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군 조직 내 리더 코칭에 관한 연구를 탐색해 보고 향후 군 조직에서 리더 코칭에 관한 연구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문헌 17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출판 현황은 2007년에 시작하여 2015년부터 본격적 인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학술지 12편, 학위논문 5편이 게재되었다. 둘째, 연구 방법 면에서는 질적연구가 6편, 양적연구가 5편,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6편이었 다. 연구 대상은 간부가 6편, 간부와 병사가 3편, 병사가 1편, 생도 및 군사학 관 련 학생이 4편, 문헌이 3편이었다. 셋째, 연구 주제별로는 정책 및 제도 개선 제 안이 5편, 코칭 행동과 타 변인의 관계가 5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분석이 7편이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리더십과 코칭의 이론적 토대 강화와 후속 연 구를 통한 연구 목적 달성, 다양한 연구 방법론의 적용과 연구의 확대, 코칭 문 화 확산과 코칭 대상 및 연구 참여자 확대, 민간 코칭과 군 조직의 협력적 연구 확대 등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군 조직 내에서 리더 코칭 을 보다 유용하게 활용하고 조직 구성원의 성장과 조직 목표 달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농산물 재배, 수확 후 세척 등에 사용되는 농업용수는 미생물에 오염될 경우 병원균을 농산물로 전파하여 식중 독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2021년부터 2023년까지 하천수, 저수지, 지하수 등 다양 한 수원의 농업용수에서 대장균군과 대장균의 오염 수준 을 조사하고 자외선(ultraviolet, UV) 소독이 농업용수 내 미생물을 저감시키는 데 얼마나 효과적인지 평가하였다. 농업용수의 미생물 수질조사 결과 대장균 오염도는 수원 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천수의 대장균 농도는 평균 0.95±1.23 log CFU/100 mL였으며, 저수지는 평균 0.76±1.07 log CFU/100 mL, 지하수는 평균 0.1±0.47 log CFU/100 mL, 기타수원은 평균 0.6±0.87 log CFU/100 mL로 조사되었다. 수원별로 보면 하천수, 저수지, 지하수 순으로 높은 미생물 오염을 보였다. 다양한 용수 조건에 서 자외선 소독을 테스트한 결과, 99.9% 미생물 비활성화 에 필요한 UV 선량은 증류수에서 1.2-1.6 mW/cm2·sec, 농 업용수 원수에서 2.0-2.7 mW/cm2·sec 범위 였다. 고형물 응집제를 통해 전처리된 농업용수는 처리되지 않은 농업 용수 원수에 비해 자외선 투과율이 높았으며, 미생물을 99.9% 감소시키는 데 필요한 자외선 선량이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수 자외선 투과도가 감소함에 따라 소독 효율이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본 실험에서 조사된 선량 은 수질에 상관없이 수초 내 99.9%의 미생물 감소를 달 성하는 것으로 나타나, UV 소독기술은 농업용수의 미생 물 위험을 줄이는 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effects of cultivation areas (upland and reclaimed land) and harvest time on contents of bioactive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wheat sprouts. Contents of Ca and K were higher in upland, while content of Mg was higher in reclaimed land. Mineral content decreased after winter, regardless of the harvest time. Total dietary fiber increased by 24.3% in reclaimed land and improved by 45.2% after winter, with Ariginheuk showing the highest fiber content (34.41 ± 0.53 g/100 g). Total polyphenols increased by 48.6% in reclaimed, but decreased by 26.7% after winter. Similarly, flavonoids increased by 87.8% in reclaimed land but declined after winter. Content of octacosanol, a key bioactive compound, was 33.2% higher (7.75 ± 0.09 mg/g) in Ariginheuk grown in reclaimed land and decreased after winter. Antioxidant activities measured by ABTS and DPPH assays increased by 51.4% and 82.4%, respectively, in reclaimed land, with pre-winter harvests showing higher scavenging abilities. Overall, reclaimed land generally showed higher contents of bioactive components, with contents of pre-winter harvests being more beneficial. These findings highlight significant differences in wheat sprouts' physiological activities based on cultivation area and harvest time, suggesting that reclaimed land and pre-winter harvesting might offer advantages.