심박 간격 차이(Root Mean Square of Successive Differences, RMSSD)와 50ms 이상의 연속적인 RR 간격의 차이 비율(proportion derived NN50 by the total number of NN interval, pNN50)과의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운전 준비도 수준에 따라 상⋅중⋅하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높은 운전 준비도 집단은 정신적 부하가 낮고 상황인식 및 상황에 대한 이해 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자율주행 구간에서 pNN50이 높은 경향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상황인식과 RMSSD가 운전 준비도의 주요 예측 지표로 확인되었다. 이는 운전 준비도가 낮은 운전자는 자율신경 각성이 높고, 높은 운전자는 부교감신경계의 활성화로 인해 심리적, 생리적으로 안정된 상태임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운전자의 주관적인 운전 준비도를 예측하기 위한 운전자의 심리 및 생리 지표를 확인하였고, 이는 운전자의 운전 준비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기술에 적용되어 사고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 caused by the accumulation of misfolded or unfolded proteins, activates the unfolded protein response to maintain cellular homeostasis and is implicated in bacterial infec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ER stress activation in THP-1-derived macrophages infected with oral bacteria Porphyromonas gingivalis , Prevotella intermedia ,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 and Streptococcus oralis at an multiplicity of infection of 50 for 4 hours. mRNA and protein expressions related to ER stress were analyzed by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 while pro-inflammatory cytokines were measured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P. gingivalis induced the highest mRNA expression of XBP1 and PERK, whereas A. actinomycetemcomitans showed elevated GRP78, ATF6, IRE1α, ATF4, and CHOP. P. intermedia strongly expressed PERK, while S. oralis showed higher GRP78, PERK, ATF4, and CHOP expression. Protein analysis revealed S. oralis had the highest phosphorylation levels of eIF2α and IRE1α, while CHOP was most highly expressed in P. intermedia . Pro-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showed P. intermedia and P. gingivalis elicited the most TNF-α, while P. gingivalis induced the highest IL-1β levels. These findings suggest oral bacteria induce varying levels of ER stress, influencing the progression of oral infectious diseases. Targeting ER stress could offer therapeutic potential for managing inflammatory conditions like periodontiti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team-teaching between Korean English teachers and native speakers of English on English learning anxiety. A total of 248 elementary students in grade 6 participated in this study. One group of students were taught by Korean English teachers and native speakers of English while the other group never had the opportunity to speak with a native speaker in class. A survey questionnaire based on FLCAS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Scale) was newly developed to investigate how the two groups showed differences in English learning anxiety in clas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undertaken to suggest a three-factor solution. The two groups showed differences in English classroom anxiety and confidence in communication with native English speakers. On the other h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students who experienced team-teaching showed more confidence in communication with native speakers only at a rudimentary level. Therefore, 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should make their efforts to develop the skills to promote students’ confidence and higher level of communicative abilities.
본 연구는 마을공동체의 지속가능성과 관련하여 사회적 경제조직으로의 전환에 대한 경험을 살펴 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사회적 경제조직으로의 전환을 통해 경제적 자립을 확보하여 지속가능한 활동을 하고자 하는 마을공동체이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경제조직으로의 전환을 도모하고 있는 마을 공동체, 마을기업으로의 전환을 통해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공동체, 사회적 협동조합으로의 전환을 통해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공동체, 3곳의 사례이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공동체이며, 자료의 분석은 질적 사례연구에서 활용하는 사례 내 분석과 사 례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례 내 분석에서는 그 사례가 갖는 독특한 경험을 개별사례의 정황과 맥락에 따라 분석하였다. 사례 간 분석에서는 개별사례에서 발견된 주요한 의미 중 공통점을 추출하여 120개의 의미 단위를 도출하였다. 120개의 의미단위는 다시 구조적으로 통합되어, 24개의 하위구성요소와 최종적으로는 5 개의 상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5개의 상위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첫걸음’, ‘도움닫기’, ‘날아오르기’, ‘숨고르기’, ‘대표의 역할과 역량’이다. 즉, ‘마을공동체 활동 첫걸음’, ‘사회적경제조직으로 도움닫기’, ‘사회적경제조직으로 날아오르기’, ‘숨고르기(전환 과정 회상)’, ‘대표의 역할 및 역량’이다. 연구결과, 마을공동체와 사회적경제조직은 구성원 한 명 한 명 모두가 대표자의 역할과 역량을 가 지고 활동을 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럼에도 대표의 역할과 역량은 내부 구성원과 외부 조직들 과의 상생과 협력에서 무게의 중심이 된다. 이와 같은 대표의 역할과 역량을 조명해 보는 것은 사회 적경제조직으로의 전환 및 전환 이후의 지속가능성 면에서도 필요한 부분이라고 사료된다. 이에 더하 여 대표의 역할과 역량에 대한 내용은 조직 구성원 모두에게 요구되는 것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마을공동체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고민하고 있는 마을공동체, 사회경제적 조직으로 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는 공동체에 도움이 되리라고 사료된다. 나아가 행정기관 또는 마을공동체지원 센터 등의 지원조직에서 마을공동체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지원정책수립에 도움이 되리라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bias-adjusted efficiency estimates and the determinants of efficiency in the Marine-Bio industry. Efficiency was estimated using the Bootstrap-DEA model, and efficiency determinants were analyzed by utilizing the dependent variables such as company age, number of employees, location within Marine-Bio clusters, R&D performance, and debt ratio. The efficiency analysis revealed that most of the DMUs belonged to the inefficient group with efficiency values below 0.7. The primary cause of inefficiency was identified as pure technical efficiency, which reflects the effectiveness of input combinations. In the analysis of efficiency determinants,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employees and the debt ratio had a positive (+) effect on efficiency. Conversely, engaging in R&D activitie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on effici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