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환경 요인을 바탕으로 절화용 국화 생장 예측을 위한 최적의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13개의 모델(Linear Regression, Lasso Regression, Ridge Regression, ElasticNet Regression, K-Nearest Neighbors (KNN), Support Vector Regression (SVR), Neural Network, Decision Tree, Random Forest, XGBoost, AdaBoost, CatBoost, Stacking)의 성능을 R2, MAE, RMSE를 평가 지표 로 비교하였다. 단일 모델 중에서는 Decision Tree가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R2값은 0.90에서 0.91 사이였다. 앙 상블 모델 중에서는 CatBoost가 가장 높은 성능을 보였으며 (R2=0.90~0.92) Random Forest와 XGBoost 또한 유사한 성 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트리 기반 앙상블 모델이 국화 생장 예측에 적합한 모델로 나타났다.
Virtual Reality Head Mounted Display (VR HMD)-based flight simulators have recently emerged as promising tools for enhancing pilot training effectiveness.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set of evaluation criteria for the development of VR HMD-based flight simulators and to determine their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hrough an extensive review of the literature, a hierarchical evaluation model was constructed, consisting of three primary criteria and ten sub-criteria.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experienced pilot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AHP methodology to assess the relative weights of each criterion.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fidelity of system performance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evaluating VR HMD-based flight simulators. These findings present a structured evaluation framework and offer practical insights for guiding the strategic development and optimization of VR HMD-based flight training systems.
최근 몇 년 동안 높은 감도, 빠른 응답 및 쉬운 제작 공정을 갖춘 습도 센서가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다. 여기서는 PET 기판의 깍지낀 전극(IDE)에 감지 층을 증착하여 길이 대 직경의 종횡비가 낮고 (PVP-ZnO-1), 높은(PVP-ZnO-2) PVP 개질 ZnO 나노막대 센서(PVP-ZnO)의 쉬운 제작 공정을 보고 한다. PVP-ZnO-2는 PVP-ZnO-1 센서(41,647%)에 비해 85% 상대 습도(RH)에서 99,397%의 더 높은 정전용량성 습도 감도를 보였다. PVP-ZnO-2 센서는 또한 순환 습도 조건에서 응답시간 7초 및 복구시간 10초를 나타냈다. PVP-ZnO-2의 높은 습도 감도 성능의 이점을 활용하여 다양한 호흡 정도의 정전용량 변화와 모스 부호 메시징을 시연하였다. 이 연구는 높은 표면적을 갖는 고성능 나노소재 기반 습도 센서의 엄청난 잠재력을 보여준다.
Silage inoculants, which include beneficial microorganisms like lactic acid bacteria (LAB), play a vital role in modern silage production by enhancing fermentation quality.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commercial inoculants on the fermentation dynamics of Italian ryegrass silage over 45 days. The treatments included a control group and five inoculant formulations: T1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T2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and Pediococcus pentosaceus), T3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and Pediococcus pentosaceus and Lactiplantibacillus buchneri), T4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and Lactiplantibacillus acidophilus and Lactiplantibacillus bulgaricus), and T5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and Pediococcus pentosaceus and Enterococcus faecium). After 45 days, all treatment groups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crude protein (CP) cont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80.64 g/kg dry matter (DM), p<0.05). Treatments T2 and T5, which incorporated combinations of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Pediococcus pentosaceus and Enterococcus faecium, showed higher CP contents at 105.53 and 107.05 g/kg DM, respectively. The inoculated silages also demonstrated a rapid pH reduction within the early days, with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in T1 reducing the pH to 4.0 within four days. Additionally, inoculated treatm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lactic acid levels than the control (67.96 g/kg DM, p<0.05), and T3 (Lactiplantibacillus buchneri) produced higher acetic acid levels (16.07 g/kg DM, p<0.05) than other inoculants. The control group also had a notably higher ammonia nitrogen content. In conclusion, while single-strain inoculants like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are effective for rapid acidification, the use of combined bacterial strains can further enhance silage quality by improving lactic acid fermentation and nutrient preservation, particularly in treatments like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and Pediococcus pentosaceus and Lactiplantibacillus buchneri and Enterococcus faecium.
