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3

        92.
        199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맥문동(麥門冬)의 괴근비대기간중(塊根肥大期間中)의 괴근비대양상(塊根肥大樣相), 수량(收量)및 성분변이(成分變異)를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맥문동 1호를 공시(供試)하여 '92년 .4월 10일에 30×10cm로 정식(定植)해서 다음해 1월 15일부터 4월 15일까지 15일 간격(間隔)으로 수확하여 수량관련형질(收量關聯形質) 및 성분변이(成分變異)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맥문동의 지상부 생육은 월동중(越冬中)에도 계속 증가(增加)하였고 괴근(塊根)의 형성(形成)은 1월 15일 이전에 결정(決定)되는 것으로 판단(判斷)되었다. 2. 괴근의 비대(肥大)는 월동중(越冬中)에 진행(進行)되며 2월 28일 이후에 완료(完了)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괴근수량은 3월 15일에서 387kg/10a로 최고수량(最高收量)을 보여 수확적기(收穫適期)로 판단(判斷)되었다. 3. 괴근의 전당함량(全糖含量)은 1월 30일에 가장 높았고, 그 이후 점차(漸次) 감소(減少)하여 3월 15일에 가장 낮으며, 전당함량(全糖含量)과 수량(收量)과는 고도(高度)의 부(負)의 유의상관(有意相關)(-0.788**)을 보였다.
        93.
        199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1990년 11월부터 1992년 11월까지 국내에서 수집된 시호 6계통과 일본에서 도입된 삼도종을 공시하여 생육특성, 근수양성 및 saikosaponin 함량을 조사한 것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래종 시호의 개화기는 1년생이 8월 2∼3일, 2년생은 7월 16∼18일로, 1년생보다 2년생이 일찍 개화하였으며, 일본도입종인 삼도종은 국내 수집종에 비하여 1년생은 18일, 2년생은 32일각각 늦게 개화하였다. 2. 초장 및 경태에서 춘천종은 초장이 크고 경태가 굵은 편이었으며 삼도종은 다분지형이었다. 3. 근장, 근태 및 지근수는 국내 수집종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삼도종은 뿌리가 굵고 짧으며 지근이 적은 경향이었고, 건근수량은 1, 2년생모두 춘천종이 높았으며, 2년생근의 10a당 평균수량은 105Kg으로 1년생근에 비해 2.6배를 보였다. 4. Saikosaponin 함량면에서 춘천종은 1, 2년생근 모두에서 높은 편이었고, saikosaponin 조성에서는 국내 재래종이 일본에서 도입된 삼도종보다 약리활성이 높은 saikosaponin a 및 d의 함량비율이 높아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98.
        198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의 재배 환경차이에 따른 탈립성 변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수후 일수에 따른 탈립율 변이는 품종간에 다소 상이한 경향이었으나 역탈립성 품종에서 수확시기별 탈발률 변이가 큰 편이었다. 2. 수확후 건조일수에 따른 탈립률 변리는 수확직후보다는 6 일간 건조시켰을 때 탈립률이 훨씬 높게 나타났다. 3. 재배시기별 탈립률 변리는 재배시기가 늦어질수록 탈립률이 낮아졌으며 이러한 경향은 역탈립성품종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4. 탈립성의 연차간 변이도 유의한 변이가 인정되었으며 역탈립성 품종에서 더욱 높게 나타났다. 5. 질소 시비수준 증가함에 따라 대체로 탈립률이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며 역탈립성 품종에서 그 변이정도가 컸다. 6. 출수전 11∼5일 사이의 저온처리와 저온 및 차광처리에서 탈립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밀양2003는 저온처리에 비해 저온과 차광을 동시에 처리했을 때 탈립률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