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실험은 삼채에 발생하는 점박이응애의 효율적인 약제방제전략의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시판되고 있는 10종의 살비제에 대해 약제감 수성과 포장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점박이응애 암컷 성충에 대한 실내감수성 평가 결과 Abamectin EC, Pyflubumide SC, Cyenopyrafen SC, Acequinocyl SC가 100%의 살비효과를 나타내었고, Pyflubumide SC, Acequinocyl SC, Etoxazole SC는 부화율이 0%로 나타나 100% 의 살란효과를 나타내었다. 실내감수성 평가에서 살비효과가 우수했던 Abamectin EC, Pyflubumide SC, Cyenopyrafen SC, Cyflumetofen SC, Acequinocyl SC를 대상으로 포장검정을 평가한 결과, 약제처리 7일차에서 모든 처리구는 90.3% 이상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In most mammals, metaphase II (MII) oocytes having high maturation promoting factor (MPF) activity have been considered as good oocytes and then used for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including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 Caffeine increases MPF activity in mammalian oocytes by inhibiting p34cdc2 phosphoryl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ffeine treatment during in Vitro maturation (IVM) on oocyte maturation and embryonic development after SCNT in pigs. To this end, morphologically good (MGCOCs) and poor oocytes (MPCOCs) based on the thickness of cumulus cell layer were untreated or treated with 2.5 mM caffeine during 22-42, 34-42, or 38-42 h of IVM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design. Caffeine treatment for 20 h during 22-42 h of IVM significantly inhibited nuclear maturation compared to no treatment. Blastocyst formation of SCNT embryos was not influenced by the caffeine treatment during 38-42 h of IVM in MGCOCs (41.1-42.1%) but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MPCOCs compared to no treatment (43.4 vs. 30.1%, P<0.05). No significant effects of caffeine treatment was observed in embryo cleavage (78.7-88.0%) and mean cell number in blastocyst (38.7-43.5 cells). The MPF activity of MII oocytes in terms of p34cdc2 kinase activity was not influenced by the caffeine treatment in MGCOCs (160.4 vs. 194.3 pg/ml) but significantly increased in MPCOCs (133.9 vs. 204.8 pg/ml).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caffeine treatment during 38-42 h of IVM improves developmental competence of SCNT embryos derived from MPCOCs by influencing cytoplasmic maturation including increased MPF activity in IVM oocytes in pigs.
우수농산물 생산이 버섯 품목에도 확대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에서 국내의 버섯 생산에 사용되고 있는 수입 버섯배지 재료의 안전성에 대한 자료를 얻고자 느타리와 양송이의 재배에 사용되는 수입 버섯배지 재료로 부터 영양요소, 중금속, 농약 등을 조사하였다. 2015년 수분, 조회분, 조단백, 조지방, 조섬유 등의 영양성분 을 조사한 결과 수분은 6.68%에서 59%로 재료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조회분은 0.66 – 13.15% 조지 방은 0.62 – 7.29% 수준이었다. 조단백은 중국 면실박과 인도네시아 케이폭박이 28 – 37% 수준으로 다른 배지재료 2.8 – 8.7% 수준 보다 월등히 높았다. 조섬유 또한 6.9에서 50.8%까지 재료 간에 커다란 차이를 보였다. 2016년 조사 또한 각 배지 재료간에 영양성분의 함량 차이가 존재함을 볼 수 있었다. 흥미롭게도 2015년 도와 달리 중국 면실박은 조단백이 8.6% 수준으로 함량이 크게 떨어졌다. 이집트 비트펄프에서 48%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중금속의 경우 2015년은 인도 면실피와 독일 피트모스에서 납이 2 - 3.7 ug/g, 수은은 캐나 다와 독일 피트모스, 파티스탄 밀짚에서 소량 0.01 - 0.02 ug/g, 니켈은 인도 면실피, 이집트 비트펄프, 파키 스탄 밀집에서 1.92 - 2.08 ug/g 수준으로 각각 검출되었다. 비소와 카드뮴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구리는 캐나다 피트모스를 제외 하고는 다른 모든 시료에서 1.85 –28.26 ug/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2016 년에는 인도 면실피와 캐나다 피트모스에서 납이 2.17 – 2.5 ug/g, 캐나다 피트모스에서 수은 0.02 ug/g, 이집 트 비트펄프, 호주 밀짚, 캐나다 피트모스 등에서 구리가 2.08 – 4.17 ug/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비소, 니켈, 카드뮴은 모든 시료에서 불검출 되었다. 농약은 2015년의 경우 검출되지 않았으나 2016년의 경우 이집트산 비트펄프에서 imidacloprid가 0.0004mg/kg, thiamethoxam이 0.0001 mg/kg 가 각각 검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입된 버섯배지 재료의 출처와 년도에 따라 영양성분, 중금속, 농약 등의 함량이 달리 존재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Supplemental substrates for mushroom cultivation media are potent sources for fungal contamination of indoor environment in cultivation houses.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resence of harmful fungi in the supplemental materials (beet pulp, cotton seed meal, kapok meal, peat moss, wheat straw) imported from China, Egypt, Germany, Indonesia and Pakistan. Fungal concentration in the supplemental materials ranged from 1.3×102 to 1.8×103 cfu/g. A total of 11 genera and 21 species were identified. Two genera and two species were found in Germany peat moss. In Pakistan wheat straw, three genera and four species were detected. In Egypt beet pulp and China cotton seed meal, four genera and five species and seven genera and ten species were shown, respectively. Among the identified fungi, Acremonium sp., Aspergillus chevalieri, Cryptococcus adeliensis, Eurotium amstelodami, Paecilomyces variotii and Rhodotorula mucilaginosa were known as human pathogens. This study provided evidence that pathogenic yeast and filamentous fungi are present in imported agricultural byproduct materials for mushroom cultivation.