Hyperoxaluria is a disorder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renal stones, one of the most common conditions. For people with hyperoxaluria, there are a limited number of effective therapeutic opt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an oxalate-degrading enzyme, oxalate decarboxylase (OxdC), can inhibit crystallization of calcium oxalate (CaOx) in vitro, and whether it can prevent nephrolithiasis caused by CaOx induced by ethylene glycol (EG) in rats. When OxdC was applied at various concentrations to CaOx in vitro, there was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crystallization of CaOx. The OxdC was found to inhibit crystal formation as well as the formation of crystals that had sharp edges. In animal experiments, rats that had been treated with EG showed impaired renal filtration functions, as well as increased deposition of CaOx crystals and the creation of kidney stones. It has been found that oral administration of OxdC to rats with chronic EG-induced nephrolithiasis that is characterized by CaOx intratubular crystal deposits with hyperoxaluria dramatically reduces the severity of the dise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point to a potential therapeutic approach for treating human hyperoxaluria as well as CaOx nephrolithiasis that could be achieved by the oral administration of OxdC.
The Yeongsan River is a prominent inland waterway, alongside the Han River, Nakdong River, and Geum River in South Korea. Numerous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the Yeongsan River basin for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into indigenous prokaryotic species conducted between 2020 and 2023. These bacterial strains were identified using 16S rRNA gene sequencing, wherein 45 bacterial strains shared >98.7% sequence similarities with bacterial species not recorded in Korea thus far.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catalogue aforementioned unrecorded species and characterize them contingent upon their Gram nature, colony and cell morphologies, biochemical properties, and phylogenetic positions. These bacterial species were determined to be phylogenetically diverse. They were categorized into nine classes, 18 orders, and 25 families. These previously unrecorded specie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genera and classes: Chitinophaga (class Chitinophagia); Flavobacterium (class Flavobacteriia); Rhodopseudomonas, Gemmobacter, Paracoccus, Azospirillum, Sphingomonas, Novosphingobium, Sphingorhabdus, and Erythrobacter (class Alphaproteobacteria); Bordetella, Pararobbsia, Polynucleobacter, Rhodoferax, Aquabacterium, Malikia, Comamonas, Ideonella, Paucibacter, Undibacterium, Cupriavidus, and Thauera (class Betaproteobacteria); Pectobacterium, Arenimonas, Lysobacter, and Luteimonas (class Gammaproteobacteria); Luteolibacter (class Verrucomicrobiia); Mycolicibacterium, Angustibacter, Ornithinibacter, Janibacter, Schumannella, Aurantimicrobium, Luedemannella, Nocardioides, and Propionicimonas (class Actinomycetes); Geothrix (class Holophagae); and Lactococcus (class Bacilli).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밝은 화색과 안정적인 화형의 생 육이 우수한 빨간색 스탠다드 장미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 진한 적색 스탠다드 장미 품종 ‘엔드리스러브(Endless Love)’를 모 본으로, 꽃잎수가 많고 안정적으로 가시가 적은 밝은 노란색 ‘페니레인(Penny Lane)’ 품종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였다. 37 개의 교배실생을 양성해 1, 2, 3차에 걸친 특성검정 및 현장실증 을 통해 꽃이 크고 화형이 안정적이며, 재배안정성 및 생산성, 절화특성이 우수한 ‘원교 D1-390’을 최종 선발하였다. 2023년 ‘루비레드(Ruby Red)’로 명명하여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출원·등록되었다. ‘루비레드’ 품종은 밝은 적색(R53C)을 가졌으 며, 꽃잎수가 32.8매, 화폭과 화고는 각각 10.9, 5.9cm로 대조 품종보다 크다. 