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2

        21.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sian is rich in honey bee species and genetic diversity. Among the difference native honey bee species, Apis cerana is very diversity of subspecies and distribution as well. Until now, nine A. cerana subspecies have been named. However, natural diversity of this species is being declined by threats such as pest, disease, deforestation, pesticide positioning and climate change. Therefore, the understanding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cerana is viral for maintaining biological diversity. In this paper we give an overview of method that are used for distinguish honey bee A. cerana subspecies and ecotype that can contribute to recognize genetic origin of colonies for conservation and breeding purpose. Base on morphmetric method currently in use, we outline strategies for sampling and measurin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n A. cerana.
        22.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울릉도지역에서 이용되고 있는 민속식물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9년 3월부터 2010년 9월까지 수행되었다. 울릉도의 20개리에서 주민 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수집한 조사야장 553장의 설문을 분석한 결과, 51과 93속 98종 2아종 13변종 총 113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조사된 113분류군 중에는 한국특산식물 5분류군, 희귀식물 14분류군, 귀화식물 5분류군이 포함되어 있었다. 용도별 이용현황은 약용 72종류, 식용 65종류, 관상용 5종류 등으로, 약용의 이용 빈도가 가장 높았다. 이용 부위로는 잎, 열매, 뿌리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별 표준식물명과 지방명의 일치성 여부를 분석한 결과 40대에서 가장 높았으며, 70대에서 가장 낮았다.
        4,200원
        23.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구지역 공⋅사유림 내 산림습원의 식생구조와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보존가치가 있는 산 림습원의 발굴 및 보전, 향후 체계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에 있다. FGIS 를 이용하여 예상 지점을 도출하고, 산림습원의 보호를 위한 완충구역을 설정하였다. 산림습원으로 판별된 11개 지점을 층위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63과 131속 148종 2아종 14변종 5품종으로 총 169분류군의 식물이 출현하였다. 산림습원의 종다양도는 관목층에서 1.56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균재도는 관목층에서 0.913로 가장 균일한 상태를 나타냈으며,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모두 0.3이하로 나타나 한 종이 우점하지 않고 층위별로 다수의 종이 공존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완충구역은 습지의 종류, 지형 등을 고려하여 핵심지역 경계부로부터 20~50m로 설정하였다.
        4,900원
        24.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 특산식물인 변산바람꽃(Eranthis byunsanensis B.Y. Sun)의 분포현황 및 서식지에 대한 생태적 특성과 식생에 대해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향후 자생식물을 활용한 자원화 및 보전과 복원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는 2010년 2월부터 7월까지 변산, 여수, 거제, 울산, 경주, 제주, 안양 등 7개 지역에서 수행되었다. 각 지역에 1m×1m의 방형구를 총 59개 설치하고 방형구 내에 분포하는 모든 종의 피도와 빈도를 기록하였고, 상층부 교목의 우점종을 기록하고 서식지의 환경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변산바람꽃은 해발 84m~585 m 사이에 분포하였고, 총 59개 방형구 중 43개의 방형구가 북동사면에 위치하였다. 또한 경사 10~20º의 계곡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분포하였으며 토양분석결과 유기물은 평균 9.6%, pH는 4.9로 대부분 약산성이며 토양수분함량은 평균 16.5%로 나타났다. 고도에 대해 경사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 고도가 낮아질수록 경사가 완만해지며, 토양은 산성을 띄는 경향을 보였다. pH와 토양수분 함량, 변산바람꽃의 분포와 유기물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수분이 풍부하고, 영양분의 공급이 원활한 지역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59개 방형구에서 144개 분류군이 나타났으며 서식지 주변의 교목으로서 고로쇠나무와 까치박달나무, 비목나무, 서어나무 등이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한국 특산식물인 변산바람꽃의 자생지 보전 및 복원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변산바람꽃을 활용한 분화용 소재개발 및 재배 시 최적의 서식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5.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의 남부 해안지방의 상록수림 아래에서 자 생하는 새우난초(Calanthe discolor)의 생육과 개화에 알맞은 광도를 규명하기 위하여 자연광조건과 차광율 을 94%, 80%, 71%, 58% 그리고 32% 수준으로 조 절한 차광조건 아래에서 2년간 재배하면서 생장과 개 화반응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자연광 조건인 양지쪽에 서는 잎에 황화현상과 갈반현상이 나타났고 때로는 고 사하였다. 엽장과 엽폭은 광도가 낮아질수록 증가되었 는데 특히 71% 이상의 차광구부터 뚜렷하게 증가되었 으며 잎의 엽록소 함량은 광도가 낮아짐에 따라서 증 가되었으나 생체중은 58% 차광구에서 가장 무거웠고 화경당 착화수는 차광율 71%와 80% 조건에서 많았 다. 한편 개화시기는 차광정도가 심해질수록 지연되었 다.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때 새우난초는 71%와 80% 수준의 차광조건 아래에서 재배하는 것이 잎의 생장과 개화가 가장 양호하였고 관상가치가 높았다.
