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derstanding the dispersion of xenon isotopes following a nuclear test is critical for global security and falls within the remit of both the Comprehensive Nuclear-Test-Ban Treaty (CTBT) and the International Noble Gas Experiment (INGE). This paper aims to show if it is possible to discriminate the source of xenon releases based on the atmospheric dispersion of xenon isotopes using HYSPLIT. Using ORIGEN and SERPENT simulations, four released scenarios are defined with four different fractionation times (i.e., 1 hour, 1 day, 10 days, and 30 days) after a 1kt TNT equivalent 235U explosion event. These time-delayed release scenarios were selected to certify the possibility of mis-determining xenon release source. We use the Lagrangian dispersion model for atmospheric dispersion to predict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xenon isotopes under each scenario. The model allows us to better understand how these isotopes would distribute over time and space, offering valuable data for real-world detection efforts. To our knowledge, there have been no researches on the analysis of xenon isotopic ratios considering atmospheric dispersion. In this work, we focused on the atmospheric dispersion using HYSPLIT to characterize the xenon isotopic ratios from nuclear tests. In addition, we compared the xenon isotopic ratios obtained from the atmospheric dispersion with those from ORIGEN calculations, which would be helpful to discriminate the source of the xenon releases.
White rot fungus Cerrena unicolor IUM 5400 produced ethanol from diverse sugars, including glucose, mannose, galactose, and cellobiose at 0.38, 0.28, 0.08, and 0.27 g of ethanol per g of sugar consumed, respectively. The fungus produced relatively high amounts of ethanol from xylose (0.28 g of ethanol per g of sugar consumed); however, the ethanol conversion rate of arabinose was relatively low (at 0.08 g of ethanol per g sugar consumed). When cultured in a basal medium containing 20 g/L rice straw or corn stalks, C. unicolor IUM 5400 produced 0.18 g and 0.18 g of ethanol per g of rice straw and corn stalks, respectively. The results suggest that C. unicolor IUM 5400 is a white rot fungus that can effectively hydrolyze cellulose or hemicellulose to sugars and simultaneously convert them to ethanol.
Following the previous study, the toxicity of a single subcutaneous administration of the Thyrokitty injection (I-131) and the side effects that may occur at therapeutic doses were confirmed. The Thyrokitty injection (I-131) was administered subcutaneously once at a dose of 0, 2.0, 6.0, and 18.0 mCi/kg, 5 male and female rats per group, and mortality, general symptom observation, and weight measurement were performed for 2 weeks, followed by observation of autopsy findings. There were no deaths,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weight change was observed. Mild hair loss, fissures, and crusting were observed by general symptom observation, but it was not a toxic change related to the Thyrokitty injection (I-131). Gastric atrophy and a decrease in the size of the spleen were observed by the autopsy. As a results of single subcutaneous administration of the Thyrokitty Injection (I-131) to rats at a maximum dose of 18.0 mCi/kg, a decrease in the size of the spleen and gastric atrophy were observed as the dose of the Thyrokitty Injection (I-131) increased, which may be related to the test substance. No abnormal findings related to the Thyrokitty injection (I-131) were observed. Therefore, the approximate lethal dose of the Thyrokitty injection (I-131) was 18.0 mCi/kg or more. In addition, as reported for the treatment of feline hyperthyroidism with radioiodine (131I), side effects of the Thyrokitty injection (I-131) are expected to be extremely rare. Temporary dysphagia and fever may occur, but it will recover naturally. It should be administered with caution in cats with diseases such as urinary system, cardiovascular system, gastrointestinal system and endocrine system, especially with kidney disease. And it should not be used in cats who are pregnant, lactating, or likely. It is expected that the Thyrokitty injection (I-131) can be used for clinical treatment in Korea as a veterinary drug.
Radioiodine (131I)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feline hyperthyroidism since the 1990s in the USA and Europe, and it is recommended as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for feline hyperthyroidism because it has a high therapeutic effect, small side effects, and does not require anesthesia. In this study, the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the Thyrokitty injection (I-131), which is being developed as a treatment for feline hyperthyroidism, using radioiodine (131I) as an active ingredient, was tested. The %cell uptake of the Thyrokitty injection (I-131) in FRTL- 5 thyroid cells was 0.410 ± 0.016%, which was about 18 times higher compared to Clone 9 hepatocytes, and it was decreased by 30.7% due to the competitive reaction with iodine (sodium iodide). In addition, the %cell growth of the FRTL-5 thyroid cells was reduced by 25.0% by treatment with the Thyrokitty injection (I-131). As a result of the tissue distribution test, the Thyrokitty injection (I-131) was distributed at the highest concentration at 0.083 hours (5 minutes) after subcutaneous administration to animals in most organs except the stomach, small intestine, large intestine, muscle and thyroid gland, and it was excreted mainly through the kidneys. The stomach and thyroid gland showed a typical distribution pattern observed when radioiodine (131I) was administered. In addition, about 78.45% of the total amount of excretion was excreted within 48 hours, of which more than 85% was excreted in urine. In conclusion, the Thyrokitty injection (I-131) has the same mechanism of action, potency, absorption, distribution, metabolism and excretion characteristics as radioiodine (131I) reported in connection with the treatment of feline hyperthyroidism. In the future,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Thyrokitty (I-131) could be safely used in the clinical treatment of feline hyperthyroidism.
