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6

        26.
        201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was an experimental study to evaluate temperature reduction and evapotranspiration of extensive green roof. Three test cells with a dimension of 1.2(W)×1.2(D)×1.0(H) meters were built using 4-inch concrete blocks. Ten-centimeter concrete slab was installed on top of each cell. The first cell was control cell with no green roof installed. The second and third cells were covered with medium-leaf type Zoysiagrass (Zoysia japonica) above a layer of soil. Soil thickness on the second cell was 10cm and that on the third cell was 20cm. 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solar irradiance were measured using AWS (automatic weather system). Temperature on top surface and ceiling of the control cell and temperature on top surface, below soil and ceiling of green roof cells was measured. Evapotranspiration of the green roof cells were measured using weight changes. Compared with temperature difference on the control cell, temperature difference was greater on green roof cells. Between two green roof cells, the temperature difference was greater on the third cell with a thicker soil layer. Temperature differences below soil and on ceilings of green roof cells were found greater than those of the control cell. Between the green roof cell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temperature reduction effects below soil and on ceilings based on substrate depth. In summary, green roof was found effective in temperature reduction due to evapotranspiration and shading effect.
        27.
        201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soil seed bank in rural stream topsoil using seedling emergence method in order to provide data for future ecological restoration of stream utilizing topsoil. There were 24 families, 52 genera, 61 taxa of soil seed bank flora found in topsoil from 6 rural streams. The most frequently found taxa were Compositae (12 taxa) followed by Gramineae (8 taxa), Caryophyllaceae (5 taxa), Cruciferae (4 taxa), Scrophulariaceae, Labiatae, Polygonaceae and Cyperaceae. Plant with the most number of germination was Stellaria aquatica followed by Erigeron annuus,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Poa annua, Cyperus microiria and Veronica undulata. Naturalized plants found were Erigeron annuus, Rumex crispus, Oenothera odorata, Cerastium glomeratum, Bidens frondosa, Erigeron philadelphicus, etc.
        28.
        201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opsoil from forest development area. The result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opsoil from forest development area shown on the average loamy sand~sandy clay loam in soil texture, 5.3~7.1 in pH, 0.02~0.18 dS/m in EC, 0.7~1.8% in OM, 0.03~0.11% in T-N, 11~15 cmol+/kg in CEC, 0.02~0.04 cmol+/kg in K+, 4.51~8.18 cmol+/kg in Ca2+, 0.93~2.77 cmol+/kg in Mg2+, 6~49 mg/kg in available phosphate. And the result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opsoil from forest non-development area shown on the average sandy loam~sandy clay loam in soil texture, 4.4~5.3 in pH, 0.03~0.05 dS/m in EC, 3.1~4.6% in OM, 0.13~0.23% in T-N, 14~18 cmol+/kg in CEC, 0.02~0.04 cmol+/kg in K+, 0.78~3.82 cmol+/kg in Ca2+, 0.29~1.31 cmol+/kg in Mg2+, 3~31 mg/kg in Av. P2O5. On the other hand, forest development area of topsoil sand content higher than 8~18% sand content than the forest non-development area. This trend is thought to be the absence of topsoil management development projects. Consequently, the results suggested a high potential of recycling of the topsoil from forest non-development area for planting soil. Therefore, in construction of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opsoil from forest non-development area is very important.
        32.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observed temperature in order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emperature by zoning and to measure the intensity of their impact on temperature. The empirical results of analyzing observed data are as follows. In order to make up for multicollinearity, a problem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o give more specific explanations, this study conducted factor analysis and obtained desirable data with adequacy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correlation matrix, factors decreasing temperature were planted areas, water surfaces and grasslands, and those increasing temperature were bare grounds, paved areas, and building area. According to land cover patterns, commercial areas had the highest temperature lowering effect. Through the rotated component matrix, we found that factors are grouped into those decreasing temperature, those increasing temperature, and those with low significance in increasing or decreasing temperatu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multicollinearity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 performed factor analysis between the land use patterns and temperature and confirmed the usability of factor analysis as a new analysis method in urban heat island.