        3,000원
        26.
        2011.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연구지역에서 고준위방사성폐기물처분을 위한 부지특성평가 기술 구축을 위해 지질특성조사가 1997년부터 지표기반 조사, 시추공 조사를 포함하여 수행되었다. 2006년에는 지하처분연구터널(KURT, KAERI Underground Research Tunnel)을 준공하여 연구지역에 대한 심부지질환경 규명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원자력연구원내 건설된 지하처분연구시설 주변 지역을 연구대상지역으로 하여 지질모델에 대한 수리지질모델의 통합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지역에서 굴착된 9개의 시추공에 대한 현장 수리시험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지질모델에서 도출한 풍화대, 상부저경사단열대, 심부 영역에 존재하는 결정론적 단열대에 대한 수리지질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제시된 수리지질모델은 향후 지하수 유동모델링에 이용될 것이다.
        4,000원
        27.
        2010.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준위방사성폐기물처분을 위한 부지특성평가 기술을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심부지질환경을 이해 하기 위해 1997년부터 지금까지 한국원자력연구원 주변 지역을 고준위폐기물처분을 위한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여 다양한 지질 관련 연구를 수행해왔다. 특히, 2002년에는 고준위폐기물의 처분 대상 심도의 시 추공(지하 500 m)을 굴착하였으며, 2006년에는 지하처분연구시설(KURT, KAERI Underground Research Tunnel)을 준공하여 연구지역에 대한 심부지질환경 규명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 지하처 분연구터널의 좌측 연구용 모듈 내에 500 m 길이의 장심도 시추공을 굴착하여 다양한 부지특성평가 연 구를 수행 중에 있다. 본 연구는 고준위폐기물의 심지층 처분을 위한 요소 기술인 심부영역의 부지특성평가기술 구축을 위해 장심도 시추공 자료를 이용하여 KURT 주변의 지질구조 분석하였다. 연구지역의 장 심도 시추공에서 지구물리탐사, 시추공 지질조사 등 다양한 현장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총 7개의 지질구조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KURT 지역의 부지특성연구의 주요한 한 부분으로서 기존에 구 축된 지질모델을 보완하는데 이용될 예정이다.
        4,500원
        28.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900원
        29.
        2009.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준위방사성폐기물처분을 위한 부지특성평가 기술을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심부지질환경을 이해하기 위해 1997년부터 지금까지 한국원자력연구원 주변 지역을 고준위폐기물처분을 위한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여 다양한 지질 관련 연구를 수행해왔다. 특히, 2002년에는 고준위폐기물의 처분 대상 심도의 시추공 (지하 500m)을 굴착하였으며, 2006년에는 지하처분연구시설 (KURT, KAERI Underground Research Tunnel)을 준공하여 연구지역에 대한 심부지질환경 규명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 지하처분연구터널의 좌측 연구용 모듈 내에 500 m 길이의 장심도 시추공 및 지하처분연구시설에서 남쪽으로 약 200 m 이격된 위치에서 1,000m의 장심도 시추공에서 다양한 부지특성평가 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본 연구는 고준위폐기물의 심지층 처분을 위한 요소기술인 심부영역의 부지특성평가기술을 구축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수리지질학적인 관점에서 부지특성평가의 기본 모델이 되는 3차원 지질모델을 구축한 내용이다. 연구지역에서 수행된 지표 지질조사와 시추공 자료를 이용하여 종합 분석한 결과, 수리지질학적 관점에서 중요한 풍화대, 상부 저경사단열대, 심부 영역에 존재하는 결정론적 단열대를 규명하여 3차원으로 모형화하였으며, 향후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지질요소의 수리지질특성을 평가하여 고준위방사성폐기물처분 분야에 중요한 기술인 심부 영역의 수리지질환경을 이해하는데 활용될 예정이다.