절화장은 평균 71.7cm, 절화수명은 약 16.7일, 수량은 연간 168대/m2로 대조품종인 ‘레드스퀘어(Red Square)’ 대비 절화장이 길고 절화수명도 2배 이상 길며, 수확량도 1.4배 우수하다. 2023년 국내 육성 장미 품종 서울식물원 관람객 대상 공동평가회에서 스탠다드 장미 중 우수한 평가를 받았으며, 현 장 실증 결과 농가별로 균일하고 우수한 수량과 절화품질을 보 였다. 절화용 장미 ‘루비레드’ 품종은 밝은 적색과 우수한 화형 을 가지는 품종으로 해외 대체 품종으로 국내에서 많이 재배될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는 청 황제 건륭제(乾隆帝, 재위 1735~1796)가 발문한 사 슴뿔 그림인 <녹각도(鹿角圖)>가 소장되어 있다. 기존 연구에서 이 그림은 건륭제가 서양의 회화 주제인 사슴뿔을 서양 화법을 적용하여 그림으로써 서양풍을 모방하고 자신의 목적에 맞게 전용하고자 한 시도로 이해되었다. 본고는 관점을 달리하여 <녹각도>의 상서적(祥瑞 的) 요소를 발견하고 청 황제들의 대표적인 사냥감이었던 사슴의 뿔이 사냥 전리품에서 산령 (山靈)이 보낸 상서로운 징표, 즉 부서(符瑞)로 변모한 과정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 우선 북 경ㆍ심양고궁박물원에 소장된 홍타이지, 강희제, 건륭제가 제작한 녹각의(鹿角椅)를 통해 청 황제들에게 있어 사슴뿔이 만주족의 전통과 용맹함을 보여주는 사냥 전리품이었음을 확인 한다. 또한 <녹각도>에 실린 건륭제의 발문인 ‘녹각기(鹿角記)’를 분석하여 이 사슴뿔이 어떻게 부서가 되었는지 밝힌다. <녹각도>에서 건륭제는 사냥감보다 서수(瑞獸)로서의 사슴 을 강조함으로써 청 황실의 사냥 의식이 중시한 만주적 무용(武勇) 위에 한족의 전통 사상인 천인감응설(天人感應設)에 의거한 부명(符命)의 가치를 덧입혔다. 이처럼 <녹각도>에서는 사냥을 자연의 정복이 아닌 자연과의 교감으로 해석하여 만주 황권을 성군의 경지로 끌어올 리고자 한 건륭제의 의도가 읽힌다.
Background: Stress urinary incontinence (SUI) impacts the soci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 Several techniques exist for its management, including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TES). Objects: We aimed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TES on ultrasonographic variables and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SUI. Methods: This prospective study recruited 21 women who had been diagnosed with grade 1 or 2 SUI between July 2018 and March 2019. The exclusion criteria were pregnancy and a history of urogenital surgery. All participants were assessed at baseline and 8 weeks after intervention initiation. The bladder neck position (BNP), length of the urethra (LU), funneling index (FI), and rhabdosphincter thickness (RT) were measured. The Incontinence-Quality of Life (I-QOL) was used to assess incontinence-specific quality of lif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p < 0.05. Results: Twenty-one patients with SUI used TES for 8 weeks. BNP and FI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intervention (p < 0.05). LU, anterior and posterior RT (indicators of external sphincter hypertrophy) significantly increased post-intervention (p < 0.05). The total I-QOL score increased from 64.81 to 71.86 after the intervention (p < 0.05). Conclusion: This intervention improved BNP, LU, FI, RT, and subjective indicators such as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SUI. Therefore, TES can be an effective non-surgical treatment method for improving SUI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these patients.
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는 2023년부터 산림생태계 보전을 위한 화분매개곤충 특성연구 사업을 추진하면서 그 첫 번째 단계로 화분매개곤충 인벤토리 구축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수목원 4개소(강원도 립화목원, 경상남도수목원, 국립수목원, 대구수목원)에서 9종의 식물(국수나무, 미선나무, 산수유, 산철쭉, 생강 나무, 수수꽃다리, 아까시나무, 진달래, 히어리)을 대상으로 각 식물에 어떤 곤충들이 방문하는지 쓸어잡기 방법 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조사된 곤충 중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를 차지하고 있는 곤충은 파리목(1,407개체)이었 으며, 26과의 다양한 파리목 곤충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중에서도 가장 많은 개체수를 차지하고 있는 과는 재니등에과 (4속, 5종, 651개체), 꽃등에과 (24속, 34종, 302개체), 기생파리과 (8속, 9종, 111개체)로 집계되었으며 이 중에서도 꽃등에과의 종다양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조사한 식물 중에서 가장 많은 파리목 곤충이 모인 식물은 수수꽃다리와 미선나무였고, 각각 314, 308개체 이상의 파리목 곤충을 확인하였다. 반면 파리목 곤충의 방문이 가장 저조한 식물은 국수나무와 아까시나무였으며 확인된 개체수는 각각 38, 45개체였다. 우리는 화분매 개곤충에 대한 인벤토리 구축을 통해 화분매개곤충에 대한 다양한 분류학 및 생태학적 데이터의 지속적인 확보 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본 소모임에서 이에 대한 발전방안 및 축적된 데이터의 활용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