        33.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이양-능주간 국도비탈면의 표면침식을 방지하고 친화경적으로 녹화를 실시하기 위해 주요 비탈면 녹화공법에 대해서 시험시공을 실시하여 현장에 적합한 비탈면 녹화공법을 선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리핑암과 발파암 비탈면에 적용된 각 공법의 식생기반재는 기준치 이내로 나타났으며, 토양경도와 토양산도도 기준치 이내로 식물이 발아 생육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현종수는 리핑암 비탈면에서는 녹화공법 A와 녹화공법 B가 파종한 12종 중 11종이 출현하여 높은 발아율을 보였으나, 녹화공법 C는 20종 중 12종이 출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보였다. 발파암 비탈면의 녹화공법 A-1은 16종 중 15종이 출현하였으며, 녹화공법 B-1은 12종 중 10종이 출현하였다. 하지만 녹화공법 C-1은 19종 중 12중이 출현하였다. 시험시공 6개월 후,「비탈면녹화 설계 및 시공 잠정 지침(안)」에 의한 식생피복율 평가에서 리핑암비탈면에서는 녹화공법 C가 약 9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발파암 비탈면에서는 녹화공법 C-1이 9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4.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여름철 인체 실험을 통해 온냉감, 쾌적감, 기류감 등을 측정하여 토지피복현황에 따라 인간이 느끼는 온열쾌적감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지피복현황에 따라 기상요소를 분석한 결과 기온의 경우 식재지가 최저온을, 포장지가 최고온을 형성하였다. 최고온역인 포장지와 최저온역인 식재지의 온도 차이는 3.9~4.1℃로 나타났다. 풍속의 경우 나지, 수면, 건폐지의 풍속이 1m/s 이상을 보였고 식재지, 초지, 포장지는 1m/s 이하의 풍속이 관측되었다.2. 풍속에 따른 기류감 및 기류평가에서 풍속이 증가함에 따라 기류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풍속이 0.3m/s일 경우부터, 기류감을 느끼기 시작하고 풍속이 1.5m/s일 경우 거의 모든 피험자가 보통이상으로 느끼며 1.9m/s일 경우 기류가 강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같은 기류일 경우 식재지의 기류가 포장지의 기류보다 더 큰 만족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온열 중성점은 25.6℃에서 나타났고 온냉감의 수치로 -0.5~+0.5를 쾌적범위로 할 경우 쾌적범위는 24.7~26.6℃로 나타났다.4. 기상요소와 쾌적감에 미치는 효과의 상관분석결과, 기상요소가 쾌적감에 미치는 효과는 일사량, 풍속, 기온, 습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5. 토지피복현황에 따른 기온과 쾌적감 비교 결과 식재지는 다른 지역에 비해 쾌적감이 현저히 높았으며, 실외의 경우 기상요소인 기온, 일사, 풍속, 습도의 조합에 따라 쾌적감이 달라지기 때문 단순한 기온 및 습도의 조합으로 쾌적감을 나타낼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35.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학교 옥외환경이 학생들의 환경의식 및 환경교육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시범학교와 일반학교의 비교 연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학생들은 자신의 학교 옥외공간에 ‘나무, 꽃 등의 관찰공간’, ‘화단’, ‘야외수업 및 휴식공간’, ‘연못 및 생태 숲’ 등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야외수업 및 휴식공간’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조경공간 만족도에 있어서는 시범학교와 일반학교의 차이가 검증되었으며 숲 조성으로 인한 식물 수량의 증가와 이로 인해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점이 만족의 이유로 조사되었다. 3. 학교숲 조성은 학생들의 식재수량 인식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학교숲 조성으로 인한 식재수량의 증가는 학생들의 식물 관찰빈도를 높여주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관찰빈도의 증가가 식물이름을 아는 정도에도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교목․교화의 인지도, 교과서 식물 인지도의 분석 결과를 볼 때, 학교숲 조성 후 적극적인 환경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학생들의 환경의식고취 및 교육적 효과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환경교육은 대부분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교과서 위주로 진행되고 있었으며, 현장에서 직접 체험하는 방식의 교육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이 몸소 체험하며 보고, 듣고, 느낄 수 있는 방식의 효과적인 학습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36.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도시 내 생태환경을 개선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옥상녹화에 대한 최근의 한일 옥상녹화 지원제도 및 시공실태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결론은 얻을 수 있었다. 국내 옥상녹화를 더욱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녹화시스템 등의 기술개발은 물론 이를 장려할 수 있는 제도의 보완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특히, 현재 일본에서 시행하고 있는 옥상녹화 관련 공사비의 저금리 융자나 조세감면 혜택, 식물 지원이나 기술지도 등의 방안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또한 국내 옥상녹화 조성에 있어서도 제도 보완을 통한 보급 확대는 물론 지역차별성을 고려한 옥상녹화 유형의 다양화, 식물 소재의 다변화, 모니터링에 통한 조성 후 평가 및 관리, 전국 단위의 조성 사례 집계 자료 축적 등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37.
        200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land cover condition and temperature in various types of urban green spaces. The diagram of temperature distribution showed that high-temperature zones are formed around paved areas, and low temperature zone around planted areas and grassy areas. Even in planted areas where low-temperature zones were formed, temperature was different according to hierarchical structure. That is, temperature was relatively low in areas covered with arbor + sub-arbor. With regard to land cover ratio, the increase of planted areas and grassy areas had an effect on the fall of temperature and the effect was higher in order of planted areas and grassy areas. On the contrary, paved areas and bare areas had an effect on the rise of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in case of the highest temperature, planted area and grassy area were put together into a factor lowering temperature, paved area and temperature into a factor raising temperature, and bare area alone into a factor of low significance. In case of the lowest temperature, grassy area and bare area were put together into a factor, and the validity of the factor analysis was proved by the analysis of urban heat island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trees by height was effective in lowering temperature, and the effect was high in order to arbor and sub-arbor, and the source of coldness in planted area was tall trees.
