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7

        62.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거베라 ‘Pinkholic’은 2007년 수원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자주색 반겹꽃 ’A Cappella’와 분홍색 반겹꽃 ‘Peter’를 교배하여 획득한 종자로부터, 2007년 실생 계통을 양성하여, 화색이 선명하고 화형이 안정된 대륜계통의 분홍색 반겹꽃 거베라 ‘07B3-2’를 개체 선발하였다. 선발된 계통에 대하여 2008년부터 2011년까지 개체 증식 및 1·2차 생육특성검정을 수행하고, 2012년에 ‘원교B3-49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여 3차 특성검정, 안정성·균일성에 대한 연차별 재현성 및 기호도 평가를 수행한 결과, 화색 및 화형에 대한 기호도가 우수하고, 절화수명이 우수한 품종으로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원교B3-49호’는 2012년 농촌진흥청 직무육성품종심의회를 거쳐 ‘Pinkholic’으로 명명되고 직무육성품종으로 등록되었다. ‘Pinkholic’의 생육 및 개화특성은 화색과 화형이 유사하며 교배모본으로 사용된 ‘Eta’를 대조품종으로 하여 조사하였다. ‘Pinkholic’은 녹색 화심의 RHS color chart RP58C의 분홍색 반겹꽃으로, 대조품종(RHS R52C)보다 밝은 분홍색 품종이다. 평균 화경은 12.0cm로 대조품종보다 0.8cm 큰 대륜계 품종이며, 설상화의 길이와 폭도 각각 5.7cm와 1.2cm로 비교적 길고 넓다. 대조품종의 꽃대 굵기가 꽃목부위 4.0mm, 중간부위 5.5mm인데 반해, ‘Pinkholic’은 각각 4.9mm, 6.8mm로 비교적 굵고 둥글어 경할현상이나 꽃목굽음 등의 생리장해 발생이 적고, 절화수명도 평균 10.4일로 길다. 절화장이 평균 55.7cm 정도로 길어 절화 품질이 우수하며, 연간 채화량도 53.9(본/주) 정도로 많은 다수성 품종이다.
        63.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11년 거베라 신품종 ‘Purple Queen’을 품종 육성하였다. ‘Purple Queen’은 2007년 절화장이 긴 ‘Selma’와 자주색 반겹꽃 ‘Marathon’을 교배하여 얻은 실생계통으로부터 2007년부터 2011년까지 5년 동안의 생육특성검정을 거쳐 선발된 절화용 품종이다. 꽃은 암갈심의 자주색(RHS RP66B)으로 평균 직경이 11.4 cm인 반겹꽃 대륜계통이며, 내화경과 화심장은 각각 6.1 cm와 2.3 cm이다. 화경장은 50.3 cm 정도로 매우 길며, 꽃목 직경은 5.0 mm 정도로 굵다. 절화수명은 12.2일로 대조품종에 비해 3일 이상 , 연간 채화량도 51.4본/주로 대조품종보다 4.4본/주 더 많은 다수성 품종이다.
        64.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거베라 ‘핑크멜로디(Pink Melody)’는 파스텔 톤의 밝은 분홍색(RHS R55D) 반겹꽃 품종으로, 2011년에 수원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품종 육성되었다. 2007년 분홍색 반겹꽃 ‘에타(Eta)’와 ‘파스칼(Pascal)’을 각각 모본과 부본으로 사용하여 인공교배를 실시하고 당해에 실생 계통을 양성하였으며, 그 중 화색이 선명하고 화형이 안정된 ‘07B3-71’ 계통을 개체 선발하였다. 선발된 계통에 대하여 2008년부터 2010년까지 개체증식 및 개화특성 검정, 1·2차 생육특성검정을 수행하였고, 2011년에는 ‘원교B3-46호’로 계통명을 부여한 후, 화색과 화형이 유사하며 교배모본으로도 사용된 ‘에타’를 대조품종으로 하여 3차 특성검정, 안정성·균일성에 대한 연차별 재현성 및 소비자 기호도 평가를 수행한 결과, 화색과 화형이 우수한 다수성 품종으로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핑크멜로디’로 명명되어 품종등록 되었다. ‘핑크멜로디’는 화경과 내화경이 각각 11.4cm, 7.3cm로 대조품종에 비해 0.6cm, 1.5cm 정도 더 큰 대륜계통의 절화용 품종이다. 꽃대길이가 45.2cm로 대조품종에 비해 약간 짧은 편이었으나, 꽃대가 상부 4.2mm, 중부 5.4mm로 굵어 꽃목굽음이나 경절현상 등의 생리장해 발생이 적었고, 절화수명도 10.8일로 대조품종에 비해 1.5일 정도 더 길었다. 특히, 하계고온 및 동계저온기에도 꽃눈분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연간 고루 채화할 수 있었으며, 연간 채화량도 주당 52.9본으로 대조품종보다 5본정도 더 많았다.