        4,800원
        30.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search for the optimum composition of media material and media size for vinyl bag culture using sawdust. Considering the incubation period and the successful culturing rate, the optimum media size was length 25cm diameter 14cm (weight 2.5kg). The saturation moisture amount of Oak sawdust was 251㎖/100g. It is a half of pine sawdust 495㎖/100g. In 10 treatments of media construction including Oak sawdust 100%, the optimum material mixing rate was Oak sawdust 80%+wheat bran 20% and Oak sawdust 80%+ bran 20% considering the hypha growing speed and hypha density. The optimum moisture amount in media for growing Lentinus edodes was 55%. Injection pipe with 20 holes in media was reduced the incubation periods to 11 days when 20cm length media and 32 days when 30cm length media. The best method for browning media surface was above 10℃ of hematocryal and punching the vinyl bag. This treat could shortened the browning periods to 54 days.
        31.
        200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search for the optimum composition of media material and media size for vinyl bag culture using sawdust. Considering the incubation period and the successful culturing rate, the optimum media size was length 25cm× diameter 14cm (weight 2.5kg). The saturation moisture amount of Oak sawdust was 251㎖/100g. It is a half of pine sawdust 495㎖/100g. In 10 treatments of media construction including Oak sawdust 100%, the optimum material mixing rate was Oak sawdust 80%+wheat bran 20% and Oak sawdust 80%+ bran 20% considering the hypha growing speed and hypha density. The optimum moisture amount in media for growing Lentinus edodes was 55%. Injection pipe with 20 holes in media was reduced the incubation periods to 11 days when 20cm length media and 32 days when 30cm length media. The best method for browning media surface was above 10℃ of hematocryal and punching the vinyl bag. This treat could shortened the browning periods to 54 days.
        35.
        199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형 변단면 부재의 삼차원 공간에서의 해석을 위하여 강도행렬을 유도하였다. 변단면 부재의 구조물을 해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유도된 강도행렬을 사용하여 구한 결과와 분할부재를 균일단면 탑 형태로 표현하여 ANSYS에서 구한 결과를 비교하여 본 연구의 결과 효율성 및 정확성이 증진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도된 강도행렬은 변단면 부재와 균일단면 부재의 해석에 사용할 수 있다.
        4,000원
        36.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에 위치하는 돌산도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고 분포가 확인된 주요 식물에 대해 논의하였다. 현지조사는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총 15회에 걸쳐 수행되었으며, 이에 대한 증거표본은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KH)에 소장하였다. 분포가 확인된 관속식물은 113과 338속 517종 1아종 49변종 3품종 총 570분류군이다. 이중 한국특산식물은 개족도리풀 등 18분류군을 확인되었으며, 환경부지정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은 V-I등급으로 총 90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희귀식물은 위기종(EN)인 백양꽃 1분류군을 포함하여 총 4분류군이며, 적색목록에 속하는 관속식물은 취약종(VU) 갯취 등 총 8분류군이다.
        37.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denostemma madurense DC. (Asteraceae, Adenostemma L.), which is known to be distributed in Japan, Taiwan, Thailand and Nepal was recently found on Jeju Island in Korea. It is morphologically allied to A. madurense but distinguished from A. lavenia (L.) Kuntze by having such characters as broadly ovate or ovate to oblong leaves, 15-21 ㎝ long × 7-12 ㎝ wide and smooth achenes with slightly muricate at the upper. Furthermore, A. madurense is found in dry mountain slopes in evergreen forests while Adenostemma lavenia occures in the wetland and side of pond. This taxon was named ‘San-mul-meo-wi’ in Korean based on its habitat. We provide a description, illustrations, photographs, and the key to the related species in Korea.