한약재로 사용되는 더덕과 도라지에 표고의 유용성분을 함유한 소재를 개발하고자 더덕표고균사발효물(FCLM)과 더덕도라지균사발효물(FPLM)을 제조하였다. 두 가지 발효물의 일반성분, 유리당, 유기산, β-glucan, ergothioneine, ergosterol, vitamin D2 함량 및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일반성분 분석결과, FCLM에서 조섬유와 조지방함량이 FPLM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FPLM은 조단백질과 가용성무질소물의 함량 이 FCLM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유리당은 FCLM과 FPLM 모두 arabinose, glucose, sucrose 3종이 검출되었으며, 총 유리당 함량은 FPLM에서 높게 나타났다. 유기 산 함량은 발효 전 더덕과 도라지에 비하여 발효 후 FCLM과 FPLM에서 낮게 나타났다. β-Glucan 함량은 FCLM과 FPLM 두 발효물에서 대조구로 사용한 표고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항산화 물질로 알려진 ergothioneine의 함량은 FCLM이 FPLM보다 높게 나타났다. Ergosterol 함량은 대조구로 사용한 표고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발효물들은 비슷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Vitamin D2는 발효물들에서만 검출되었으며, FPLM (0.58±0.01 mg%)가 FCLM (0.47±0.01 mg%)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더덕과 도라지 표고균사발효물인 FCLM과 FPLM는 3T3-L1 지방전구세포에 대하여 발효 전 더덕과 도라지에 비하여 높은 수준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FCLM과 FPLM은 3T3-L1 지방전구세포 분화를 발효 전 더덕과 도라지에 비하여 높은 수준으로 억제하여, 비만 억제 효과 가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백색칼라(Zantedeschia aethiopica) 신품종 ‘Swan’은 국립원 예특작과학원에서 2017년에 육성하였다. ‘Swan’의 모본은 다화성인 ‘Childsiana’와 무름병에 강한 ‘Wedding March’를 부본으로 2004년에 교배하여 구근을 양성 후 2008년부터 2016년까지 생육 및 개화 특성, 균일성에 대하여 특성검정을 실시하였다. 2017년에 3차 특성검정을 실시하여 최종 선발한 후 직 무육성품종심의회에 상정하여 ‘Swan’으로 명명하였다. ‘Swan’ 의 생육 및 개화특성은 부본으로 사용된 ‘Wedding March’를 대조품종으로 조사하였다. 백색(RSH W155C)화색의 ‘Swan’ 은 화포의 길이와 폭이 각각 11.2cm와 10.3cm인 중형 품종이다. 주당 화수는 2.1개로 대조품종보다 2배 많으며 꽃대길이가 77.1cm로 대조품종(68.7cm)보다 길다. 개화소요일수는 65 일로 조기개화 품종이다. 절화수명은 17일(대조12일)로 길며, 무름병 중도저항성으로 구근증식량(13.3개/주)이 우수하고 소비자기호도가 높다. ‘Swan’ 품종은 2020년 4월 28일에 국립종 자원에 품종등록(등록번호 제8092호)되었다.
To enhance mechanical properties through improvement of dispersion stability of carbon black (CB) in epoxy resins, fluorine functional groups were introduced on the CB surface by fluorination. The changes in the chemical properties and dispersion stabilities after fluorination were evaluated with different partial pressures of fluorine gas.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luorinated CB/epoxy composites were evaluated by the test of tensile, impact strengths and creep behavior. The fluorinated CB/epoxy composites showed approximately 1.6 and 1.1 times enhancement in the tensile and impact strengths compared to that of neat epoxy, respectively. Moreover, when a constant load was applied at 323 K, the fluorinated CB/epoxy composites lasted longer and had smaller strain changes than those of the raw CB/epoxy composites. Thus, well-dispersed CB by fluorination in epoxy resins effectively transfers mechanical stress.
