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2

        141.
        200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5년 3월부터 11월까지 전북 강천산 군립공원에 자생하는 유관속식물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조사지역내에 분포하는 식물은 97과 253속 328종 45변종 6품종 등 총 379분류군으로 관찰되었다. 조사 지역에서 분포하고 있는 379종류의 식물자원의 유용도를 분석한 결과 총 315종류의 자원식물로 분류되었으며, 식용자원(E)은 161종류(51.1%), 초지자원(P)은 121종류(38.4%), 약용자원(M)은 147종류(46.6%), 관상자원(O)은 82종류(26.0%), 목재자원(T)은 11종류(3.4%), 공업원료자원(I)은 14종류(4.4%)로 나타났다. 한국특산식물은 14과 16속 16분류군으로 조사지역내 분포하는 총 379분류군 중 약 4.2%이었으며, 특정식물 중 III~V등급 식물은 9과 9속 9분류군으로 소산식물 379분류군의 약 2.3%로 나타났으며, 진화식물은 11과 15속 14종 1변종의 15분류군으로 우리나라 전체 귀화식물 225 종류의 6.7%에 해당되었다.
        147.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풋완두 추파재배시 월동 전에 알맞은 입모와 생육량을 확보해야한다. 그리고 초봄에 저온, 서리 또는 PE. 필름 멀칭내 고온 등의 피해를 회피하여 적기에 순화하여야한다. 1. 완두 생육기간동안 기온이 높은 여수지역이 나주지역에 비해 각 생육단계별 소요일수가 짧고 생장량이 많으며, 유효분지수가 많고 유효분지의 착생절위와 주경과 유효분지의 제1착협절위가 높으며, 개체당 협수와 협당립수가 많고 협장이 길었다. 2. 파종적기는 결주율, 생육, 수량 등을 고려해 볼 때 여수와 나주 지역 모두 11월 중순이었다. 3. 안정적인 순화시기는 결주율과 순화시 피해율이 가장 낮고 유효분지수와 개체당 협수가 많아 수량이 가장 많은 3월 상순이었다.
        148.
        200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Atractylodes속과 혼용되는 Atractylis속 6분류군의 화분을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본 속의 화분은 단립(monad)으로, 극축의 길이는 46.5-66.7μm, 적도면의 나비는 43.6-60.47μm이 었다. 발아구는 3공구형 (tri-colporate)으로서 , 구구(colpus)의 길이는 19.6-29.1 μm, 나비는 7.3-11.0μm이 었고, 공구의 직경 은 6.4-10.6μm 이었다. 화분벽은 외표벽 (ektexine)은 기저층(foot layer)과 원주층(columellae), 피복층(tectum)으로 구성되고, 두에는 5.2-8.3μm이었다. 화분의 표면 돌기는 자상(echinate)으로서 길이가 1.4-5.8μm이었으며, 단위면적당(No./20μm2) 분포는 6-33개 이었다 본 연구에서 취급된 분류군들의 화분, 특히 Atractylis arabica, A. aristata, A. carduus, A. microcephala의 화분형 태는 Atractylodes속의 화분과 매우 유사하였으며, 따라서 화분에 관련된 형질은 두 속을 구분하는 식별형질로 적용할 수 없었다. 그러나 화분에 관련된 형질이 Atractylodes속에서는 화분의 크기만이 속내 분류군간의 식별형질로서 기여도가 적은 반면, Atractylis속에서는 화분의 크기뿐만 아니라 형태 및 표면무늬와 자상돌기의 크기 등에 있어서 분류군간 의 식별형질로서 적용되어 분류학적 기여도가 다소 큰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취급된 분류군 중 A. cancellata와 A. prolifera는 나머지 분류군들과 달리 자상돌기가 작고 적도면상이 긴 특징은 본속의 화분의 진화경 향성을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하였다.
        149.
        2002.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세캡슐화 기술을 이용하여 산채류 추출물의 저장성의 향상과 식품에 적용가능성을 확인하려는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산채류에 적절한 캡슐물질은 gum arabic에 dextrin과soluble starch를 각각 3 : 1 비율의 혼합물로 나타났으며, 분무건조기의 최적 공정조건은 투입 공기온도가 21, 시료공급속도 10 /min이었을 때 가장 높은 건조 효율성을 보였다. 미세캡슐화는 추출물의 색도 변화를 2~6배 감소시켰다. 대조구(대두 경화유)에 첨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