        38.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causes and intensity of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by the seasons according to the pattern of land use in Chungju City. Highest temperature and lowest moisture areas of the urban were very similar to the distribution of commercial districts, on the other hand, lowest temperature and highest moisture areas were distributed in manufacturing districts, green zones and the Hoam Lake. If appear at intensity of the distance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commercial districts, wind direction and the rise of temperature, we could observe the remarkable expansion of high temperature from commercial districts toward residential districts around of downwind in all seasons. In case the effect of the wind was not significant as well, high temperature in commercial districts appeared tendency that a little spread to 1, 2 residential districts around. But checked up the intimate relations between the amount of moving heat and wind, when out of consideration that size of area was not much compared than residential areas of downwind affected by the wind. These phenomenon was relatively obvious in summer, the other side, in spring and autumn appeared a similar tendency.
        39.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금까지 도시의 성장은 도시의 기반시설의 공급과 배치에 중점을 두면서 발전하여 왔다. 이로 인하여 주민생활의 질적향상 보다는 양적팽장 위주로 도시계획이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도시발전에 따라 도심구조가 점차 복잡해지고 다기능화 됨에 따라, 그 본질의 순기능보다 역기능을 유발시키는 등 그 한계를 나타내며 도시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내게 되었다. 현재 각국의 대도시에서 나타나고 있는 열섬(Heat Island)현상은 도시화 과정에서 나타난 대표적인 환경문제의 하나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여 선진 각국은 국가차원에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김상진, 2005). 본 연구는 열섬현상 완화 등 도시생태환경의 개선을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옥상녹화에 대해서 일본을 사례로 하여 조성현황을 분석하였다. 도쿄도는 2001년 4월부터 부지면적이 250㎡이상의 공공시설과 1000㎡이상의 민간시설을 대상으로 이용 가능한 옥상공간의 20%에 수목과 잔디, 초화류 등의 식재를 의무화하는 조례를 제정해 실시하고 있었다. 오사카부에서는 「민간시설녹화추진사업」을 활용하여 1994년부터 2004년까지 22개의 시설에 대해서 옥상녹화 지원사업을 실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부터 2004년까지 5년 동안의 옥상녹화 시공면적이 10,000㎡를 넘는 지방자치단체는 12개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도쿄도가 237,040㎡(30.5%)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가나가와현 73,812㎡(10.8%), 오사카부 73,812㎡(9.5%), 아이치현 60,165㎡(7.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식재형식에 따른 옥상녹화 시공면적은 복합형 식재가 212,198㎡로 전체의 33.8%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며, 세덤 중심의 식재가 211,257㎡(33.7%), 잔디 중심의 식재가 130,976㎡(20.9%)로 전체의 88.4%인 554,43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축물 용도별 옥상녹화 시공면적은 주택․공동주택의 주택계가 172,555㎡(22.2%)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교육문화시설 119,530㎡(15.3%), 의료복지시설 98,894㎡(12.7%) 등 공적인 시설의 순이었다. 특히, 상업시설에 대한 옥상녹화 시공면적은 2000년도 906㎡에서 2004년도 27,836㎡로 가장 많은 증가추세를 보였다. 일본에서는 2001년 도쿄도, 2002년 효고현를 포함해 현재 42개 지방자치단체(공공단체 포함)에서 옥상녹화를 지원하는 조례 및 지원제도를 정비해 보급에 힘쓰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서울, 인천, 부산, 대구, 울산 등과 같은 대도시에서 옥상녹화를 권장하는 조례를 제정해 옥상녹화 보급을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아직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고 있다. 따라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보다 적극적으로 공공시설의 옥상녹화 관련 시범사업의 확대 및 보조제도의 도입 등 현실적인 조치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40.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total coliform the translocation of heavy metals and the salt accumulation in soils following the supply of ground water, the domestic wastewater and the ultraviolet treatment of domestic wastewater during the spinach and the chinese cabbage cultivation. There were not much changes in the Total-N, Total-P and cations in soils following the ultraviolet treatment of the domestic wastewater. However, the density of total coliform was dramatically reduced from 894MPN/100mL to 5MPN/100mL. The diagnosis of composition of soil after the harvest of chinese cabbages and spinach has shown that the concentration of Na+ was 3-4 times higher in plot using domestic wastewater than in plot using ground water. When domestic wastewater and ground water were used in growing spinach md chinese cabbage at 50% each, the application of chemical fertilizers reduced about 25% to 50% compared to the criteria set down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d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harvest. Using non-ultraviolet treatment of domestic wastewater directly on spinach and chinese cabbage has resulted in excessive density of total coliform at 25,000MPN/100mL. Even when ultraviolet treatment, the density was still high at 2,000MPN/100mL. The high density of total coliform even following ultraviolet treatment of domestic wastewater is considered to be caused by photo-reactivation of micro-organism. When reusing domestic wastewater, the application of sterilization such as ultraviolet, ultrasonic and electron-beam for public health and hygiene reasons may provide safe supply of agricultural water.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