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7

        21.
        200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200원
        22.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화바둑명나방의 온도별(15.0, 17.5, 20.0, 22.5, 30.0, 32.5, ) 발육과 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알에서 성충까지의 발육기간은 에서 68.6일이었고, 에서는 19.7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그 기간이 짧았으며, 에서는 보다 불육기간이 3.5배나 짧았다. 그리고 에서는 알에서 번데기 전단계까지는 발육하였으나 번데기에서 우화하지 않았다. 알, 유충, 번데기, 그리고 알에서 성충까지의 발육영점온도는 각각 , 10.6, , 였고, 유효적산온도는 각각 55.3, 251.5, 138.3, 479.8일도였다. 부화율, 용화율 그리고 우화율은 와 27.5에서 높았다. 부화유충에서 성충까지의 생존율은에서 가장 높았다. 산란전기와 성충수명은 17.5에서 각각 11.5일, 30.6일이었고, 에서는 각각 1.5일, 9.2일로 온도가 높을수록 짧았다. 그리고 암컷한마리당 평균 총산란수는와 에서 많았다. 1세대당 순 증식율()은 에서 199.1로 가장 높았다. 그리고 내적자연증가율()은 온도가 높아 갈수록 컷으며 에서 0.148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목화바둑명나방의 성장에 적합한 온도범위는 25.0~이었다.
        4,000원
        25.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토양중 유기물 함량 차이에 따른 토양내에서 carbofuran과 ethoprophos의 약효 변화, 수직 이동성 및 잔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고구마뿌리혹선충 (Meloidogyne incognita)을 공시하여 실험하였다. 두 약제 모구 토양중 유기물 함량이 많을수록 약효는 감소였다. 약제의 수직이동성은 토양 표면에서 0~2cm층에서는 유기물의 함량에 관계없이 두 약제 모두 80%이상의 높은 방제가를 보였으나, 2~4cm층에서는 유기물의 함량에 관계없이 두 약제 모두 80%이상의 높은 방제가를 보였으나, 2~4cm 층에서는 두 약제의 방제가가 다르게 나타났다. Carbofuran의 경우 유기물 함량에 따라 10~30%의 방제가를 나타냈으나, ethoprophos는 0.4% 유기물 토양에서만 약 30%의 방제가를 나타냈으며, 나머지 유기물 토양에서는 효과가 거의 없었다. 또한 4cm 이하의 토양에서는 carbofuran은 대부분의 토야에서 5~20%의 내외의 약효를 나타냈으나, ethoprophos은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 두 약제 중에서 토양중 이동성은 carbofuran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중 유기물 함량은 두 약제의 잔효지속기간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유기물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약효지속기간이 감소하였다. 약효의 반감기는 carbofuran의 경우 유기물 함량이 0.4%인 토양에서는 2~3주로 나타났으나, 0.8%, 1.6% 토양에서는 1주 정도였다. 한편, ethoprophos의 경우 0.4%, 0.8%의 토양에서는 3~4주, 1.6%인 토양에서는 1~2주로 나타났다. 그러나 두 약제 모두 3.2%의 유기물함량 토양에서 약제의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4,000원
        26.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국 6개 지역의 사과원에서 점박이응애를 채집하여, 15종의 살비제에 대한 성충과 알의 감수성을 비교하였다. 공시살비제에 대한 성충과 알의 약제감수성은 서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약제의 종류별 감수성은 지역에 따라 다향하게 나타났는데, 지역 계통별 살비제에 대한 저항성비가 20이상인 약제들을 성충과 알로 나누어 정리하며, 성충의 경우, 수원 계통은 azocyclotin, cyhexatin, fenbutatin-oxide에 대하여, 대전 계통은 dicofol, fenbutatin-oxide에 대하여, 청주 계통은 dicofol에 대하여, 진주 계통은 cyhexatin, dicofol, fenbutatin-oxide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알의 경우는 수원 계통은 bifenthrin, clofentezine, hexythiazox, tetradifon에 대하여, 군위, 청주, 광주 계통들은 bifenthrin에 대하여, 대전 계통은 amitraz, bifenthrin에 대하여, 진주 계통은 amitraz, bifenthrin, clofentezine, dicofol, tetradifon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abamectin, chlorfenson, fenpyroximate에 대한 약제감수성은 채집 지역에 관계없이 실내 감수성 계통과 차이가 없었다.
        4,000원
        27.
