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3

        141.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assess Green-Tourism accessibility of Rural Experience Village and then prepare improvement methods. To do this study, we surveyed 25 operators of Rural Experience Village in Chungbuk. We used 21 issues in all for analysis and the following shows a summary of major results. Rural Experience Village has a generally hard time conducting facility maintenance. Countermeasures for maintenance are required to run smoothly. Since Rural Experience Village has difficulty attracting visitors to the village, countermeasures are needed to attract visitors through business promotion. The results of assessing Green- Tourism accessibility showed us that some villages are a lot more accessible than oth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here should be improvements of Green -Tourism accessibility by attracting visitors and increasing operating days so that Green-tourism accessibility can be enhanced. In spite of its high level of accessibility since Rural Experience Village belonging to Goesan has low profitability, it is especially imperative that we establish more positive project promotion to cover it.
        142.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seasonal customs are analyze the appropriate festival for each 24 seasonal divisions of the year. Recover the intrinsic value of the festival and selected the target villages and each village should investigate elements of the festival. The village were sought activation of a rural village by setting the festive season. ① 24 seasonal divisions of the year festival is a small town festival, the festival's program is based on the experience-oriented. Based on period seasonal customs and season plays are set up 24 seasonal divisions of the year festival's program. ② Survey area is the rural tourism village carried seven villages at Cheongju-si in Chungcheongbuk-do. ③ 24 seasonal divisions of the year festival establish as possible to the festival program is based on 24 seasonal divisions of the yearfestival seasonal customs, seven villages were set on the festival. on the season sesipung through the festive season as possible to the festival program was set up, seven villages were set on the festival. The first standard, festivals and events that are currently made . Second,now ongoing in the village is experience program and a 24 seasonal divisions of the year seasonal customs resource. ④ As a result, each period of the festival was set in the village. ⑤ By festival setting recover intrinsic value of the festival by taking advantage of 24 seasonal divisions of the year. The common interests of the rural town of experience, the rising interest in each town and village festivals activation of the network can be achieved.
        143.
        2015.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양생물 유래 기능성 소재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국내자생하는 감태 외 9종(곰피, 대황, 매생이, 모자반, 미역,지충이, 청각, 톳, 파래)의 해조류을 이용하여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대황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150.81, 77.02mg/g으로 가장 많았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대황, 감태,지충이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86.26, 78.72, 68.32%를 나타내었으며, ABTS radical 소거능은 대황, 감태, 지충이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모두 99%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과 환원력은 대황 에탄올 추출물이21.34%, 1.710(OD700)으로 가장 높았으며, 지방산패억제능도 대황 에탄올 추출물에서 83.95%로 가장 높았다. 또한,해조류 추출물의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은 대황, 감태, 지충이 열수 추출물에서 97.75, 95.17, 87.13%를 나타내었으며,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3종류 모두 약 98%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해조류 중 대황, 감태, 지충이의 항산화활성 및 α-glucosidase 저해활성이 우수하여 천연 기능성소재 개발을 위한 좋은 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기능성소재로 사용하기 위하여 적용할 제품에 따라 추출물의 재료, 첨가농도, 제품의 생리활성 등과 관련된 광범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144.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제주도 지역에서 이용되는 민속식물에 대한 전통 지식 정보를 수집 및 보존을 위하여 2011년 3월부터 11월까지 수 행되었다. 제주도지역의 78개소에서 주민 177명을 대상으로 수 집한 조사야장 1,774장의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조사된 식물 은 총 103과 260속 312종 2아종 37변종 5품종의 총 356분류군으 로 정리되었다. 용도별 이용현황은 약용 284분류군, 식용 145분 류군, 제례 36분류군, 생활용품 31분류군, 목재 31분류군 등으 로 주로 약용의 빈도가 높았다. 이용 부위로는 잎, 줄기, 식물체 전체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류군별 이용 빈도를 분석한 결과, 질경이, 쑥, 인동 등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145.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try to quantify resident's conflict by rural development project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bout community capacities required for residents and social networks in rural village for suggesting efficient project model. we analyzed conflict elements in six category such as 'conflict in residents', 'conflict in residents and leaders', 'conflict in leaders', 'conflict in villages', 'conflict in development fund', 'conflict in village by common income project'. These results also analyzed by personal background(age, role, education, income) of respondent in questionary survey. Results show that 'conflict in residents and leaders', 'conflict in leaders', 'conflict in development fund' are perceived differently by age, role, education, and income in 5% significance level. Especially, relatively young age(below 40 years old) expressed clearly about conflict and high scored in item of 'residents and leaders'. Regression model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F=39.807, P=0.000) in influence relation analysis of conflict, network, leadership, and project fund. In this model, network β=-0.237, leadership β=-0.375, project fund β=-0.000 show network and leadership have negative relation to conflict but project fund is difficult to find relation with conflict. In this study, we defined social vulnerability using conflict, network, and leadership and verified the vulnerability of rural village applying regional community capacity in analysis results; vulnerability increased by the size of region and show inverse correlation to future vision of residents.