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기후 변화 및 수입 식품 다변화에 따른 위험 요소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신규 출현 가능 해양생물독소 뿐만 아니라 현재 관리하고 있는 분야 까지 포함한 ‘해양생물 독소의 선제적 대응을 위한 안전 관리망 구축’ 사업을 5년에 걸쳐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 을 통해 국내 연안에서 발생하는 해양생물독소 뿐만 아니 라 해외에서 발생하는 독소 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함으로 새로운 해양독소의 유입과 피해를 방지하고, 국내외에서 관리되는 독소 및 신규 독소를 국가 차원에서 관리 감독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여 우리나라 수산물 안전관리 수준을 국제적으로 향상시켜 국내 수산업의 안전을 강화 하고 수출 경쟁력 확보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Bovine rotavirus (BRV) is one of the common gastrointestinal diseases that can occur in calves, causing severe diarrh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ral administration of single-domain antibodies, single variable domain of heavy chain of HCAb (VHH), o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rotavirus-induced diarrhea in calves. Thirty calves were divided into five experimental groups (negative control, positive control, group A, group B and group C). Except for the negativ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inoculated with BRV on the 4th day after birth. The VHH supplementation groups were fed with a substitute milk contain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VHH (1%, 2.5% and 7.5%). Changes in body weight, clinical symptoms, serum antibodies, and virus detection in feces were observed for a total of 10 days in each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showed a higher survival rate in the VHH supplementation groups compared to the positive control group. Clinical symptoms caused by rotavirus were alleviated in the VHH supplementation groups. The detection rate of rotavirus in feces also decreased. Gross findings indicated that the severity of disease in the VHH supplementation groups was milder than that in the positive control group. Therefore, VHH could be proposed as a useful alternativ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rotavirus-induced diarrhea in calves.
본 연구는 코칭 슈퍼바이저가 인식하는 슈퍼비전 역량의 유형과 특성을 살펴 보기 위해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코칭 슈퍼비전 역량에 관한 Q 모집단을 구성한 후, 40개의 비구조화된 Q 표본을 선정하였고, 코칭 슈퍼비전 교육을 이수한 13명의 전문 슈퍼바이저를 P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40개의 진술 문을 강제 분포 방식으로 Q 분류를 진행한 후 Ken-Q Analysis 프로그램을 통 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코칭 슈퍼바이저들이 인식하는 코칭 슈퍼비 전 역량은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제1유형은 ‘슈퍼비전 마인드셋’을 중시하 는 유형, 제2유형은 ‘슈퍼비전 관계’를 중시하는 유형, 제3유형은 ‘슈퍼바이저 전 문성’을 중시하는 유형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코칭 슈 퍼바이저는 슈퍼비전 마인드셋을 갖추고, 좋은 슈퍼비전 관계를 유지하며, 전문 성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코칭 슈퍼비전 역량 인식을 바탕으로 추후 코칭 슈퍼비전 역량의 구성 요인을 탐색하 고, 척도를 개발하거나, 슈퍼비전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슈퍼비전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Gastrodia elata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for treating headaches, dizziness, and convulsive illness for centuries. G. elata has traditionally been processed by steaming or blanching to increase the content and quality of its main ingredient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ctive ingredients of G. elata depending on the steaming time. Data of this study could be used to develop traditional medicine and health foods. No steaming was used as a control. Steaming time was 5, 10, 20, 30, 60, or 120 min. The drying yield according to the steaming time ranged from 20.2% to 22.9%, with the lowest drying yield at 120 min. As the steaming time increased, gastrodin content increased more than that in fresh G. elata due to inhibition of β-glucosidase enzyme activity, 4-hydroxybenzyl alcohol condensation, and parishin decomposition. Steamed G. elata did not show higher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s, or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an fresh G. elata even with an increase of steaming time. The steaming time to improve the quality of G. elata may varied depending on the size of G. elata. Thus, it is important to set the steaming time taking these characteristics into consideration.