절화 장미 스마트팜과 관행농가의 시설현황과 2018년 11월 부터 2019년 1월까지의 재배환경 및 절화 품질을 비교하였다. 두 농가 모두 연동 플라스틱 온실이었고, 스마트팜은 자동제어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었으나, 일부만 제어가 되고 있었다. 농가의 재배환경을 분석한 결과, 스마트팜의 시설 내 온도는 계절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었으나 광량과 습도는 두 농가 모두 적정 값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배 품종의 절화 특성을 조사하여 품질을 분석한 결과, 스마트 팜의 ‘Soprano’ 품종은 11월부터 1월까지 절화수명이 약 8.6~ 9.8일로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Victoria’ 품종은 1월에 통계적으로 유의차 있게 다소 수명이 단축되었으나 1월을 제외하고는 약 8.2~8.6일로 수명이 비슷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관행농가의 ‘3D’와 ‘Kensington Garden’ 품종은 절화수명이 일정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절화수명에서 품종별 유의적 차이는 없었고 월별 유의적 차이만 나타났는데 이는 품질 차이가 아닌 온실 환경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스마트팜은 CCTV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으로 온실관리를 할 수 있어 재배환경이 다소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추후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기술 확대로 완전자동제어시스템이 이루어져 균일한 품질의 절화 장미가 생산될 수 있도록 해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설문을 통해 ‘스마트 그린오피스(Smart Green Office)’에 대해 대중의 인식과 선호도를 알아보고,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총 1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실내식물에 대한 인식과 ‘스마트 그린오피스’의 인식 및 선호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설문에 참여한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실내식물을 선호하며, 접근성과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답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응답자들이 실내식물을 통해 ‘공기 질 향상(52.0%)’ 및 ‘스트레스 해소(34.0%)’등 긍정적인 효과를 경험한 적이 있기 때문에 실내식물의 기능을 인지하고 필요성을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스마트 그린오피스’의 인지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알거나 들어본 경험이 있는 사람은 15.4%로 적었으나 개념을 설명한 후, 필요성을 느끼고 설치를 원하는 응답자들 은 90% 이상으로 조사되었다. 응답자들은 ‘공기정화(83.6%)’ 기능 때문에 ‘스마트 그린오피스’ 도입 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오피스 내 도입 시‘공기정화 식물(70.8%)’로 이루어진 벽면형태(41.0%)’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비용 (45.6%)’과 ‘유지 관리(28.2%)’등의 문제가 ‘스마트 그린오피스’ 도입 시 고려하는 점으로 조사되었으며, 설치 시 비용은 ‘200만원 이하(56.4%)’와 ‘200~450 만원(38.5%)’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스마트 그린오피스’의 인식 및 선호도와 더불어 비활성화에 대한 원인을 조사한 결과, ‘낮은 인지도’ 및 ‘스 마트 그린오피스’의 개념을 인지하지 못한 ‘불필요’가 각각 25.1%와 42.6%로 조사되었으며, ‘적극적인 마케팅 및 홍보 (46.2%)와 ‘실내식물에 대한 관심도 향상(38.0%)’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라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스마트 그린오피스’의 올바른 의미를 알리고, 공기정화 식물로 이루어진 벽면형태의 디자인 개발 및 모델 제시와 같이 ‘스마트 그린오피스’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홍보를 통한 다양한 정보 제공 등 여러 방안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의 원예활동 프로그램 인식과 운영현황을 조사하여 향후 지역아동센터 원예활동 프로그램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충청남도 천안시에 위치한 지역아동센터 소장을 대상으로 2018년 2월 26일부터 2018년 3월 9일까지 방문, 이메일, 전화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한 결과, 천안시의 지역아동센터 중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행해 본적이 있는 곳은 49%, 실행해보지 않은 곳은 51%로 나타났다. 실행해 본 적이 있는 곳 중 3개월 이상 프로그램을 진행한 센터는 40%에 불과했으며 주 1회, 1시간으로 복지원예사가 진행하였다. 지역아동센터에서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시행하지 않은 가장 큰 이유는 ‘예산’이었다. 인지도를 살펴보면, 응답자 중 96.1%가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으며 56.9%가 원예활동프로그램에 매우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다.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실행으로 지역아동센터가 아동에게 기대하는 효과로는, 정서안정과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았을 때, 많은 소장이 원예활동 프로그램에 관심은 많지만, 일회성 프로그램으로 인식한다고 생각되어 원예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앞으로 지역아동센터에서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정서적 안정’과 ‘사회성 향상’을 목적으로 ‘주 1회’로 지속적인 운영을 할 수 있도록 지역아동센터의 예산확보와 원예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1. 본 연구는 한국 재래종 강낭콩 209자원의 phytochemical 및 항산화활성을 평가하였다.
2. 항산화활성은 DPPH, ABTS, FRAP, SOD를 분석하였으며 phytochemical은 kaempferol, myricetin, quercetin, naringenin 함량을 각각 분석하였다.
3. 항산화활성은 강낭콩 자원 간 다양한 분포를 보였으며 DPPH의 경우 62.3~643.9 (IC50), ABTS의 경우 0.28~1.49 mgAAE/g, FRAP의 경우 0.41~5.44 mgAAE/g, SOD의 경우 50.4 ~ 299.8 (IC50)로 나타났다.
4. Relative antioxidant capacity index (RACI)로 강낭콩 자원의 항산화활성을 비교한 결과 IT104587이 가장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였으며 IT189598이 가장 낮은 항산화활성을 보였다.
5. 분석된 Phytochemical 중에서 한국 재래종 강낭콩에서는 Kaempferol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6. PCA 분석 결과 209자원은 3개의 그룹으로 나뉘었으며 이중 그룹 III에 속한 46자원의 강낭콩이 낮은 항산화활성 및 phytochemical 함량을 보였다.
7. 본 연구 결과는 한국 재래종 강낭콩의 항산화활성 및 phytochemical 정보를 제공하며 이 정보는 강낭콩 품종 개발을 위한 기초 정보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