        146.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4조 국가 등의 책무에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재난이나 그 밖의 각종 사고로부터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을 보호할 책무를 지니고 재난이나 그 밖의 각종 사고를 예방하고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노력하며 발생한 피해를 신속하게 대응·복구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 및 시행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국가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도 최 일선에서 재난 발생시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는 재난현장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여 대응하고 있는 조직이기 때문에 국가차원의 중앙정부보다 우선적으로 재난현장을 수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처럼 지방자치단체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재난유형별 비상대응계획을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특히 재난 발생시에는 사전에 수립한 비상대응계획을 바탕으로 반별 업무대로 수행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고 신속하게 복구하여 원래 상태로 돌아갈 수 있게 한다. 강원도 삼척시는 과거 지진해일로 인해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가 발생한 이력이 있어 지진해일에 대한 비상대응계획을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협업 실무반별 임무 및 역할까지 명시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비상대응계획 현황을 검토하고 강원도 삼척시에서 운영하는 지진 및 지진해일 비상대응계획에 대해 조사하여 운영실태를 알아보았다. 또한 재난안전대책본부 협업 실무반별 임무 및 역할을 분석하여 재난유형별 비상대응계획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147.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세계화로 인해 과거와 달리 신종 감염병의 유입은 상당히 쉽게 이동되었으며 이에 따른 인명피해 수준도 상당이 커졌고 다양화되고 있다. 과거 사스(SARS)는 전 세계 추정환자 8,096명 중 774명이 사망하였으며 조류인플루엔자로 15개국 630명이 감염되어 375명이 사망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감염병으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였고 이에 국가의 경제적 손실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2008년 질병관리본부 자료를 살펴보면 우리나라도 결핵발생에 따른 사회경제적 비용이 연간 8천억원이 추산되고 있다고 한다. 또한 신종감염병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한 인력 운영과 업무가 미흡하여 신속하게 대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종감염병 발생시 사전에 비상대응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신종감염병 및 비상대응체계에 대해 이론적 검토를 실시하였으며 국내·외 신종감염병 대응체계를 조사하였다. 또한 질병관리본부 직원을 대상으로 의식조사를 실시하여 대응체계 현 실태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신종감염병 발생에 따른 비상대응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우리나라는 신종감염병 발생시 초기단계에서는 질병관리본부가 중앙방역대책본부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이후 전국적으로 확산이 될 경우 보건복지부에 중앙사고수습본부가 설치되어 전체 총괄 및 지원을 실시한다. 또한 검역소는 검역소는 지역별 맡은 구역에 대해 외부로 들어오는 신종감염병을 막기 위해 검역활동을 실시한다. 미국은 각 부서가 필요한 역량 결정하고 주무기관과 지원기관이 나눠져 있으며, 상호적으로 협력하여 성취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캐나다는 신종감염병 같은 긴급상황이 발생하였거나 규모가 클 경우 2개 이상의 긴급운영센터가 설립되어 운영하고 단계별 사건/상황에 대한 기준 및 인력기준이 마련되어 있으며 일본은 감염병 기본지침에 대해 효과에 관한 평가를 근거로 최소 5년마다 재검토하고 1종 ~ 5종 감염병으로 분류하여 1 ~ 4종 감염병에 경우 환자 발생시 즉시 신고한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신종감염병 대응체계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148.