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3

        42.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프로젝트는 목포의 대표 관광지이자 시민들의 수변공원이기도 한 평화광장에서 현재 제기되고 있는 이용 및 구조적 문제점 해결을 포함한 리모델링 계획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진행된 것이다. 평화광장의 최우선 과제인 공간 구조개선을 위해 ‘보차도 및 녹지 공간조정을 통한 무장애 거리 조성’ 을 목표로 설정하고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도출하였다. 광장과 수변을 단절시키는 차도 폐지, 보차도의 높이차 조정 그리고 차량동선 변경으로 수요부족이 예상되는 주차공간확보 등이다. 다음 단계로 대상지역 전체에 대한 리모델링 계획을 추진했다. 대상지의 역사성 및 위치특성을 살려 특화된 4개의 존(zone)으로 구분하고, 서로 다른 역할 및 기능을 부여하는 공간으로 계획하였다. 중심상징 존, 체험 및 동적활동 존, 역사 및 지역문화예술 존, 인접 도시 연계 존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대상지인 평화광장은 20년 전 조성되어 현재까지도 많은 사람이 이용하고 있는 공간으로, 당초 시에서는 차도폐지 및 바닥포장 개선이라는 토목사업의 성격으로 추진하고자 했던 사업이었다.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지역 연구자들이 의견을 모아 공간 구조개선 제안 및 광장과 수변공간 전체에 대한 통합적인 리모델링 계획추진을 건의한 결과, 당초의 사업범위를 확대시켜 진행된 프로젝트이다. 따라서 1단계로 목포시의 당면과제를 전제조건으로 우선 해결한 후, 2단계 통상적인 리모델링 계획을 수립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단순한 방식의 공사에 불과했던 토목사업을, 사전 제안을 통해 종합프로젝트 방식의 리모델링 사업으로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미있는 작업이 되었다.
        4,000원
        43.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테마파크의 조성동향 및 테마선정 경향을 살펴볼 목적으로 진행된 것이다. 국내 테마파크 108개소를 대상으로 한 조사 분석에서 명백해진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국내 테마파크의 조성동향 분석에서는 광역시 등 시 단위에서는 테마파크가 비교적 초창기에 만들어졌으나, 2000년 이후에는 조성되지 않는 반면 지역의 도 소재 테마파크는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조성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늦은 시기에 테마파크가 조성된 지역은 전라도이며, 단위면적 대비 가장 많은 테마파크를 보유하는 지역은 제주도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테마선정에 대한 경향분석에서는 1994년까지는 ‘놀이’가 테마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나, 2000년 이후에는 ‘놀이’의 비율이 감소한 반면 ‘문화’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변화가 나타났다. 이용방식에 대한 분석에서는 1994년까지는 ‘놀이기구 체험’이 주를 이루었으나, 2005년 이후부터는 ‘학습활동 체험’ 및 ‘교육’에 대한 비율이 크게 증가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테마선정시 지역자원의 활용 비율은 25%로 낮게 나타났으며 조성시기와의 연관성도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전라도에서는 타시도와는 달리 지역자원 활용 비율이 61%로 월등하게 높았으며, 국가 및 지자체가 83%의 테마파크를 조성 관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자원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관리주체와의 관련성이 엿보이는 부분이다.
