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05

        101.
        2013.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200원
        102.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Sprague-Dawley 흰쥐 16마리를 이용하여 흰쥐 복강 및 피하지방 감소 후보 항체가 체중, in vivo 타장기 안전성 및 혈액성상 등 영양생리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무처리구(control), 비면역항체 처리구(NAb), 면양을 이용하여 기 개발된 흰쥐 복강(AAb) 및 피하지방 감소 후보항체(SAb)를 복강 주사하였을 때 주사 후 1주차에 SAb 처리구에서 사료 및 물 섭취량의 일시적인 감소가 나타났으나 그 이후에는 정상적으로 회복되는 것으로 보아 항체의 효과보다는 개체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흰쥐 체중의 경우 항체 주사 처리 전․후 및 실험구 간 통계적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SAb 처리구에서 나타난 주사 처리 후 1-2주 동안 일시적인 체중 감소 현상이 발생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 후보 항체 주사 시 흰쥐 AAb 처리구는 control과 비교해서 생체 신장의 무게가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하지만, NAb 처리구의 신장 무게 역시 유의적인 감소를 보여(p<0.05) 결국 AAb 처리구의 신장 무게 감소는 주사에 의한 스트레스 또는 개체 간의 변이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신장을 제외하고는 후보 항체에 의한 주요 장기들(심장, 간장, 폐 및 비장)의 무게에는 실험구 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후보 항체에 의해 혈중 glucose, triglyceride 및 total cholesterol 농도에는 실험구 간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며(p>0.05), 각 혈액대사물질의 농도는 일반적인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본 연구에서 이용된 흰쥐AAb 및 SAb는 in vivo 영양생리대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안전한 항체로 판단된다.
        4,200원
        107.
        2013.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bnormal ovarian cycles after superovulation treatment of Holstein Donor Cows. CIDRs were inserted into the vaginas of twenty two head of Holstein cows, regardless of estrous cycle. Superovulation was induced using folliclar stimulating hormone (FSH). For artificial insemination, donor cows were injected with PGF2α and estrus was checked about 48 hours after the injection. Then they were treated with 4 straws of semen 3 times, with 12-hour intervals. Embryos were collected by a non-surgical method 7 days after the first artificial insemination. The cows were considered to have resumed ovarian cyclicity on the day of ovulation if followed by regular ovarian cycles. Seventy two point seven percentage of the cows(16/22) had normal resumption of ovarian cyclicity(resumption within 40 days after superovulation), and 27.3%(6/22) had delayed resumption(resumption did not occur until>40 days after superovulation). Delayed resumption Type Ⅱ(first ovulation did not occur until ≥40 days after superovulation, i.e. delayed first ovulation 13.6%) were the most common types of delayed resumptions. The mean numbers of total ova from < 10 and 10≤ of corpora lutea(CL) was 7.8±1.8 and 12.7±2.7, respectively. The number of transferable embryos differed between < 10 and 10≤ CL was 5.4±1.3 and 8.1±3.4, respectively. Four point five percentage of the cows(1/22) did not resumption their ovarian cyclicity until 60 days after superovulation treatment. Diverse researches on the superovulation treatment method that is suitable for high-producing Holstein donor cows would contribute to preventing ovarian cyclicity disorder, as well as to the early multiplication of cows with superior genes by increasing the utilization value of donor cows.
        4,000원
        108.
        2013.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work was to analyze the concentrations of progesterone (P4) and estrogen (E2) hormones changed during estrus synchronization in dairy heifers. Estrus synchronization was carried out with CIDRⓇ (Controlled Intravaginal Drug Release) devices. Corpus luteum (CL) was classified into three grades based on its size and palpable characteristics. The concentrations of P4 and E2 were measured by enzyme-amplified chemiluminescence. Serum P4 concentration was markedly low at the estrus stage (36 hrs after removal of CIDR) compared to other stages, while E2 concentration was kept high during estrus stage. The serum P4 concentration was highest in the CL classified into gradeⅠ.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4 concentration could be used as a criteria for determining recipients for artificial insemination or embryo transfer in dairy cattle.
        4,000원
        109.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육성 스프레이 장미 품종의 농가 보급 확대와 수출 상품성 향상을 위해 PE 비닐하우스와 유리온실, 두 재배시설 환경관리에 따른 절화품질 및 절화 생산 성을 조사하였다. 재배시설에 따른 기상환경을 조사한 결과, 시간당 적산 일사량, 최고온도 및 습도, 변이(최 고값-최저값) 정도가 유리온실보다 PE 비닐하우스에서 높았다. 절화장은 시험품종 모두 유리온실에서 컸고, 줄 기 굵기와 소화수는 품종에 따른 차이는 있었으나 대 체로 PE 비닐하우스에서 우수하였으며, 분화된 총 분 지수와 수출 상품량은 적산 일사량이 높은 PE 비닐하 우스에서 많았다. 한편 흰가루병, 노균병, 잿빛곰팡이병 은 대기습도가 높게 관리되었던 PE 비닐하우스에서 발 생이 많았다. 따라서 스프레이 장미 수출 상품성 향상 을 위해서는 품종 특성 발현이 될 수 있도록 충분한 일사량, 대기온도 및 습도 등 재배환경 관리가 무엇보 다도 중요하였다.