        199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의 감수성계통(S)과 dicofol 저항성계통(R)을 공시하여 dicofol저항성의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Dicofol 저항성계통(저항성비 23.0)의 약제도태없는 조건하에서 사육된 암컷성충의 dicofol에 대한 저항성 수준은 1년이 경과된 후에도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1년 이후부터는 감소하기 시작하여 2년째에는 저항성비가 15.8배, 3년째에는 10.7배로 감수성쪽으로 기울었다. 점박이응애의 dicofol 저항성계통과 감수서계통의 상호교배 에서 얻어진 세대별 약제 감수성도 세대가 경과됨에 따라 감수성쪽으로 기울었다.
        3,000원
        28.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키틴합성저해제인 diflubenzuron, triflumuron, chlorfluazuron을 갈색거처리와 유충과 번데기에 처리하여 효력검정법을 개발하였다. 유충에 대한 처리는 국소처리와 독먹이처리를 행하였고, 번데기에 대하요 용체침적처리와 미량주사처리를 행하였다. 유충에 대한 10 국소처리와 번데기에 대한 100ppm 용체 침적처리 결과 세약제 모두 유충 및 번덱의 발육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다. 유충에 대한 독먹이 처리에 있어서의 {{{{ { LC}_{ 50} }}}}값은 diflubenzuron 11.3, triflumuron 42.7, chlorfluazuron 6.2ppm이었다. 번데기에 대한 미량주사처리에서는 diflubenzuron 0.053, triflumuron 0.230, chlorfluazuron 0.340 /pupa의 {{{{ { LC}_{ 50} }}}}값을 나타내었다.
        4,000원
        29.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실내에서 사육한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의 감수성계통(S)을 유기염소계 살비제안인 dico-fol을 공시하여 인위적으로 도태선발하여 저항성 발달과 저항성 유전을 조사하고, 교차저항성 유무를 검토하였다. Dicofol을 150회 처리하여 얻은 선발계통({{{{ { R}_{d } }}}})은 감수성계통에 비하여 {{{{ { LC}_{50 } }}}}값이 27.5배증가하였다. 감수성계통과 저항성계통의 상호교배에서 얻어진 {{{{ { F}_{1 } ({ R}_{♀ }X{ S}_{♂ },{ R}_{♂ }{ S}_{♀ })}}}}의 우성도는 암컷성충에서 각각 -0 .2 9, -0.72, 수컷성충에서 각각 -0.42, -0.93로 나타났다. 따라서 dicofol 저항성 유전자는 불완전열성에 의해 지배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 R}_{d } }}}}계통 은 아미트라즈계인 amitraz에 대해서 높은 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고, 또한 pyethroid 계 살비제인 acrinathrin, bifenthrin에 대해서도 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Abamectin, chlofenson, clofente-zine, cyhexatin, fenbutation oxide, fenpyroximate, hexythiazox, monocrotophos, propargite, tetradifon에 대해서는 비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유기주석계인 azocyclotin과 fenbutatin oxide에 대해서느 역상관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4,000원
        30.
        198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잎선충(線蟲) 방제(防除)를 위(爲)한 볍씨의 온탕침적조건(溫湯浸績條件), 벼품종간(品種間)의 저항성(抵抗性) 정도(程度), 피해경율(被害莖率)과 수량감소(收量減少) 정도(程度) 등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해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볍씨 온탕침법(溫湯浸法)에 의(依)한 선충(線蟲) 방제효과(防除效果)는 에서 10-15분간(分間) 처리(處理)하였을때 가장 좋았다. 벼잎선충(線蟲)에 대한 품종간(品種間)의 피해경율(被害莖率)은 통일형(統一型) 품종(品種)의 경우 White tip 증상(症狀)이 나타나지 않았고 일본형(日本型) 품종(品種)들은 대부분 White tip 증상(症狀)이 잘 나타났는데 그 중(中)에서도 오태(五台)벼와 부광벼는 각각(各各) 95.6%, 81.8%의 높은 피해경율(被害脛率)을 보였다. 그러나 볍씨내 선충밀도(線蟲密度)에 있어서는 통일형(統一型), 일본형(日本型) 품종(品種) 모두 벼 10g당 100마리 이상(以上) 검출되었다. White tip 증상(症狀)이 나타나지 않았던 통일형(統一型) 품종(品種)들도 선충(線蟲) 접종구(接種區)에서는 수량(收量) 및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가 감소(減少)되는 품종(品種)이 많았고 일본형(日本型) 품종(品種)에서는 피해경율(被害莖率)이 높았던 오태(五台)벼와 부광벼는 40% 가까운 수량감소율(收量減少率)을 보였으며 전체적(全體的)으로 통일형(統一型) 보다는 일본형(日本型) 품종(品種)에서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와 수량(收量)의 감수정도(減收程度)가 높게 나타났다. 일본형(日本型) 품종(品種) 중(中) 영덕(盈德)5호(號)는 접종구(接種區)에서 White tip 증상(症狀)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고 수량(收量)도 감소(減少)되지 않아 벼잎선충(線蟲)에 대하여 저항성(抵抗性) 품종(品種)으로 생각된다.