The consumption of enoki mushrooms has been associated with cases of listeriosis produced by Listeria monocytogenes, highlighting the significance of sanitizing food-contact surface, such as the velcro used in welding processing of enoki mushrooms, to ensure microbial safety.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activity of nine chemical disinfectants at regular concentrations against L. monocytogenes isolated from a mushroom farm environment. The bacterial suspension was prepared in phosphate buffered saline and mushroom extract broth and inoculated onto the velcro surface. After inoculation, most disinfectants reduced the initial 8 log CFU/coupon concentration by less than 2 log CFU/coupon during a 5-min treatment. Slightly acidic hypochlorous water showed a reduction of approximately 4 log CFU/coupon when tested for more than 30 min at the maximum allowable concentration of 200 mg/L. Sodium hypochlorite solution showed a reduction of approximately 5 log CFU/coupon when used at 100 mg/L for 60 min. Peracetic acid, at the maximum allowable concentration of 300 mg/L, showed the most effective reduction of 5 log CFU/coupon or more when the surface was treated with 37.5 mg/L for 30 mi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eracetic acid can be used as the disinfectant strategy to control cross-contamination of L. monocytogenes on the velcro surface of plastic wrappers used in the welding processing of enoki mushrooms.
인삼부산물 및 인삼밭 토양에서 분리한 9균주 중 β-Glucosidase 생성 균주 GYP-1과 GYP-3-3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β-Glucosidase 생성 균주에 대하여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과 ITS 염기서열을 기반으로 계통 분석을 실시한 결과, GYP-1 균주는 Rhodotorula 속에 속하며, GYP-3-3 은 Brachybacterium 속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Rhodotorula sp. GYP-1 균주는 호기성 효모 종으로 biomass 생산량이 높아 최종 우수 균주로 선발하였다. Rhodotorula sp. GYP-1가 생성하는 β -Glucosidase의 온도 및 pH에 따른 효소 활성 및 안정성을 검정한 결과, 30 ℃에서 6.7 unit/ml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20 ℃ ∼ 40 ℃에서 효소 활성의 약 70 % 이상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pH에 따른 효소의 활성 및 안정의 경우, pH 5에서 6.8 unit/ml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pH 5∼ pH 8까지 93.3 % 이상의 효소 활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Rhodotorula sp. GYP-1가 생성하는 β-Glucosidase는 ginsenoside Rb1 minor 진세노사이드로 분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인삼 뿌리 병원균(Botrytis cinerea)에 대해 항진균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Aminoglycosides, AGs) 는 그람음성균과 양성균에 광범위하게 작용하는 동물용 의약품으로, 최근 배양육에 사용된다고 알려져 있어, 안 전성 관리를 위한 분석법 마련이 반드시 필요하다. AGs 는 고극성 화합물로 성분 간의 분리를 위해 이온쌍 시 약(ion-pairing reagent, IPR)을 사용하고 있으나 IPR을 이동상에 첨가하는 기존 분석방법의 경우 용매가 흐르 는 동안 질량분석기로 주입되는 IPR로 인해 기기적인 문 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IPR를 바이알에 직접 첨가 하는 분석방법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10종 AGs 성 분에 대한 분석방법을 확인하고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는 각각 0.0001-0.0038 mg/kg 와 0.004-0.011 mg/kg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0.01-0.5 mg/ kg 범위 내의 직선성(R2)은 0.99 이상이었다. AGs의 시 료 회수율을 확인하고자 소고기와 세포배양배지(cell culture medium) 매질에서 회수율과 상대표준편차로 나 타낸 정밀도를 확인한 결과 각각 70.7-120.6% 및 0.2 to 24.7%로 나타났다. 기존의 이동상에 IP 첨가 방법과 비 교하였을 때 유사한 수준으로 양호하였다. 검증된 AGs 분석법은 국내 유통되는 닭고기, 소고기, 돼지고기 15품 목과 배양육 배지 첨가제 6품목에 적용해보았다. 