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5

        41.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생식주기 중의 흰쥐 자궁에서 발현되는 유전자들 중 adhesion수용체 유전자들의 발현이 프로게스테론(P)에 의하여 차별적으로 조절되는 실험을 하였다. 첫째 실험군은 난소절제 흰쥐와 배란기 흰쥐를 사용하였고(OVX/estrus), 둘째 실험군은 난소절제 흰쥐와 난소절제 후 P4를 주사한 흰쥐를 사용하였다(OVX/OVX+P). 적출한 자궁조직에서 total RNA를 추출, [P]-dATP로 probe를 제작한 후 Rat Atlas away 1.
        42.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조단백질 함량은 갓과 대부위 모두 생육시기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다가 과숙기에서는 감소하였으며 조지방은 생육시기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회분과 환원당은 모두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2. 표고버섯에서 17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총 아미노산 함량은 버섯이 생육함에 따라 증가한 후에 과숙이 되면서 감소하였고, 다량 함유된 아미노산은 Glu, His, Gly 및 Gly 등이었다. 유리 아미노산의 경우도 총 아미노산과 유사한 경향이었다. 3. 무기질은 생육시기가 증가할수록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K는 감소하였으며, K와 P의 함량이 다른 무기성분보다 매우 높았다. 4. 표고버섯에 주로 함유되어 있는 지방산은 linole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였다. 5. 주로 함유되 있는 향기성분은 1-octen-3-ol이 가장 많아 향기의 본체로 추측되며 그 외에 ethyl acetate, 3-octanone, ethanol, (E)-2-octenal, 4-octen-3-one, acetaldehyde, ethyl formate도 다량 함유되어 있었으며 , 갓 부위와 대 부위의 함량을 비교해 본 결과 갓 부위에 다량함유되어 있었다.
        43.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내분비계 장애물질은 다양한 동물의 생식과 배아의 발생에 위해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었다. 이러한 초기 배아의 비정상 발생 중 대표적인 것이 할구파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착상 전 생쥐 초기 배아를 PCB, BPA, DDT에 체내, 체외에서 각각 노출시켰다. 내분비계 장애 물질에 노출시켰던 배아는 할구파편, 불규칙한 할구와 깨짐, 일부 파괴된 투명대 배아 등의 다양한 형태학적 비정상 양상을 보였다. 착상 전 생쥐 초기배아의 세포괴사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조
        44.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체외수정의 성공률에 있어서 배란되기 직전의 충분히 성숙된 난자를 채취하는 것이 중요하며, 최근에는 질 벽을 통하여 초음파를 이용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난자 채취 시술 시 정맥 마취제를 투여하는데 최근에는 수술회복이 빠르고 오심이나 구토 등의 부작용이 적은 Propofol(2,6-disoprooylphenol)과 Thiopental sodium을 사용한다. 이들 마취제가 마취 투여 시간과 양에 따라 난자의 성숙률과 수정률, 발생률에 어떠한 영향
        45.
        2002.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매실 품종별, 수확시 기별, 부위별 그리고 매실농축액과 매실차 등 매실가공식품의 저장기간에 따른 시안화합물의 변화를 측정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매실 품종별 숙성과정 중 amygdalin 함량의 변화는 과육의 경우 수분후 미숙과인 70일경에는 3개품종이 비슷하였으나 앵숙이 20.2 m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핵인의 경우는 재래종에서 562 mg%로 나타나 다른 품종에 비하여 1.5∼2.4배 더 높았으며, 부위별로 보면 핵인이 과
        46.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X, Y정자를 분리하여(sexing techlology)필요한 성을 조절한 배아의 연구가 아직 실용화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기초연구로서 돼지의 X 정자와 Y정자를 분리하기 위하여 불연속 percoll농도구배를 제조한 후 상층에 정액을 분주하여 120g에서 20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분리된 각 층의 정자를 회수(710 sperms/ml)하여 genomic DNA를 추출한후, PCR 방법을 이용하여 Y 염색체의 성 결정 유전자(TDF)인 SR
        49.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환경에 방출되어 있는 많은 내분비교란물질들은 사람과 동물의 내분비계에 교란을 일으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다. 뇌의 성분화는 생식소 호르몬 영향하에 비가역적으로 진행되며 흰쥐의 경우 이 시기는 임신말기에서 생후 7∼10일 가량이다. 최근에 본 연구진은 횐쥐의 뇌 성 분화의 결정적인 시기에 발현되는 KAP3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Choi & Lee, 1999). KAP3의 기능은 신경세포를 포함한 세포에서 aronal tansport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
        50.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embrane-type matrix metalloproteinase(MT-MMP)는 세포막에 부착된 채로 작용하는 단백질 가수분해효소로서 최근들어 정상 및 암세포 등 각종 조직세포의 재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RT-PCR 방법을 사용하여 생쥐 난자와 초기배아에서의 MT1-MMP와 MT2-MMP 유전자 발현 양상을 조사하였다. 생후 3주 및 8주된 생쥐의 난소로부터 얻은 미성숙난자와 체외 및 체내에서 성숙시킨 난자
        51.