        4,000원
        44.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낙동정맥은 강원도 태백시에서부터 부산광역시까지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어 온대림에서 난대림까지 폭넓은 산림대를 포함하고 있다. 백두대간과 정맥에서 가장 넓은 면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신갈나무우점군락의 낙동정맥 내에서의 식생구조 특성을 지역 및 군락별로 분석하고자 대표적인 6곳(백병산, 칠보산, 백암산, 운주산, 고헌산, 구덕산)을 선정하여 신갈나무우점 군락을 조사하였다. 6곳의 조사지역의 교목층에서 신갈나무의 상대우점치는 85% 이상으로 확인되었으며, 아교목층에서는 철쭉, 쇠물푸레나무 등이 관목층에서는 쇠물푸레나무, 조록싸리, 미역줄나무 등이 확인되었다. TWINSPAN에 의해 분리된 4개 군락의 교목층 신갈나무의 상대우점치는 80% 이상이며, 아교목층과 관목층은 지역별 우점종이 동일하게 우점하였다. 현재 신갈나무는 교목층에 이어 아교목층에서도 확인되어지고 있어 외부요인이 없는 한 신갈나무우점군락이 계속 유지될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 온대림에 속하는 지역들이 자연림 상태에서 참나무류와 서어나무가 중심이 되는 주 임상을 이루는 데 이러한 특징을 고려해 볼 때 낙동정맥 마루금 일대의 신갈나무우점군락은 우리나라의 온대 산림대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신갈나무군락은 대표적인 한반도 냉온대 낙엽활엽수림으로서 산지 상부의 기후극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극상림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같은 종의 수목이 각 층위별로 분포되어 있어야 지속적으로 교목층을 우점하여 극상림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낙동정맥 마루금 일대 극상림은 신갈나무군락으로 사료된다.
        4,900원
        45.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금남호남・호남정맥 마루금 일대 식생구조를 알기 위해 입지환경과 인위적 영향을 고려해 금남호남정맥 2곳, 호남정맥 4곳을 중점조사지로 골라 식생조사를 실시했다. TWINSPAN을 써서 두 정맥은 각각 7개씩의 식물군락으로 유형화됐다. TWINSPAN기법의 식별종은 식물군락의 환경요인을 간접적으로 대변하는데 두 정맥의 군락 유형은 해발고, 토양수분, 교란 등의 환경요인에 의해 분할됐다. 이 결과는 DCA 1축의 환경요인과 조화를 이루었다. 두 정맥은 모두 저지대에선 리기다소나 무, 곰솔 등의 조림수종과 자생종이 서로 경쟁 관계에 있었다. 이처럼 정맥의 저지대는 조림, 개발사업 등으로 인위적 식생 교란이 심한 편이었다. 상대적으로 고지대의 능선부・상부사면・정상부는 신갈나무・굴참나무・소나무가 우점하는 식생유형이 양호하게 보전됐다. 차이점으론 금남호남정맥은 호남정맥보다 해발고와 위도가 높아 신갈나무우점군락이 가장 넓게 분포했다. 반면, 호남정맥은 신갈나무와 함께 소나무우점군락이었고, 남해안에 인접해 있어 곰솔우점군락이 출현했다는 점이다. TWINSPAN과 DCA 등의 정량적 식생분석에선 종조성 변화와 그 변화를 일으키는 환경요인 추출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선 우연 출현종 제거와 환경요인을 상정한 조사계획 수립, 조사데이터의 특성에 부합한 최적의 분석기법 선택 등이 필요하다.
        4,600원
        46.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진도 첨찰산을 대상으로 보전가치가 큰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의 식생구조를 정량적으로 파악함과 동시에 변화상을 규명하고자 진행하였다. TWINSPAN과 DCA에 의한 군락분류결과, 구실잣밤나무군락(Ⅰ), 구실잣밤나무-참가시나무군락 (Ⅱ), 붉가시나무-구실잣밤나무군락(Ⅲ), 낙엽활엽수-상록활엽수혼효군락(Ⅳ)으로 구분되었다. 조사된 진도 첨찰산 상록활엽 수림의 전체 MIP분석 결과, 교목층에서 구실잣밤나무, 참가시나무, 붉가시나무, 아교목층에서 동백나무, 광나무, 생달나무, 관목층에서 마삭줄, 동백나무, 구실잣밤나무가 우점하고 있었다. 주요 상록수종을 대상으로 흉고직경급별 분포를 분석하여 과거 자료와 비교한 결과, 상층을 우점하고 있는 구실잣밤나무, 붉가시나무는 대경목 비율이 늘어난 반면, 아교목성상의 동백나 무, 광나무의 흉고직경급별 분포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향후 진도 첨찰산 상록활엽수림의 보전을 위해서는 천연기념물 보호구 역을 중심으로 정밀현존식생도 제작과 함께 실제 상록활엽수 분포지역을 파악한 후, 유역권 개념이 포함된 첨찰산 상록활엽수 림의 보호구역 재설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4,600원
        47.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무등산국립공원 옛길 제2구간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총 60개의 조사구를 설치 및 조사하여 TWINSPAN과 DCA를 통해 군락을 분류한 결과 총 5개의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군락Ⅰ은 낙엽활엽수군락, Ⅱ는 소나무-졸 참나무군락, Ⅲ은 졸참나무군락, Ⅳ는 비목나무군락, Ⅴ는 신갈나무군락으로 최종 분류되었다. 분류된 군락들은 해발고에 따른 우점종의 분포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군락 Ⅳ를 제외한 4개의 군락은 교목층의 수종이 우점하는 가운데 아교목층에서 때죽나무가 우점하는 현재의 군락의 형태가 유지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군락 Ⅱ~Ⅳ의 관목층에 발달한 조릿대는 일시개화 및 고사 이후 하부식생 천연갱신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이다. 군락 Ⅱ의 소나무-졸참나무간의 경쟁관계는 장기적인 측면에서 소나무군락의 세력 감소에 대한 관찰이 요구된다. 옛길 2구간은 해발고별 식생의 변화가 뚜렷하고 무등산국립공원의 깃대종인 털조장나무가 자생하는 등 생태적으로 가치가 높은 탐방로로써, 지속가능한 이용을 통해 우수한 산림생태계를 보전하여야 한다.
        4,200원