그 결 과 국내 유통되는 육류 15품목 모두 AGs 성분이 검출 되지 않았으나, 세포배양배지에서 streptomycin은 695.85- 1152.71 mg/kg, dehydrostreptomyci은 6.35-11.11 mg/kg 로 검출되었다. 따라서 IRR을 바이알에 직접 첨가하는 LC-MS/MS 방식은 육류, 세포배양배지, 배지첨가제 중 AGs 분석 및 안전성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 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코칭 전공 대학원생들이 코칭을 전공으로 선택한 이유를 대학원생 들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유형화하여 이들이 실질적으로 코칭 전공 대학원에서 갈망하는 요구를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인간의 주관 적 인식을 분석하기에 적합한 Q방법론을 통해 연구 문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에서는 국내 코칭 관련 학과 대학원 석·박사과정 재학 또는 졸업한 사람들 중 목적표집 방법으로 선발된 총 21명의 P표본을 대상으로 40개의 진술문을 구성 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총 4개의 유형으로 분석되었고 유형Ⅰ은 ‘경 제적 수입보다 사람을 중요시하는 기여형’, 유형Ⅱ는 ‘네트워킹보다 스스로를 중 요시하는 자아 계발형’, 유형Ⅲ은 ‘스펙을 통해 코칭의 학문 발전을 중요시하는 준비형’, 유형Ⅳ은 ‘코칭 철학을 믿는 긍정적 영향력 발휘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유형화된 대학원생의 코칭전공 선택에 관한 주관성 특성을 바탕으 로 이후 국내 코칭의 학문적 발전을 위해 코칭 관련 학과 대학원의 체계적인 교 육과정 방향성의 틀로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국내 코칭 정착과 발전에 필요 한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construction industry stands out for its higher incidence of accidents in comparison to other sectors. A causal analysis of the accidents is necessary for effective prevention. In this study, we propose a data-driven causal analysis to find significant factors of fatal construction accidents. We collected 14,318 cases of structured and text data of construction accidents from the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Integrated Information (CSI). For the variables in the collected dataset, we first analyze their patterns and correlations with fatal construction accidents by statistical analysis. In addition,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re employed to develop a classification model for fatal accidents. The integration of SHAP (SHapley Additive exPlanations) allows for the identification of root causes driving fatal incidents. As a result, the outcome reveals the significant factors and keywords wielding notable influence over fatal accidents within construction contex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optimal UVB (ultraviolet B) treatment conditions for vitamin D2 enhancement of freeze-dried ear mushroom, sample size (below 300 μm~whole), UV treatment temperature (30~60℃), treatment density (6.25~50.0 mg/cm2) and the samples mixing frequency (1~32 times) were treated differently. After that, chromaticity, vitamin D2 and ergosterol (vitamin D2 precursor) content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ng, effective UVB treatment conditions for vitamin D2 enhancement are as follows. The sample sizes were 2~4 mm and finely crushed pieces. The treatment temperatures were 50℃ and 60℃. The treatment density was 12.5 to 25.0 mg/cm2, and the number of sample mixing was 8 times or more. As the amount of vitamin D2 increased by UVB treatment, the ergosterol content generally tended to decrease. However, under some UVB treatment conditions, the vitamin D2 content was not high despite the decrease of ergosterol content. Under the conditions set in this experiment, it was possible to obtain ear mushrooms with enhanced vitamin D2 up to 26,968.7 μg/100 g.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ear mushroom is highly likely to be used as a vitamin D source and nutritionally fortified food ingredient.