        200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칡뿌리를 이용한 건강식품의 개발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항균활성과 isoflavonoid 화합물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항균활성은 칡뿌리의 methanol 추출물의 용매분획물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나타났으며 암칡보다는 숫칡에서 활성이 높고 그람 음성균에서 활성이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ethyl-acetate분획물은 7~9% 수율로 얻어졌고 silical gel TLC에서 CH2Cl2 : CH3OH=7 : 3 전개용매로 puerarin은 Rf치 0.60 daidzin은 Rf치 0.69를 나타내었으며 isoflavonoid중 purearin의 함량이 가장 많고 daidzin 그리고 daidzein은 소량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함량은 숫칡보다 암칡에서 높게 나타났다.
        52.
        199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선초를 다양한 가공식품으로 개발하여 그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신선초의 부위별 일반성분,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구성아미노산 및 식이 섬유 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신선초의 가식부를 평균함량으로 보면 수분이 88.43%, 회분은 1.96%, 조지방은 0.16%, 조지방은 2.95%, 조섬유는 1.26%, 총 비타민C는 67mg%로 나타났으나 수분과 조섬유를 제외하고는 줄기보다 잎에서 더 높은 함량을 보였다. 유리당 함량은 잎이 줄기보다 1.68배정도 높았으며 유리당의 종류와 함량을 보면 포도당이 평균함량으로 688mg, 과당이 703mg로 대부분 이였으며 서당은 미량 검출되었다. 잎에는 총 유리아미노산이 54.39%로 줄기의 28.07%보다 1.9배 이상 많은 함량을 보였다. 잎과 줄기의 총 구성 아미노산은 각각 1737.41mg%, 319.71mg%로 잎 이 줄기의 5.4배 높게 나타났다. 수용성 식이 섬유(SDF) 함량을 살펴보면, 신선물 기준으로 줄기가 1.00%로 잎의 0.99%보다 0.01% 높게 나타났으며, 불용성 식이 섬유(IDF) 함량 역시 잎의 3.07%보다 줄기가 3.52%로 0.45% 더 높게 나타났다. 신선초의 saponin의 함량은 잎이 535.51mg%로 줄기의 463.09mg%보다 높게 나타났다.
        53.
        199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n the contents of dietary fiber, mechanical properties, and sensory quality of bread contained with 10% of high-fiber Camellia (Camellia japonica L.) seed flour. Bread added by dietary fiber was the contents of moisture, protein and ash higher than control bread, while the contents of lipid lower than that of control bread. The high-fiber with Camellia seed flour contained 8.6% soluble dietary fiber, 43.7% insoluble dietary fiber, and 52.3% total dietary fiber. The ratio of insoluble dietary fiber/soluble dietary fiber in the high-fiber with Camelia seed flour was 5 times. Bread with the addition of dietary fiber contained 6.9% total dietary fiber. With the addition of dietary fiber, water absorption , mixing time loaf weight, and hardness increased, but the loaf volume decreased . The sensory quality on bread added by dietary fiber was somewhat low in color, appearance, crumb texture, mouthfeel, flavor and overall preference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bread.
        54.
        199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properties such as nitrogen solubility, emulsifying property , foaming capapcity , water and oil absorption of Camellia (Camellia japonica .) seed protein isolate in condition of distilled water and 0.5M NaCl solution at pH 2.0∼10.0. Nitrogen solubility of Camellia protein isolate in distilled water showed the minimum value at pH 4.0 and increased at pH lower or higher than the isoelectric point(pH 4.0). It was 90.0 %at pH 10.0 Nitrogen solubility of 0.5M NaCl solution showed a similar pattern with that of distrille dwater but was higher than that of distilled water except pH 2.0 and pH 10.0. Emulsifying activity of Camellia seed protein islate showed the minimum value at pH 4.0, but was higher at ether value of pH. Emulsifying stability of protein isolate was stable by heat treatment for 30min, at 80℃ and increased in 0.5M NaCl solution more than that of distille dwater. Foaming capacity of Camellia seed protein isolate in distill3ed water showed the minimum value near the isoelectric point, While it changed little at other values of pH. Foaming stability slowly decreased as, but didn't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as time was delayed . Oil absorption was 1.4ml per a sample of 1g and water absorption was 0.9ml per a sample of 1g. The former was higher than the latter . The content of total amino acid of Camellia protein isolate was 43.67% and the major total amino acid of Camellia protein isolate was 43.67% and the major total amino acid was in the order of glutamic acid , arginine, aspartic acid, and leucine.
        55.
        199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 of drying temperature (30, 40, 50, 60) on chemical components of Shiitake mushroom(Lentinus edodss) was investigate. When compared proximate composition on pileus and stipe of raw and dried materials, all of them were found to be higher in the stipe part than in the pileus part. The major components of organic acid were oxalic, citric, malic, malonic and pyroglutaric acid. The contents of free and total amino acids in pileus and stipe were 3458.4, 7640.2mg% for pilueus; 2298.0, 6171.5mg% for stipe on dry basis,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s of crude ash and organic acids content of Shiitake mushroom among drying temperatures. But the amount of crude fats was increased and that of reducing sugars was decreased with increase of drying temperature.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s of pileus part of dried materials were increased with increased drying temperature, but those of stile part were gradually decreased. The contents of free amino acids decreased with increase in drying temperature, but those of total amino acids were gradually increased.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