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지역은 주민의 대부분이 농업을 생산하는 지역으로 최근 이촌향도현상, 도시화 등 사회·환경변화로 인해 농촌인구의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으며, 도시지역과 달리 재난 발생 시 자체적인 예방, 대비, 대응, 복구 등의 재난관리 체계가 도시에 비해 효율적으로 구축되었다고 보기가 어려워 재난으로 인해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농촌지역은 대부분이 반복된 형식의 유사재난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태풍, 집중호우로 인해 농작물 피해는 매년 발생하고 있다. 또한 농촌지역의 지리적 특성상 고립되거나 산악지역과 함께 어우러져 있는 경우는 화재(산불)나 기타 재난발생 시 의료·응급 및 소방기관이 내부로 신속하게 접근하여 대응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초기대응이 어렵고 자체적으로는 재난안전 인프라가 부족하여 재난대응에 미흡한 부분이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 소방서 건물만 남아 있고 근무 인력이 없는 ‘폐쇄 지역대’는 전국에 189곳이었으며 경북에서 63곳, 충남과 전남에서 각각 51곳과 37곳이 폐쇄되는 등 농촌지역의 소방서 지역대가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도시지역에 비해 농촌지역이 상당히 재난관리적 측면이 부족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의 재난안전마을 구축을 위해 농촌지역 재난안전마을 개념을 정립하고 농촌지역에 재난유형별로 발생현황을 조사하여 농촌지역 재난특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농촌지역 특성에 맞는 재난안전대책을 제시하였다.
        149.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지형 형상을 고려할 수 있는 토석류의 유동현상에 대한 지배방정식을 유도하였다. 지배방정식은 연속방정식과 힘평형 방정식에 대한 깊이적분을 수행하였으며, 토체의 두께와 흐름방향의 평균속도를 주변수로 채택하여 흐름이 없는 해석영역에 대한 수치적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DG기법에 의한 가중행렬을 산정하고 유동방향을 고려한 불연속 시험함수를 이용하여 Petrov-Galerkin 수식화를 수행하였다. 시간적분과 Newton의 반복과정을 근사화를 통하여 해석결과의 수렴성과 안정성을 개선하였으며, 토석류의 유체 및 토립자의 특성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역학적 구성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단일경사 사면에서 사면경사, 토사 유발량, 저면 마찰 저항이 토석류 흐름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수치해석을 통한 사면 하부에 설치된 제방의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개발된 해석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토석류 발생예상 지역의 다양한 위험인자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시설물의 설계 및 시공방안에 대한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50.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ntire processes of rural amenity resources survey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to discuss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resources information establishment, and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status of resources information application. Rural amenity resources survey, which is aimed at finding rural amenity resources to respond to the demands of the resources and support rural development, was first conducted by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under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n 2005. The first survey subjects were 149 eups and myeons in Korea, expanding to the nationwide rural villages. In 2012, the rural amenity resources survey was completed. Next year, the information establishment was completely made. It is expected that the rural amenity resources information established by the survey will be more applied and used, and that with the constant addition of new analyses in line with the changing environment demands, rural amenity resources will contribute to dynamic rural development.