        48.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crease the functional material content of soybean, a repetitive steaming and drying process was used.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angiotensin-Ⅰ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ion in soybean following nine rounds of steaming and drying. Soybean was steamed 9 times for 2 h and then dried 9 times from 55℃ to 73℃ for 3 h.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in the soybean reached a maximum value of 60.47 mg GAE eq./100 g at 73℃ while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in the raw soybean reached 25.17 mg GAE eq./100 g. In the raw soybean sample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5 mg/mL) was 8.04% but it increased by 43.29% after drying 9 times to 73℃.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lso improved following 9 rounds of steaming and drying. ACE inhibitory activity of the soybean dried 9 times at 73℃ was 58.94% at 10 mg/mL. These results showed that steaming and drying soybean 9 times enhanced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ACE inhibitory activity of soybean. Therefore, more research on the biological and anti-hypertensive activity of soybean using this steaming and drying method is necessary.
        4,000원
        49.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식물학적 가치가 높으나 식물과 관련된 연구가 전무한 접도를 대상으로 식생 특성을 파악하여 데이터베이스구축 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식생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100㎡ 크기의 조사구 52개소를 설치하여 조사・분석하였다. TWINSPAN에 의한 군락분류 결과, 곰솔-소나무군락, 소나무-졸참나무군락, 소사나무-굴참나무군락, 소사나무-상수리나무군 락, 굴참나무-소사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군락, 육박나무-동백나무군락 총 7개 군락으로 유형화되었다. 접도의 식생은 크게 상록침엽수군락(군락 Ⅰ, Ⅱ), 소사나무-낙엽성 참나무류혼효군락(군락 Ⅲ, Ⅳ, Ⅴ), 상록활엽수군락(군락 Ⅵ, Ⅶ)로 구분할 수 있다. 상록침엽수군락은 현재 소나무, 곰솔이 졸참나무와 경쟁 상태에 있으며, 천이 중간단계 및 극상단계의 구실잣밤나무, 육박나무 등의 세력이 미비하여 현재상태가 유지될 것으로 판단된다. 소사나무-낙엽성 참나무류혼효군락은 토양조건의 영향으로 식생발달 속도가 늦어 현재상태가 오랫동안 유지될 것으로 판단되며, 상록활엽수군락은 소나무, 곰솔 등의 천이 초기단계에 서 졸참나무를 거쳐 구실잣밤나무, 육박나무 등으로 천이가 진행되고 있다. 표본목의 연령은 대체적으로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가장 오래된 수목은 구실잣밤나무로 예측연령이 약 59년이었다. 주요 수종별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곰솔과 사스레피나무, 소나무와 쇠물푸레나무, 육박나무와 동백나무 등이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소나무와 소사나무, 소사나무와 사스레피나무가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4,800원
        50.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total contents of polyphenol, antioxidant activities, inhibitory activities of tyrosinase, and protective effect against oxidative stress in the HepG2 cells of ethanol extracts from wheat sprout.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was determined by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Ethanol extracts were tested using different ethanol concentrations (0%, 30%, 50%, 80% and 95%, respectively). The highest amount of total polyphenol was extracted by 50% and 80% ethanol which was 26.3 and 26.8 mg gallic acid equivalents/g sample, respectively. High levels of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found in 50% ethanol (26.7 and 15.0 mg TEAC/g sample, respectively) and 80% (24.3 and 16.1 mg TEAC/g sample, respectively) ethanol extracts. Also, 50% and 80% ethanol extracts indicated higher inhibitory activities of tyrosinase compared with other extracts. In the cell-based assay, pre-treatment of the HepG2 cells with wheat sprout extracts prevented the cell damage induced by TBHP (tert-butyl hydroperoxid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wheat sprout has significantly higher diverse biological activities and apparently has significant health benefits.