본 연구는 관리자 코칭 행동의 관련 변인을 살펴보고자 관리자 코칭 행동 모 델을 중심으로 관리자 코칭 행동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각 연구결과를 체 계적이고 계량적으로 분석하는 메타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 성하기 위하여 체계적 문헌고찰에 대한 연구절차인 PRISMA 가이드라인에 따 라 문헌확인, 문헌선별, 선정기준 검토, 최종확정의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메 타분석 연구 대상 논문 51개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관리자 코칭 행동과 효과성의 크기를 비교 분석하여 살펴볼 수 있었다. 둘째, 관리자 코칭 행동의 구성요소 효 과 크기와 관련하여 관계 및 존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관리자 코칭 행 동의 코칭효과별 상관관계와 관련하여 정서적 효과, 인지적, 기술적 효과, 성과 등 다양한 효과 크기를 살펴 볼 수 있었다. 넷째, 산업별 효과 크기는 서비스 산 업에서 더 큰 관계를 보였다. 다섯째, Stowell의 관리자 코칭 척도를 사용한 효 과 크기가 다른 학자들의 코칭 척도보다 더 큰 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의미를 살펴보면, 첫째,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 다르게 구체적으로 관리자 코칭 행동에 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는 측면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되었다. 둘째, 관리자 코칭이 역량개발 및 성과위주의 코칭에서 벗어 나 조직원과의 지속적인 관계 과정으로 방향을 제시하고 피드백을 주는 것이 중 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셋째, 본 연구는 관리자 코칭의 효과성 관련하여 정서 적, 인지적, 기술적 및 성과 관련된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하여 향후 관리자 코칭의 효과성에 재검토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미를 둘 수 있다.
To apply UV-C as a non-heating sterilization method to increase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fresh seedless watermelon products, reductions in E. coli and quality changes by treatment dose (0, 2, 4, 8, 14, 20 kJ/m2) were investigated. The pH, sugar content, and hardness of watermelon inoculated with E. coli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UV-C treatment dose, but the polyphenol conten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s (425.4 GAE μg/g F.W.). When treated with 2 and 4 kJ/m2, the lycopene content was 31.6 and 30.9 μg/g F.W., respectively, which was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s (28.5 μg/g F.W.). The arginine and citrulline content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s. The number of E. coli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s following UV-C treatment. Considering the degree of E. coli reduction, lycopene content, arginine content, citrulline content, and UV-C irradiation time, subsequent 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selecting a UV-C treatment dose of 2 kJ/m2.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degree of reduction in the number of E. coli colonies by a single treatment and combined treatment with UV-C 2 kJ/m2 and 70% ethanol showed that the combined treatment was most effective as colonies were decreased by 2.3 log CFU/g compared to the controls. Therefore, it is judged that UV-C 2 kJ/m2 radiation and combined treatment with 70% ethanol could be applied as a non-heating sterilization method for fresh watermelon slices.