        151.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blem of the existing rural development plan where the opinions of local residents are excluded due to the lack of expert knowledge and limited participation and sought the village development plan driven by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by applying a rural forum targeting rural villages to solve the problem. As a result of the study, (1) the problem of the current village development pla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and (2) this problem has remained as an important challenge. Therefore, the village improvement activities that have reflected the opinions of local residents can be said to be (3) the process that seeks the change into the rural planning process led by local residents, and this study derived the ways to ensure the voluntary behavior of local residents, strengthen local residents' capacity to create on-going villages, and expand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opportunities in the entire process of rural planning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rural forum. (4) Although it is generally difficult for local residents to propose opinions directly and exert influence in the rural planning and design process and it is not easy to reduce the difference in the perspective between the professionals and local residents, significance lies in the fact that local residents voluntarily determine the future of their region and derive the plan. Therefore, the experience of decision-making and consensus process through the rural forum can promote the sustainability of the village creation participated by local residents and the increase of local residents' role. This study took one village as an example to reflect the results applied to the rural forum, and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at it has been fully verified with the method of residents' participation. Therefore, future studie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village creation and seek the empirical utilization measures are needed more, and the operation of education programs and various support plans suitable to the capacity and level of local residents should be promoted rather than the traditional lecture-style stereotyped education in the future for sustainable rural development.
        152.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urvey tools for diagnosis of capacity levels in business promotion of rural residents when performing a rural development project of a regional unit. The cases of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to select community capacity indicators related to a rural development project. Five indicators were derived : social capital, consciousness of participation, community spirit, and leadership. Based on the five indicators, measurement items of various capacities were selected and 54 survey items were selected through evaluation of experts twice. The pilot tests were conducted and targeted at Jeonnam song ho-jung village and Gyeongnam Haegeumgang village to identify derived survey items. In addition,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survey items were corrected by reducing 10 items of the total 54 items. This results showed that using this tool could help us understand capacity levels of rural residents.
        153.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30대 중반에서 40대 중반의 전업주부를 대상으로 리날룰성분이 혈액 및 타액 스트레스 호르몬 함량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를 대조군, 아몬드오일 마사지 실험군, 리날룰성분 0.5%를 첨가한 아몬드오일 마사지 실험군으로 세분화하여 5주 간 총 10회의 마사지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실험 전후 대상자의 혈액 및 타액 코티졸, DHEA, IgA의 함량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업주부의 스트레스 관련 호르몬인 혈액 코티졸은 리날룰을 0.5% 함유한 아몬드오일 마사지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DHEA는 대상자 그룹 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타액 IgA는 변화가 나타났지만 아몬드오일 마사지실험군과 리날룰을 함유한 아몬드오일 마사지 실험군에서 유의한 그룹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타액 IgA의 함량증가는 마사지로 인한 효과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리날룰이 스트레스 경감에 일정한 효과가 있으며, 마사지 등의 처치와 동시에 적용될 경우 효과가 커질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154.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objectives are to provide rural experience tourism village business courses and development direction in between individual farmers and the village in base on rural development business of Hapjeon-villag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a farm-stay village can be categorized into the period of six stages: 1) a conception stage 2) an adoption stage 3) a growth stage 4) an expansion stage 5) a stagnation stage 6) a recovery stage. Farm Stay Villages, Individual Farmhouses or Producer Groups can be placed in four different quadrant areas of a graph, depending on the pursuing direction and results of core values by having the X-axis for economic factors (public profits, individual profits) and by having the Y-axis for emotional factors (self-actualization, conflicts). The first quadrant area is designated for ideal individual farmhouses and producer groups for having achieved the status of economic self-reliant and high emotional satisfaction. The second quadrant is for ideal self-actualized communal villages having achieved the independent public interest and public profitable status. The third quadrant is reserved for villages experiencing communal conflicts and no economic self-reliant stagnant status. The fourth guardant area is allocated for individual farmhouses and producer groups having achieved self-reliant economic status, yet having communal conflicts. Using the aforementioned concept, the government shall design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and prepare realistic and achievable goals and place them in as a systematic device in future projects.