국내의 버섯 생산을 위해 수입된 버섯배지 재료 사용의 증가에 따라 소비자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존재하 고 있으나 아직 안정성(농약, 중금속, 미생물 등)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 이에 따라 느타리(Pleurotus ostreatus)와 양송이(Agaricus bisporus)의 재배에 사용되는 수입 버섯배지 재료로 부터 곰팡이를 조사하였다. 실험한 수입배지 재료는 우크라이나, 이집트, 중국, 인도네시아, 캐나다, 독일 그리고 파키스탄에서 2015년에 수입된 면실피, 면실박, 케이폭박, 비트펄프, 피트모스 밀짚을 조사하였다. 우크라이나 면실피에서는 총 45 균 주의 곰팡이가 분리되었다. Penicillium 36 균주, Mucor 3 균주, 그 외 6개의 다른 곰팡이 균주가 동정되었다. 이집트 비트펄프에서는 총 16 균주의 곰팡이가 분리되었고, Penicillium 3 균주 , Aspergillus 5 균주, 그리고 8 개의 다른 곰팡이 균주가 동정되었다. 중국 면실박에서는 Penicillium 6 균주, Aspegillus 2 균주, 그리고 10개 의 다른 곰팡이 균주가 분리되었다. 인도네시아 케이폭박에서는 28 균주의 곰팡이가 분리되었고, Aenicillium 3 균주, Fusarium 1 균주, Aspergillus 5 균주, 그리고 18개의 다른 곰팡이 균주가 동정되었다. 캐나다 피트모스 에서는 총 45 균주의 곰팡이가 분리되었고, Penicillium 23 균주, Aspergillus 4 균주, 그리고 18개의 다른 곰팡 이 균주가 분리되었다. 독일 피트모스에서는 32 균주의 곰팡이가 동정되었고, 이중 Penicillium은 12 균주, Aspergillus는 2 균주, 그리고 다른 곰팡이는 18 균주였다. 마지막으로, 파키스탄 밀짚에서는 11개의 Penicillium, 2개의 Aspergillus, 3개의 Cladosporium, 그리고 9개의 다른 곰팡이 균주가 각각 분리되었다. 본 연 구에서는 수입된 버섯배지 재료에서 다양한 곰팡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골프장의 문제해충들 중 녹색콩풍뎅이(Popillia quadriguttata) 성충의 방제를 위하여 세 종의 한국산 곤충병원성선충 Steinernema carpocapsae KCTC 0981BP 계통 (ScK), S. glaseri Dongrae 계통(SgD), Heterorhabditis sp. KCTC 0991BP 계통 (HsK)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3일 후, 녹색콩풍뎅이 성충 한 마리당 900마리의 선충을 처리하였을 때, 치사율은 ScK가 , HsK가 , SgD가 를 각각 나타냄으로써 이용한 선충 모두가 높은 병원력을 나타내었다. 성충 한 마리 당 900마리의 선충을 처리한 3일 후의 치사율은 ScK는 , HsK는 , SgD는 였다. 선충의 녹색콩풍뎅이 성충 표면부착율과 침입율은 접종 선충의 종과 밀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즉, 성충한 마리당 900마리의 선충을 처리하였을 때 녹색콩풍뎅이 성충의 표면에서 검출된 HsK의 비율은 였으며, SgD는 , ScK는 였다. 녹색콩풍뎅이 성충 내에 침입한 선충의 검출여부에 따른 선충의 침입율은 성충 한 마리 당 900마리의 선충을 처리한 3일 후 ScK는 , HsK와 SgD는 각각 를 보였다. 반면, 성충 한 마리 당 90마리의 선충을 처리한 3일 후의 ScK 검출율은 , SgD는 였으나 HsK는 발견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