        4,000원
        110.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가축 체지방 감소를 위한 수동면역학적 기법의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 흰쥐 지방부위별(복강 및 피하지방) 특이 다클론 항체를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흰쥐 부위별 지방 조직에서 지방세포를 분리하고 각각 primary 배양시킨 후 개발된 복강지방(AAb) 및 피하지방 특이 다클론 항체(SAb)를 주입한 뒤 media 내 lactate dehydrogenase(LDH) 방출 수준을 조사하였다. 희석배율 1:1,000배를 기준으로 비면역혈청은 항원-항체 결합 반응이 거의 측정되지 않았고, AAb 및 SAb는 희석배율 1:128,000배까지 각각 항원-항체 반응이 감지되었다. 부위별 지방과 비교했을 때, AAb 및 SAb는 흰쥐 타 장기들과는 특이한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p<0.001). 본 연구에서 개발한 두 항체들은 모두 항원으로 이용된 부위의 지방세포 PMP와 가장 높은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지방세포 배양을 통한 LDH 수준 검사에서는 AAb 및 SAb 모두 비면역혈청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세포파괴가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본 연구에서 개발된 AAb 및 SAb는 높은 역가, 타장기 안전성 및 in vitro 지방 감소 효과가 있었다고 생각된다.
        4,000원
        117.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프리지아 구근수확 시기를 달리하였을 때 2단구가 형성되지 않으면서 구근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온도 및 기간 등 저장방법을 찾고자 실시하였다. 프리지아 구근 수확시기는 절화 직후와 절화 후 45일 2처리로 실시하였다. 구근 저장온도는 5, 10, 15, 20, 30οC, 저장기간은 20, 40, 60, 80, 100일 등 각각 5 처리를 두었다. 2단구는 구근의 생장점 부위에 싹이 맹아하지 않고 작은 자구가 발생하는 형태적인 변화를 말하는 것으로 저장 중 온도가 맞지 않을 경우 나타 난다. 시험결과를 보면 절화 후 바로 구근을 수확 할 경우 이본느 품종은 30οC로 80일 이상, 샤이니골드는 20οC에서 100일 이상, 30οC는 60일 이상 정식 전에 저장하면 정식 이후 2단구가 회피되었다. 절화 45일 후에 구근을 수확 할 경우에는 이본느와 샤이니골드 두 품종 모두 정식 전에 20οC에서 100일 이상, 30οC 는 40일 이상 보관하면 정식 이후 2단구 발생이 억제 되었다. 절화 직후 구근을 수확한 처리에서 구근을 30οC로 100일 저장 후 정식한 결과 샤이니골드와 이 본느 품종의 맹아소요일수는 각각 34일과 31일로 나 타나 한달 이상소요 되었지만, 절화 45일 후에 수확한 구근은 같은 처리에서 두 품종 모두 맹아소요일수가 7 일로 나타나 절화 45일 후에 수확한 구근의 휴면이 빨리 타파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4,000원
        118.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ristol Fairy’ 아조변이체 ‘Gyp99’의 한 계통인 ‘Gyp06-31’의 방임수분 결과 얻어진 실생계통으로부터 특성이 우수한 ‘Gyp08-42’ 계통을 선발하여 2년 동안 특성평가 및 특성검정을 통해 ‘Happy Dream’ 품종을 육성하였다. ‘Happy Dream’ 품종의 초형은 중간형이 고, 잎 모양은 피침형, 소화는 주걱형의 꽃잎수가 많은 백색 겹꽃으로 꽃잎 끝 모양은 약간 둥근형 그리고 꽃받침 모양은 컵형인 식물체 고유 특성을 가졌다. 또 한 화경이 단단하고 분지각이 작으며, 흰가루병에 강하 고 충해에도 강한 편이었다. 여름절화 작형에서 ‘Happy Dream’ 개화는 ‘Bristol Fairy’보다 26일 늦 고 절간장과 화경장이 길고 줄기가 굵었다. ‘Happy Dream’의 엽장은 ‘Bristol Fairy’보다 짧았으나, 엽폭 은 넓고 소화는 더 컸다.
        3,000원
        119.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eri-implantitis (PI) is bacteria-induced inflammatory condition which affects the alveolar bone and soft tissue around implants and may result in the loss of supporting bone. Attenuation of the P. gingivalis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can be a new therapeutic approach in the treatment of PI.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635-nm light-emitting diode (LED) irradiation over MG63 osteoblast-like cell. Scratch was made on MG63 cells with or without LPS, then 635-nm irradiated. The expression of the cyclooxygenase-2 (COX-2) proteins was evaluated with western blot. The production of the prostaglandin E2 (PGE2) and expression of the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B ligand (RANKL) and osteoprotegerin (OPG) was measured with enzyme-linked immunoassay, and the cytokine profile was evaluated with the human inflammation antibody array. Wound closure effect presented in the cells treated with LPS was observed more significantly in the cells with 635-nm irradiation than the cells without irradiation. The 635-nm irradiaiton reduced LPS-induced expression of the COX-2 and production of the PGE2. Also, 635-nm irradiation affect the expression of RANKL, OPG,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635-nm irradiation could reduce the alveolar bone resorption induced by LPS stimulation through the inhibition of COX-2 expression and PGE2 production, the sup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 and the modulation of RANKL/OPG balance in MG63 cells.
        4,300원
        120.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poisomerases are essential enzymes involved in all processes of DNA metabolism, and their inhibitors have been identified as potential anti-cancer agent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linoelaidic acid (C18 polyunsaturated fatty) compounds derived from Gardenia jasminoids Ellis extract on the activity of eukaryotic topoisomerases inhibition.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linoelaidic acid compounds using open column fraction, HPLC, NMR and LC/MS which have effects on cell death in oral cancer cell line, FaDu, but not in immortalized normal cell line, HaCaT. Subsequent studies revealed linoelaidic acid-induced autophagy through LC3 activation. Finally, its inhibition of topoisomerase I and selectively induction of oral cancer cell death possibly implies that linoelaidic acid can be a role as potenial agents in the prevention and therapy of oral cancer.
        4,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