        155.
        2014.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흑마늘 음료의 기호성과 기능성 증진을 위해 흑마늘과 미나리의 배합비를 각각 3:0(BD-1), 2:1(BD-2), 1:1(BD-3), 1:2(BD-4)의 비율(w/w)로 달리하여 제조한 음료의 식품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 검토 하였다. 흑마늘 미나리 혼합음료의 pH는 미나리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당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색도는 L값과 b값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a값은 미나리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2.40(BD-1)에서 6.46(BD-4)로 증가 하였다. 폴리페놀 함량은 BD-4에서 46.96 μg/mL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BD-3(42.36 μg/mL), BD-2(41.91 μg/mL), BD-1(28.48 μg/mL) 순으로 나타났다. SOD 유사활성은 BD-4에서 18.60%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BD-3(15.53%), BD-2(12.53%), BD-1(10.27%) 순으로 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BD-1에서 28.72%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으며, 미나리 첨가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BD-2는 39.43%, BD-3은 45.69%, BD-4는 52.51%로 나타났다. 철 이온 킬레이트 효과는 미나리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BD-1(6.38%)에 비해 BD-4(39.94%)에서 6배 높게 측정되었다. 수용성 비타민(B1, B2, B6, C) 함량은 미나리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비타민 C의 경우 BD-1(130.10 μg/mL)에 비해 BD-4(806.21 μg/mL)가 6배 가량 증가하였다. 관능검사의 경우도 색, 향, 맛, 종합적 기호도에서 BD-4가 가장 양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흑마늘 미나리 혼합 음료를 제조할 경우 흑마늘과 미나리를 1:2 비율(w/w)로 혼합하는 것이 생리활성과 관능적 품질 특성 측면에서 우수할 것으로 사료된다.
        156.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도시의 발달과 기후변화로 인해 재난발생이 다양하고 복잡한 상태가 되어 예측이 어려워져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재난에 대응하기 위하여 표준운영절차를 작성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활용 및 운영상의 문제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난 표준운영절차에 대한 개념 및 현황을 검토하고 도시재난 사례를 통해 표준운영절차를 분석하여 그 지역 피해주민 의식조사를 통해 표준운영 절차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시재난 발생에 따른 표준운영절차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표준운영절차 활용 및 관리체계 향상을 위한 법·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표준운영절차에 대한 법/제도적 근거는 현재 미비한 부분이 많으며 개념도 명확하게 법적 근거로 명시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 실정이다. 이에 표준운영절차 활용의 의무화, 활용을 통한 관리체계화 등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 체계적인 활용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표준운영절차 활용을 위한 교육 및 훈련 실시가 요구된다. 재난 발생 시 대응 조직 및 피해지역 주민은 혼란으로 당황하게 된다. 이에 혼란 없이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교육 및 훈련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여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여건을 만들고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훈련을 통해 대응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이러한 체계적인 표준운영절차를 수립하여 교육 및 훈련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학습해야 한다. 셋째 표준운영절차상 주민대피를 위한 예·경보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표준운영절차상에서는 주민대피를 위한 예·경보 방송, 대피를 위한 방송 등 예·경보체계가 운영되고 있다. 실질적으로 의식조사를 살펴보면 방송, 사이렌 등이 주민에게까지 전달되는 것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표준운영절차사상 주민대피를 위한 예·경보체계 강화를 위해 법·제도적으로도 개선이 요구되며 주민까지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세부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넷째 주민조직 및 주민에 대한 표준운영절차상 역할을 명시하여 체계적인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주민조직 및 주민에 대한 행동요령은 명시되어 있으나 상황 및 단계별로 주민조직 및 주민의 역할이 명시되어 있지는 않다. 이에 신속하게 대피하여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주민조직 및 주민의 표준운영절차상 역할을 명시해야 한다.