        4,000원
        51.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낙엽활엽수와 상록활엽수가 혼효하는 곳으로 식물학적 가치가 높은 두륜산도립공원 일대의 상록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식생 특성을 파악하고자 진행하였다. 식생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100㎡ 크기의 조사구 40개소를 설치하여 조사·분석 하였다. 두륜산도립공원이 위치한 해남군은 난대림지역으로 40년간의 기상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랭지수 –8℃․월, 온량지수 109.2℃․월, 연평균강수량 1,310.5㎜로 상록활엽수림의 분포적지라 할 수 있다. TWINSPAN에 의한 군락분류 결과, 붉가시 나무군락-Ⅰ, 붉가시나무군락-Ⅱ, 참식나무-푸조나무군락 총3개 군락으로 분리되었다. 두륜산도립공원 내 상록활엽수림은 교목층에 우점하고 있는 붉가시나무가 아교목층에서도 세력을 넓혀가고 있으며, 붉가시나무 외에 교목성상의 상록활엽수인 참식나무와 생달나무 등이 전 층위에서 확인되고 있는 형태로 굴참나무, 졸참나무, 개서어나무 등의 낙엽활엽수가 도태되고 상록활엽수인 붉가시나무군락으로의 천이가 진행되고 있으며, 국지적으로 참식나무군락이 출현하고 있었다. 종다양도는 붉가시나무군락-Ⅰ(1.3208), 붉가시나무군락-Ⅱ(1.4916)에 비해 참식나무-푸조나무군락(1.0798)이 낮게 나타났다.
        4,500원
        52.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해안림 곰솔군락의 식생구조 및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여 해안림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 향후 부산광역시 해안림 관리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수행하였다. 부산광역시 해안림 지역에 100m² 크기의 조사구 97개를 설치하여 조사·분석하였다. TWINSPAN과 DAC기법을 사용하여 군락을 분리한 결과, 곰솔-졸참나무 군락, 곰솔-사스레피나 무(1)군락, 곰솔-사스레피나무(2)군락, 곰솔-갈참나무군락, 곰솔-동백나무(1)군락, 곰솔-동백나무(2)군락, 곰솔-사스레피나무- 동백나무군락으로 분리되었다. 조사결과 부산광역시 해안림 곰솔군락의 교목층에서는 곰솔이 주요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하층식생에서 사스레피나무와 동백나무가 우점하였다. 곰솔-졸참나무군락에서 졸참나무가 일부 교목층과 아교목층에서 곰솔과 경쟁관계를 이루고 있으며 변화를 살피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이다. 해안림의 환경 특성상 곰솔을 비롯한 내염성이 강한 수종들이 군락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곰솔-졸참나무 군락을 제외한 군락들은 급격한 환경변화가 발생하지 않으면 현 상태의 군락 구조를 당분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4,500원
        53.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fate and removal of 15 pharmaceuticals (including stimula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ntibiotics, etc.) in unit processes of a sewage treatment plant (STP) were investigated. Mass loads of pharmaceuticals were 2,598 g/d in the influent, 2,745 g/d in the primary effluent, 143 g/d in the secondary effluent, and 134 g/d in the effluent. The mass loads were reduced by 95% in the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but total phosphorous treatment did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moval of most pharmaceuticals. Also, mass balance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removal characteristics of pharmaceuticals in the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Acetaminophen, caffeine, acetylsalicylic acid, cefradine, and naproxen were efficiently removed in the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mainly due to biodegradation. Removal efficiencies of gemfibrozil, ofloxacin, and ciprofloxacin were not high, but their removal was related to sorption onto sludge.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on understanding removal characteristics of pharmaceuticals in unit processes in the STP.
