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70

        341.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tered oilless bearing using fluid-dynamic mechanism for high revolution of over 10,000 rpm was developed by Powder metallurgy Process. Developed bearing was composed of Fe-40-60%Cu of which inner face consisted of six-regular-prominence-and-depression. Inner face has controlled pore size and amount according to application. Jitter and friction properties were tested under assembled conditions with housing and motor. Bearing-own properties and precision were also tested because of demanding for assembled properties. Measurement-skill as well as mould-production-skill were investigated for the precision of bearing. Final precision reached 2 in inner diameter tolerance and 5 in coaxiality under assembled conditions.
        4,000원
        345.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메밀 식이섬유의 효율적인 활용방안과 종자발아의 특성 연구를 위하여 메밀(신농 1호)을 10℃에서 7일간 발아시켜, 24시간마다 시료를 채취하여 불용성, 수용성 및 총식이섬유의 함량과 조성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아 전 총식이섬유 함량은 건량기준으로 24.86%였고, 발아 1일째에 다소 감소하였다가 이후 서서히 증가하여 발아 6, 7일에는 32.22, 36.25%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은 발아 전 22.95%였고, 발아중 변화경향은 총식이섬유와 유사하였으며 발아 7일에는 31.11%를 나타냈다.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은 발아전 1.42%에서 발아 후 서서히 증가하여 발아 7일에는 4.53%였으며, 증가율은 발아 7일째에 219.0%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총식이섬유에 대한 불용성 식이섬유와 수용성 식이섬유의 조성비는 발아 전 16.2:1에서 점차 감소하여 발아 5일째에는 6.01:1이었으며, 6, 7일에는 6.54:1, 6.87:1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AOAC 법과 Prosky 법에 의한 총식이섬유 함량 차이는 0.20∼093%로써 AOAC법이 다소 높았다. 그러나 두 방법간의 평균치 검정 결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상관관계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r=0.9966, p<0.01)를 보였다. 발아중 식이섬유 구성성분들인 불용성 식이섬유(X_1), 수용성 식이섞유(X_2)와 뿌리신장도(Y)와의 함수관계를 다중회기분석한 결과, 결정계수가 R^2=0.968로 매우 높은 함수관계를 나타내 었다. 회기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Y = -12.6681 + 0.5089X_1 + 0.6622X_2( p<0.01)
        4,000원
        346.
        199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347.
        1994.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올라이트 분말을 기본재료로 하는 전기유변유체의 전기 및 유변학적 특성이 연구되었다. 전기장 인가시 높은 한계응력을 얻기 위하여 비교적 유전상슈가 큰 5종류의 유전유체를 선택하여 제올라이트 분말과 혼합하여 전기유변유체를 준비하였다. Couette형 rheometer를 이용하여 유변유체의 한계응력을 인가된 전기장 및 온도의 함수로서 측정하였다. 이중 chlorinate hydrocabon oil과 제올라이트 분말을 혼합한 전기유변유체의 한계응력은 6KPa(E=4KV/mm, T=25˚C)로서 최대치를 기록하였다. 측정된 한계응력은 온도가 상승하면 점차 감소하는 반면 전류밀도는 온도에 따라 증가하였다. 전류밀도에 대한 Arrhenius 그라프에서 전기전도에 대한 활성화 에너지는 약 0.7eV였으며 이는 제올라이트 분말에 포함된 Na+ 이온의 확산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000원
        348.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9,500원
        350.
        1993.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분극성을 갖는 미세분말/유전유체 분산계내의 전기유변효과를 mechanism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전기유변효과를 일으키는 mechanism을 (1)입자표면전도(surface conductance) (2)입자내부전도(bulk conductance(3) 유도분극(induced polarization)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소수성(anhydrous-base)전기유변유체 내의 미세분말 입자간 상호인력을 예측할 수 있도록 유도분극 mechanism을 적용하여 수학적으로 모델화 함으로써 전기유변효과를 향상 시키기 위한 재료선정의 기초로 하였다. 전기유변유체의 미세입자로 이용될 수 있다고 여겨지는 ceramic, ferrite 및 polymer등 7가지 재료를 선정하여 계산한 결과 ceramic및 ferrite입자가 입자간 상호인력이 큰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51.
        199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100원
        357.
        202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교사의 대인관계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교사의 불안정한 성인 애착과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강원도내 유·초·중·고 교사 330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척도, 대인관계유능성 척도, 대인존재감 척도를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Hayes (2013)의 PROCESS Macro 모델 4를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애착불안은 근무지 학교급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바, 유치원교사들은 중등교사들보다 애착불안이 낮고 대인존재감은 높았지만, 대인관계 유능성에서는 학교급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직경력이 낮은 교사들(1~9년)이 10년이상 경력 교사에 비해 애착불안이 높았으며, 고경력(21년 이상) 교사들은 대인관계 유능성의 하위요인인 대인갈등 다루기에서 나머지 경력 집단 보다 높았지만, 애착회피, 대인관계유능성, 대인존재감 전체에서는 학교급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가 지각한 불안정한 성인애착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부적인 관계에서 대인존재감이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대인관계 능력의 향상을 위한 교육 및 연수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359.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도로포장의 표면균열 검출을 위해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하였다. 합성곱 신경망의 학습에 사용되는 표면균열 이미지 데이터의 양에 따른 합성곱 신경망의 성능향상 정도를 평가하였다. 사용된 합성곱 신경망의 구조는 5개의 층으로 구성되 어있으며, 3x3 크기의 convolution filter와 2x2 크기의 pooling kernel을 사용하였다. 합성곱 신경망의 학습을 위해서 도로노면 조사 장비를 통해 구축된 국내 도로포장 표면균열 이미지를 활용하였다. 표면균열 이미지 데이터를 학습한 합성곱 신경망 모델의 표면균열 검출 정확도, 정밀도, 재현율, 미검출율, 과검출율을 평가하였다. 가장 많은 양의 데이터를 학습한 합성곱 신경망 모델의 표면균열 검출 정확도, 정밀도, 재현율은 96.6% 이상, 미검출율, 과검출율은 3.4% 이하의 성능을 나타내었다.
        360.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첨단산업의 발전으로 재활용이 어려운 산업부산물의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건설산업에서는 골재 수급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금속이 함유된 폐브라운관 유리를 잔골재로 100% 대체하고 전기로 산화슬래그를 굵은골재로 대체한 콘크리트의 감마선 차폐효율을 진단하여, 산업폐기물로 납과 철의 함유량을 높인 콘크리트의 차폐콘크리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 굵은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보다 반가층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중금속을 함유한 산업폐기물의 적용으로 고밀도의 콘크리트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