        65.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07년 백색 반겹꽃 'Wonder King'과 연녹빛의 백색 반겹꽃 'Ever Green'을 교배하여 얻은 실생계통으로부터 2007년부터 2010년까지 4년 동안의 생육특성검정을 거쳐 초세가 강건한 흑심의 순백색(RHS W155D) 반겹꽃 절화용 거베라 신품종 'Whiteny'를 품종육성하였다. 꽃의 직경이 11.5 cm인 대륜계통이며, 내화경과 화심장이 각각 7.8 cm와 2.2 cm이었다. 절화장은 52.2cm로
        72.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06년 밝은 녹심의 백색 반겹꽃 'Himalaya'와 초세가 강건한 흑심의 파스텔 크림색 홑꽃 'Vital'을 교배하여 얻은 실생계통으로부터 2006년부터 2009년까지 4년 동안의 생육특성검정을 거쳐 화색이 밝고 선명하며 초세가 강건한 밝은 녹심의 파스텔톤 분홍색(RHS R48B) 반겹꽃 절화용 거베라 신품종 'Noble Pink'를 육성 하였다. 꽃의 직경은 11.8 cm인 대륜계통이며, 내화경과 화심장이 각각
        73.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적심이 감초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2008년부터 2009년까지 2년간 충북농업기술원에서 수행하였다. 적심 처리시기에 따라 6월 30일(JUN), 7월 30일(JUL), 8월 30일(AUG), 무적심(대조구) 등 4처리를 하였으며, 적심량은 줄기 길이의 20%를 제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초장과 분지수는 적심처리구보다 대조구에서 우수하였으며, 경엽중은 적심시기가 빠를수록 무거웠다. (2) 초장과 줄기 직경은 적심 시기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3) 지표면의 포복경 생장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4) 본 실험에서 적심이 뿌리 생장을 유도하고, 조기 적심이 뿌리 생육을 촉진하였다. (5) 근중은 대조구 2년생 238 kg/10a에 비해 JUN 처리구와 JUL 처리구에서 각각 11~30% 증가하였으며, 3년생은 대조구 432 kg/10a에 비해 6~11% 증가하였다.
        74.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06년 분홍색 반겹꽃 ‘Pavlov’와 ‘Patrick’을 교배하여 얻은 실생계통으로부터 2006년부터 2009년까지 4년 동안의 생육특성검정을 거쳐 화색이 밝고 선명하며 초세가 강건한 대륜계통의 연한 황색(RHS Y9C) 반겹꽃 절화용 거베라 신품종 ‘Sunny Lemon’을 품종육성하였다. 꽃의 직경은 11.0 cm인 대륜계통이며, 내화경과 화심장이 각각 7.63 cm와 2.59 cm 정도이다. 정식 후 개화까지
        75.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분홍색 스프레이 카네이션 품종 ‘Lyra’는 노랑색 스프레이 품종 ‘Ballantyne’와 적색 스프레이 품종 ‘Chateau’을 인공 교배하여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육성되었다. ‘Lyra’는 1999년에 교배하여 2001-2003년까지 품종 특성을 조사하였고, 2003년에 최종 선발하였다. ‘Lyra’는 밝은 분홍색 절화 스프레이 품종으로 다 분지성이고 절화장이 길며 향기가 있는 조기 개화성 품종이다. 절화 수명은 7일이고 시들음병에는 중간정도의 저항
        76.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바라기의 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한 품종 육성과 생산기술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한국자원 34종, 미국자원 219종 및 그 외의 다른 국가로부터 도입된 자원 22종을 포함한 총 275종의 유전자원을 농촌진흥청 농업유전자원센터로부터 분양받아 종실특성과 지방함량 및 지방산 변이 조성을 구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실의 형태는 광난형, 협난형, 원형 및 장형으로 구분되었으며, 광란형이 40.4%로 가장 많았으며, 장형이 5.0%로 가장 적었다. 종실의 과피색은 회색종, 갈색종, 흑색종 및 백색종으로 구분되었고, 회색종과 갈색종이 많았고 백색종이 적었다. 100립중과 1 중의 평균은 각각 6.3 g 및 322.5 g이었고, 분포범위도 각각 2.9~15.5 g 및 178~43 9 g이었다. 2. 해바라기 유전자원의 지방함량의 평균은 25.5%이었고, 그 범위는 11.7~45.6%이었다. 지방함량의 분포는 22~28%의 범위가 가장 많았고, 40%이상이 가장 적었으며, 지방함량이 40%이상으로 높은 유망자원은 미국 도입자원인 IT031967, IT031970 및 IT031965의 3종이었다. 3. 포화지방산인 팔미트산 함량의 평균은 4.7%이었으며, 범위는 3.1~7.6%, 스테아린산 함량의 평균은 2.2%, 범위는 1.3~4.1%이었고, 포화지방산(팔미트산 + 스테아린산) 함량의 평균은 6.9%, 범위는 5.4~9.4%이었다. 4. 불포화지방산인 올레산의 평균함량은 55.2%이었고 18.1~75.5%의 범위이었으며, 올레산이 70% 이상인 자원은 IT031831, IT031699, IT031895, IT031938 및 IT031694의 5종이었다. 리놀레산의 평균함량은 38.0%이었으며 범위는 18.1~74.1%이었다. 불포화지방산(올레산+리놀레산)의 평균 함량은 93%, 범위는 89.6%~94.8%이었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