        157.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대사회는 다양한 재난으로 인하여 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재난대응을 위한 많은 노력을 실시하고 있지만 인력과 예산의 중복, 상황보고체계 및 부서별·기능별 운영의 이원화, 정보공유 미흡 등 다양한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재난관리시스템의 현황 및 문제점을 도출하고, 재난대응 시 일선에서 노력하고 있는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의식조사를 실시하여 재난대응을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재난관리체계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이 요구된다. 현재 인력의 부족, 예산의 중복 등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인 재난대응 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을 위해서는 가장 먼저 법·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이원화된 재난관리체계에 대해 일원화를 실시해야 한다. 현재 재난관리체계상에서 조직, 상황보고, 예산 등의 다양한 부분에서 이원화로 낭비가 되는 부분이 존재하고 있다. 이에 통합이 가능한 부분에 대해서는 일원화하여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통합재난관리를 위한 전문 인력 확보 및 교육·훈련이 강화되어야 한다. 통합재난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의식조사를 보면 알 수 있듯이 가장 먼저 조직적인 측면이 먼저 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처럼 전문적인 인력 확보와 그를 위한 교육 및 훈련은 조직의 활동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필요하다. 넷째, 유관기관과의 통합상황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세부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최근 발생하는 재난은 한 개의 대응기관으로 대응하기에는 힘든 부분이 많다. 이에 재난 유관기관 담당자의 정기적인 모임으로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높이고 체계적인 대응을 위한 공동대응전략 수립, 대응절차 및 매뉴얼 작성 등 세부적인 활동이 요구된다.
        158.
        2014.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ix lab scale reactors were designed having the height of 1/20 scale of real burial site and each reactors contained aleachate collecting system. Cattle and pigs were buried in these reactors, and leachate was collected to determine theconcentration of antibiotics. Leachate samples were collected periodically over a period of 24 weeks along with the trendof temperature and decomposition degree. Sulfachloropyridazine was detected in the initial leachate (4 and 8 weekssamples) from the cattle 1 and cattle 2 reactors, as 56µg/L and 312µg/L respectively and thereafter it was not detectedin leachate (16~24 weeks samples). Most of the antibiotics concentration were detected higher in leachate released inbetween 4~8 weeks. However, sulfadimidine was detected throughout 24 weeks in cattle 1 reactor, with the range of2.2~17.5µg/L. As a result of comparison with different aqueous environment, improper management of carcass burialsites may result in both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contamination. To protect public health and to prevent/minimizethe negative impacts of contamination by antibiotics, proper environmental monitoring of leachate before and after carcassdisposal is necessary.
        159.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suggest space composition in rural village so that it can had foundations for Activation of regional community by analysis and re-organization of rural community places based on regionality and historicity. First, this study have been investigated about changes of overall space configuration and community places that has been lost or were ongoing in rural village. Factors of changes were changes in lifestyle, rural policy, social and political system, economic principles and ect.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understanding basic principles of rural village space configuration and inherited it. Second, basic principle of the space configuration of rural village were entryway and center that improve community cohesion in the community space. This study figured out improving of "Ma-Dang" and functional mix-use community hall was important for more efficient management. Third, This study set directi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 of space configuration of each village and suggested detail plans.
        160.
        201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shows the development of a snake robot (KAEROT-snake V) which consists of 16 1-DOF actuator modules and head module. The modules are connected serially and the joint axis of each module is rotated by 90° with respect to the previous joint so that the snake robot can move in the 3D space. A tail actuator module includes slip-ring and metal connector. KAEROT-snake IV developed in prior research could move in the 3D space and climb up in a narrow pipe. But its design was not appropriate to the unstructured tough environment and its speed was somewhat slow. A new actuator module is designed to enclose all parts of the module so that any wire is not exposed. The size and weight of the new module was slightly reduced. And the rotation speed and torque of the joint was increased by about twice when compared with pre-module. An embedded controller was developed so small that it can be mounted inside the module. Th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robot was demonstrated through various locomotion experi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