        38.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Undulatum Rhubarb, commonly produced in domestic, is rhizome of Rheum undulatum L. that belongs to the family Polygonaceae. It also can be used as a substitute of R. palmatum L., R. tanguticum Maximowicz ex Balf., and R. officinale Baillon which completely depend on import system. However, there should be clear clarification among Undulatum Rhubarb and Rhubarb, because Undulatum Rhubarb contains rhaponticin as marker compound that is not indicated at Rhubarb. Some of the recently imported Undulatum Rhubarbs have been found to be Rhubarb. Also, it is known that only Undulatum Rhubarb is cultivated at domestic environment. But some plant origins of Rhubarb are grown in Korea, too. Further study are needed to clarify clear origin between Undulatum Rhubarb and Rhubarb. Thus, we collected some domestically cultivated samples and identified them. Methods and Reseults : Rheum undulatum L., Rhubarb, Rheum tanguticum Maximowicz ex Balf. which were cultivated in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in Cheorwon were collected and anayzed the DNA sequences. We also compared DNA sequences in Rhubarb collected from England and R. rhabarbarum L., R. undulatum L., and R. franzenbachii on NCBI. As a result, two kinds of rhubarb cultivated in the test plantation were identified as R. rhabarbarum and R. officinale. In addition, R. undulatum (plant origin of Undulatum Rhubarb) was identified as Rhubarb (Rheum rhabarbarum) in England with 99 - 100% identical in nuclear ITS gene region. Conclusion : R. undulatum, plant origin of Undulatum Rhubarb, is reported as synonym of R. rhabarbarum, R. franzenbachii. Rheum speices which are cultivated as tester in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in Cheorwon are estimated as R. undulatum and R. officinale. Therefore, not only Undulatum Rhubarb but Rhubarb could be grown in Korea.
        39.
        201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ascular plants of Mt. Nochu (1,322m) from April, 2014 to October, 2015. The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515 taxa, including 89 families, 304 genera, 448 species, 4 subspecies, 57 varieties and 6 forms. Among the investigated 515 taxa, 11 Korean endemic plants and 14 rare and endangered plants were included.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11 taxa of grade IV, 30 taxa of grade III. Naturalized plants consisted of 24 taxa that made up 4.6% of the total vascular plants in this area. Medicinal plants of the Korean Pharmacopoeia and Korean Herbal Pharmacopoeia distributed in this area consisted of 67 taxa.
        40.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great part of the traditional knowledge on ethnobotanical plants and their uses is gradually vanishing due to industrialization, therefore ethnobotanical studies that explore and preserve the knowledge are in urgent needed before the knowledge are lost ev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ord and conserve the traditional knowledge of botanical taxa in Korea from 2006 to 2014.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derived from 17,328 sheets of 1,771 residents at 868 places, the ethnobotanical plants in Korea consisted of a total 924 taxa; 130 families, 493 genera, 813 species, 7 subspecies, 92 varieties and 12 form. Of them, herbs were 619 taxa (67.0%) and woody plants were 305 taxa (33.0%). 707 taxa (76.5%) out of 924 taxa grow wild, 44 taxa (4.8%) were cultivated wild species, 145 taxa (15.7%) were introduced for cultivation, and 28 taxa (3.0%) were naturalized plants. The analysis of usage for 924 taxa showed that the edible use was the highest with 58.9%, followed by medicinal with 26.9%, material with 3.7% and ornamental with 2.3%, respectively. The leaf of plant was the most useful part, followed by stem and root.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ethnobotanical plants in Korea was performed by the basic values of FC, NU and UR, and indices of CI, RFC, RI and CV. As a result, The CI place Artemisia princeps in first position, followed by Aster scaber, Kalopanax septemlobus. The RFC place A. scaber in first position, followed by A. princeps, Aralia elata. The RI place A. princeps in first position, followed by Pinus densiflora, Morus alba. The CV place A. princeps in first position, followed by P. densiflora, K. septemlobus.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