농업 재배지 토양으로부터 auxin 생성세균 KSD16, KSD33 그리고 KSD36를 분리하였다. 분리 균주 KSD16, KSD33 그리고 KSD36 는 16S rRNA 유전자 계통분석을 통해 Arthrobacter 속으로 분류되 었다. 이들 균주는 R2A배지에 0.1% L-tryptophan를 첨가한 배지에서 28℃, 48 시간 배양한 결과, auxin 의 일종인 indole-3-acetic acid (IAA)를 204.4 mg L-1 생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IAA 생성세균의 녹 두종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Arthrobacter 속 균주 KSD16, KSD33 그리고 KSD36 는 대조 군에 비해 뿌리길이와 발근수가 증가하였다. Arthrobacter 속 균주의 녹두 성장촉진 효과를 확인한 결과, 녹두의 발아율이 대조군보다 73.4 % 증가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Distribution of airborne bacteria in the entire regions of South Korea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by region and type of multi-use facilities. At first, 10 public facilities were selected including general restaurant, retail store, public transport, retail market, apartment house, underground parking lot, financial institution, business facility, educational institution, and public toilet, which are located at the regions such as Seoul, Busan, Daejeon, Gwangju, Gyeonggi, Jeju, and Gangwon.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the floating bacteria was identified that Micrococcus sp. was highly prevalent in Seoul (21.5 percent). In Daejeon, Bacillus sp. was highly prevalent (12.4 percent). In Busan, Micrococcus sp. was highly prevalent (22.8 percent). In Gwangju, Bacillus sp. was 9.35%. In Gyeonggi, Micrococcus sp. was 13.7%, and in Gwangju and Jeju, Micrococcus sp. was 11.2 percent and 92%. All in all, Micrococcus sp. and Bacillus sp. were highly detected throughout the entire region and multi-use facilities. Next, whether or not these airborne bacteria could influence the health of people was examined using HaCat human skin cell line which is human epithermal Karatinocytes related to allergic dermatitis. Among these isolated microorganisms, the HaCat cell proliferation was decreased by Arthrobacter sp., Bacillus sp., Brachybacterium sp., Brevundimonas sp., Kocuria sp., Mammaliicoccus sp., Norcardia sp., Prestia sp., Phychrobacillus sp., and Rhodococcus sp., while it was affected by the other bacteria. Therefore, these results have suggested that the airborne floating bacteria could be considered as the marker for the environmental risk management against atopic dermatitis, and it is needed for controlling the bacteria number that suppressed the proliferation of HaCat cells.
본 연구는 아세트아미노펜, 비타민 C, 무수 구연산으로 구성된 해열진통 및 염증 완화제, 피버닐산의 사료첨가가 구제역(FMD) 백신의 접종으로 야기 될 수 있는 돼지의 부작용에 대한 감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8-9주령의 돼지(LYD) 30마리를 공시, 대조군(n=10), 구제 역 백신 접종군(n=10; T1), 구제역 백신+피버닐 산 투여군 (n=10; 백신 접종 후 5일 간 0.2% 피버닐 산 경구 투여, T2), 3개 그룹으로 배치하여 시험을 진행하였다. 각 시험 구에서 총 14일 동안 체중, 혈액학치, 혈액화학치, FMD 항체 및 스트레스 지표의 변화를 관찰했으며, 총 증체량 은 T1(11.13±1.33kg)에 비해 T2(13.76±1.73kg)에서 유의적 으로 증가하였다(p<0.001). 혈액학치 및 혈액화학치 분석 결과, 백신을 접종한 두 처리군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 다. FMD 항체 역가는 T1(89.1±7.9)에 비해 T2(91.9±5.6)에 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나지 않았다. T2 그룹의 코르티솔, TNF-α 및 CRP와 같은 스 트레스, 염증 지표 물질은 구제역 백신 접종 후 3일에서 5 일 사이에 각각 310.31±44.11ng/mL, 59.05±11.88pg/mL, 29.05±2.84ng/mL으로 T1(361.58±58.74ng/mL, 74.47±19.26 pg/mL, 34.21±5.34ng/mL)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측정되 었다. 시험 14일째에 육안 및 조직병리학적 분석 결과, 주 사 부위의 염증 반응은 T2에서 적게 관찰되었으며 염증세 포 침윤 및 섬유조직이 증식된 육아종성 염증 또한 T2에 서 적게 관찰되었다. 본 연구결과로 미루어 보아 피버닐 산의 0.2% 경구 투여는 체중감소, 발열 등의 임상증상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접종 부위의 염증반응을 억제 하여 구제역 백신 접종의 부작용에 대한 스트레스를 경감 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백신 접종 후 피버닐 산 의 0.2% 경구 투여는 돼지에서 구제역 백신 접종과 관련 된 부작용을 줄이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