        4,200원
        56.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보는 대상이 아닌 시점으로서의 역할이 중시되고 있는 누정의 경관적 역할 및 관리 등에 살펴볼 목적으로 진행된 것이다. 전라남도 무안군 식영정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식영정 주변의 공간구성 및 수목배치 등에 따른 경관변화를 검토한 결과, 부지경계부에 식재되어 있는 작은 수목과 펜스 설치 그리고 주변부 외래수종으로 인한 이미지 변화 및 시야차단에 의한 경관훼손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새로 조성된 초가 쉼터의 부적절한 위치로 인해 시야가 차단되는 것으로 나타나 누정주변의 공간구성요소 배치 등에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3. 식영정과 이산마을 그리고 영산강과 주변 산들의 상호 연계성 및 구성요소 변화 등에 대한 조사분석 결과, 식영정으로 접근하는 방식 및 연결동선에 변화가 생겼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4. 무안 식영정의 경우, 주변구성요소의 배치 및 접근동선의 변화에 따라 누정 및 조망되는 경관이 크게 달라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57.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콩 가공 부산물인 콩 배아 이소플라본의 생체내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LA, LB, LP 등 3가지 유산균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비배당체화 전환 효율을 증가시키고자 균주의 종류와 접종량, 발효시간에 따른 이소플라본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균주를 이용한 모든 발효에서 균주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전환을 보였고, 발효시간에 따른 비배당체 전환율은 24시간에서 급격히 증가하였고 이후에는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비배당체화 발효의 최적 균주는 LP균, 접종량은 5%, 발효시간은 24시간 이었다. 대조군의 이소플라본 배당체의 구성은 글리시틴>다이드진>제니스틴 순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켰을 때 배당체들은 감소하였고, 비배당체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다이드제인>글리시테인>제니스테인 순으로 45% 이상의 비배당체 전환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산균으로 발효시켰을 때 다이드진의 함량이 가장 크게 감소하였고, 다이드제인 함량이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소야사포닌의 경우 발효에 의하여 Ab가 급격하게 감소하였고 Ba와 Bb가 증가하였다. 발효액은 pH 3에서 pH 6으로 증가함에 따라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다이드제인 함량이 많이 증가하였고, 소야사포닌 함량은 Ab 함량이 급격하게 감소하였고, Ba와 Bb 함량도 소량감소하는 등 발효액의 pH가 발효에 의한 이소플라본과 소야사포닌 함량 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중의 하나임을 알 수 있었고, LP균을 이용한 발효로 가공부산물인 콩 배아의 생리활성 증가 및 기능성소재화를 꾀할 수 있을 것 으로 생각된다.
        4,000원
        58.
        2019.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기도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강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직특성에 유의미 한 차이를 가져오는 변수는 연령, 학력, 근무기간이었으며, 직무소진의 변수에는 연령, 학력, 고용형태, 임파워먼트에는 연령, 학력, 근무기간, 직무 스트레스에는 월급여, 고용 형태, 학력, 일가치감에는 학력, 근무기간, 고용형태, 직무만족에는 연령, 월급여, 고용형태, 서비스 질은 연령, 고용형태, 월급여 등이었다. 따라서 장애인거주시설에 다음과 같이 요구되어 진다. 첫째, 종사자의 직무소진 및 직무 스트레스의 예방 및 대응조치가 강구되어야 한다. 둘째,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종사자들 이 직무환경요인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 셋째,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서비스 질에 영 향을 미치는 조직특성, 직무소진, 임파워먼트, 직무 스트레스, 일가치감 등을 분석하여 종사자가 직무에 만족할 수 있도록 근무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6,1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