        4,000원
        31.
        202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반도 동남부에서 가장 규모가 큰 마이오세 포항분지의 남서부를 대상으로 상세한 지질도 작성과 지질구조를 분석하여 분지 발달사를 해석하였다. 포항분지 남서부는 북북동 방향의 분지 내 지구내지루에 의해 기하와 변형사가 서로 다른 서쪽의 보문구역과 동쪽의 오천구역으로 나누어진다. 보문구역은 포항분지 초기 확장 이후 거의 변형되지 않은 반면, 오천구역은 충전물의 퇴적 이후에도 후기 변형이 지속·중첩된 지역이다. 따 라서 보문구역은 포항분지 최초 확장 형식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보문구역은 북북동 방향의 정단 층들과 북북서(북서) 방향의 우수향 주향이동단층 분절들이 지그재그로 이어진 서편 경계단층에 의해 침강이 주도되었으며, 이 경계단층은 남쪽으로 한반도 동남부 마이오세 지각변형의 서쪽 한계선이며 우수향 주향이 동성 주변위대로 알려진 연일구조선과 연결된다. 따라서 포항분지는 17-16.5Ma 경 활동을 시작한 연일구조 선 북쪽 말단에 우향스텝 형태로 생성된 북북동 방향의 정단층 또는 사교이동단층에 의해 서북서-동남동 방 향으로 확장된 횡인장단층말단분지로 최초 침강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로 인해 보문구역에는 서쪽으로 갈수록 분 지의 깊이가 더 깊어지는 북북동 방향의 비대칭 지구 또는 반지구가 생성되었다. 이후 포항분지의 확장과 변 형은 오천구역을 포함하는 보다 동편 지역으로 이동하였다.
        32.
        2015.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ognosis of the patients with lung cancer with lung-to-lung metastasis are known to be poor and frequently old aged persons with multiple nodules on imaging study abandon more invasive procedure including bronchoscopy and VATS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to get tissue confirmation. Sjogren’s syndrome (SS) associated lung lesion mimicking lung cancer has a chance to have more favorable diseases including lymphoma. A 78-year-old woman with SS was admitted due to slowly progressive exertional dyspnea and multiple nodules on imaging study. She and her family gave up invasive diagnostic procedures at first due to old age but short term rapid change of dyspnea and nodules on chest CT brought out invasive procedures and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was diagnosed. Dyspnea and nodules on imaging were improved after R-CHOP chemotherapy.
        33.
        2014.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tramuscular lipoma is a rare benign tumor. It refers to infiltrating lipoma because it originates between skeletal muscle abundles and infiltrates into the intramuscular septa. Kransdorf reported that the majority of lipomas were located in the trunk, head/neck, and lower extremity. In addition, in research by Kindlom et al., on 43 cases of muscular infiltrative lipoma, there was no case involving the chest wall. We report on a case of intramuscular lipoma on the anterior chest wall. The lesion was removed completely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s showed that mature adipocytes had infiltrated serratus anterior muscle in a diffuse manner. After treatment, the patient has shown no complication or evidence of recurrence.
        34.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업부산물인 폐유황의 재활용을 목적으로 개질 처리된 유황을 대상으로 콘크리트용 혼화재료로서의 개질 처리된 유황 액체와 분말을 콘크리트에 0%, 5%, 10%, 15% 외할 첨가하여 개질유황 액체와 분말의 첨가별 물리적 특성 및 내구성능을 평가한 결과를 고찰하였다.
        35.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매년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인적재난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시민보호를 위한 생활안전 위험요인을 분석하여 이를 연구과제 도출을 위한 로드맵으로 도식화하여 과학기술기반의 연구과제 목록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인적재난의 반복적인 통계가 잡히고 있지만,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연구과제화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인적재난 연구가 미미하였으며, 이러한 반복적인 인적재난을 줄이기 위한 과학적인 접근으로, 정책과 매뉴얼과 평가가 일원화하여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기반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매년 발생하는 인적재난의 반복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과제도출과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관점에서의 과제도출과 인프라와 법제도 정비를 통한 지원체계상의 과제도출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인적재난 최소화를 위한 연구를 종합적으로 재난관리하고, 체계적인 연구과제 지원으로 인하여 시민보호에 더욱 유용한 결과를 얻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36.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업부산물인 폐유황의 재황용을 목적으로 개질처리된 유황을 대상으로 콘크리트용 혼화재료로써의 물성검토를 위하여 개질처리된 유황을 콘크리트에 외할 첨가하여 개질유황 첨가별 압축강도 및 내구성능을 평가한 결과를 고찰하였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