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91

        4.
        2025.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비방사성 SrCl2를 이용하여 Sr 농도를 50, 100, 200mg·kg-1 및 토양 유기물 함량을 5%, 10% 및 15%로 달리하여 배추의 생육, 생체중, 엽록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생육 시기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Sr 농도가 증가할수록 초장, 근장, 엽면적, 생체중 및 건물중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Sr 200mg·kg-1 처리에서 생육 저 해가 뚜렷하였다. 반면, 엽록소 함량(SPAD)은 처리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광합성 색소에는 Sr의 영향이 제 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물 함량이 높은 토양에서는 Sr 처리에 따른 생육 저해가 완화되었으며, 특히 유기물 15% 조건에서 완충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는 유기물이 Sr의 생물유효도를 감소시켜 식물체 흡수를 억제하 는 기작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비방사성 SrCl2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작물의 Sr 독성 반응과 유기물 기 반 토양 완충 효과를 정량적으로 규명하였으며, 향후 방사성 오염 토양의 생물학적 복원 및 안전 농산물 생산 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4,000원
        6.
        2025.07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hallan instrument is a solar full-disk imaging spectroscopic telescope planned to be installed at three sites with a 120-degree longitudinal difference, enabling continuous 24-hour observations of the Sun. It will take data every 2.5 min with a spatial resolution of 2–3′′ and a spectral resolving power (R) of >43,000 in Hα and Ca ii 8542 Å bands simultaneously. Challan is composed of two modules, each dedicated to a specific waveband. This modular design is beneficial in minimizing the scattered light and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engineering. The primary scientific goal of Challan is to investigate solar flares and filament eruptions. It is also expected to detect small-scale events in the solar chromosphere. In 2025, Challan will be installed at the Big Bear Solar Observatory for test observational runs, followed by scientific runs in 2026.
        4,000원
        7.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에서는 각막 굴절교정 수술을 받은 지 1년 이상 경과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근시 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각막 굴절교정 수술 후 1년 이상 경과된 20세 이상의 성인 44명을 대상으로 자각적 및 타각적 굴절검사, 원거리 및 근거리 사위도 검사, AC/A비, 각막 불규칙도(CIM) 및 고위수차를 측정하였다. 결과 : 원거리 및 근거리 사위도, AC/A비 및 트레포일 수차에서 그룹별 근시도 차이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으 며, 근시 퇴행과의 상관성도 나타나지 않았다(p>0.050). 연령이 많을수록, 수술 후 경과한 기간이 길수록 근시 퇴 행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0). 각막 불규칙도(CIM)에서는 정상 각막 불규칙도가 이상 각막 불규칙도보다 근시 퇴행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0). 코마수차는 양안 모두 정상 코마수차 그룹에서 이상 코마수차보다 근시 퇴행이 유의하게 높게 보였다(p<0.050). 구면수차에서는 우안에서만 정상 구면수차 그룹이 이상 구면수차 그 룹보다 근시 퇴행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p<0.050), 좌안에서는 그룹 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p>0.050). 결론 : 본 연구는 각막 굴절교정 수술 후 근시 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나이가 많 을수록, 수술 후 경과한 기간이 길수록 근시 퇴행이 많이 진행되었고, 각막 불규칙도(CIM), 코마수차와 구면수차가 낮을수록 근시 퇴행이 많이 진행되었다.
        4,000원
        8.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mmercial feed additive, native rumen microbes (RC), derived from a diverse microbial community isolated from the rumen of Hanwoo steers is being explored to enhance rumen fermentation and improve ruminant feed utilization. This study evaluated the impact of native rumen microbes supplementation on methane emissions, microbial diversity, and fermentation efficiency on in vitro assessment. Treatments were as follows: CON (basal diet, without RC); T1 (basal diet + 0.1% RC); T2 (basal diet + 0.2% RC). Rumen fermentation parameters, total gas, and methane production were assessed at 12, 24, and 48 h of incubations. The in vitro gas production was carried out using the Ankom RF Gas Production System. Supplementation of RC significantly reduced the total gas production at 12, 24, and 48 hours of incubation (p < 0.05). Volatile fatty acid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while acetate and propionate were decreased (p < 0.05) at 48 h by the supplementation of RC. Notably, the 0.1% inclusion level of RC significantly reduced methane production by 28.30% and 21.21% at 12 and 24 hours. Furthermore, microbial diversity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shifts (p < 0.05) in bacterial composition between the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while supplementation also promoted the growth of bacterial populations, such as Succiniclasticum. These findings suggest that native rumen microbes supplementation, particularly at 0.1% inclusion level, can enhance rumen microbial composition while significantly reducing methane production in vitro.
        4,300원
        9.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mitriptyline hydrochloride (AMT), a tricyclic antidepressant, is known to exhibit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a wide range of bacterial specie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 of AMT on Brucella (B.) abortus infection in RAW 264.7 cells and ICR mice, which has not yet been clearly characterized. The results showed that all tested concentrations of AMT had no direct bactericidal effect on B. abortus survival at any incubation time point. Interestingly, RAW 264.7 cells pre-treated with a non-toxic high concentration of AMT before B. abortus infection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phagocytosis of B. abortus at 20 min post-infection, compared to untreated cells. However, AMT treatment did not affect the intracellular replication of B. abortus compared to the control cells. Based on the reduced bacterial uptake observed in-vitro, an in-vivo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ssess whether daily oral administration of AMT at a dose of 20 mg/kg could inhibit B. abortus growth in ICR mice. The results showed that AMT treatment slightly increased both organ weights and bacterial loads, suggesting possible systemic effects of prolonged AMT exposure. In summary, these preliminary results provide initial insight into the potential effects of AMT on B. abortus infection both in-vitro and in-vivo. Therefore, further study should focus on dose optimization in-vivo and exploration of the underlying cellular mechanisms involved in AMT-mediated inhibition of phagocytosis during Brucella infection.
        4,000원
        10.
        202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 global efforts to combat climate change have accelerated, with nations adopting carbon strategies such as carbon taxes and emission trading system (ETS) to support their net-zero commitments. These initiatives enable governments to enforce mitigation while maintaining their dual goal of fostering economic growth. Vietnam, a developing country, has emerged as a proactive participant by launching a national ETS, drawing from international best practices and domestic geographical advantages.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and challenges involved in designing and implementing an ETS in Vietnam, exploring the necessary policy frameworks, institutional structures, and market mechanisms. It highlights key considerations such as the selection of sectors and entities to be covered, the allocation of emission allowances, and the establishment of new market management solutions. This article concludes with strategic recommendation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a successful and sustainable ETS mechanism in developing country like Vietnam.
        5,800원
        12.
        202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라이소자임이 칸디다 알비칸스에 항균효능이 있음을 발견하였고 라이소자임의 분해 절편도 또한 항균효능이 있는지 단백질 분해 효소인 트립신을 처리하여 확인해 보았다. 130개의 아미노산 으로 구성된 14 kDa 단백질인 라이소자임을 약 24 kDa의 분자량을 가지는 단백질 분해 효소인 트립신으 로 분해 하였다. 분해된 생성물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인 분석용 및 제조용 HPLC를 사용하여 분 석 및 분리하였다. 이를 통해 효율적인 라이소자임 소화를 위한 최적 조건을 확인하고, 분해된 펩타이드 절 편들을 분리하였다. 효능평가 결과, 일부 펩타이드 절편들이 칸디다 알비칸스에 강한 항균 활성을 보임을 확인하였으며 몇몇은 활성이 줄어드는 결과를 보였다.
        4,300원
        13.
        202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습도센서에서 Zn-MOF (금속-유기구조)의 개발과 응용에 대해 다루며, 친환경적 합성과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보고한다. 그린 화학의 원리를 이용하여 제작된 Zn-MOF를 유연한 폴리에 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판 상에 형성된 깍지낀 구조의 전극과 통합하였다. 상대습도가 10%부터 90%까지 증가할 때, 전기적 특성은 42.49 pF에서 370 nF까지 정전용량의 급격한 상승(약 939,322%)을 나타냈다. 또한, 임피던스는 47 MΩ에서 0.072 MΩ까지 약 99.81% 감소하였다. 제작된 습도센서는 반응시간 5초, 복구시간 약 0.7에서 0.9초로 동적으로 반응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Zn-MOF가 고도로 민감하고 반응성이 뛰어난 습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가능성과, 특히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센서의 정전용량성 반응성을 강조 하고자 한다.
        4,200원
        14.
        202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etal additive manufacturing (AM) facilitates the production of complex geometries with enhanced functionality. Among various AM techniques, laser powder bed fusion (LPBF) is distinguished by its precision and exceptional mechanical properties achieved via laser fusion deposition. Recent advancements in AM have focused on combining LPBF with post-processing methods such as cold rolling, high-pressure torsion, and forming processes. Therefore, understanding the forming behavior of LPBF-processed materials is essential for industrial adop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retch-flangeability of LPBF-fabricated 316L stainless steel, emphasizing its anisotropic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Hole expansion tests were employed to assess stretch-flangeability in comparison to wrought 316L stainless steel.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LPBF-processed samples exhibit significant anisotropic behavior, demonstrating the influence of microstructural evolution on formability. These findings contribute valuable insights into optimizing LPBF materials for industrial forming applications.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